$\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위 변동법에 의한 함양량 산정: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의 영향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using the Water-Table Fluctuation Method: Effect of Stream-aquifer Interaction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8 no.5, 2013년, pp.65 - 76  

구민호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김태근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김성수 (동부엔지니어링) ,  정성래 (성지엔지니어링) ,  강인옥 (한국수자원공사) ,  이찬진 (한국수자원공사) ,  김용철 (한국지질자원원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ater-table fluctuation (WTF) method has been often used for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by analysis of waterlevel measurements in observation wells. An important assumption inherent in the method is that the water level rise is solely caused by precipitation recharge. For the observation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하수위 변동법을 적용한 최근의 국내 연구 결과는 대부분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결과적으로 대수층의 하천과의 수리적 연결 정도에 따라 다소의 오차를 포함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이 지하수위 변동법에 의한 함양량 산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특히 국내의 경우 많은 관정들이 하천 주변부에 위치하고 있어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지하수위 변동법을 적용할 경우 함양량 산정 과정에서 큰 오차가 수반될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문 관측 자료의 분석과 모델링 기법을 통하여 지하수위 변동법이 가지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1의 비산출률과 10 m/day의 수리전도도를 가지는 자유면대수층을 가정하였다. 100행, 100열, 1층의 총 10,000개의 셀로 구성된 격자망을 구성하였으며, 모델영역 우측 경계에 하천이 위치하며 하천수위의 구배는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한편, 하천수위 및 지하수 함양의 시간적 변화는 실제 국내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에 반영하였다.
  • 모델 영역은 1 km × 1 km이며, 0.1의 비산출률과 10 m/day의 수리전도도를 가지는 자유면대수층을 가정하였다.
  • 한편, 하천수위 및 지하수 함양의 시간적 변화는 실제 국내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에 반영하였다. 하천수위 변동은 2010년 구례교 관측소에서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함양량은 동일 지역 관측소의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 자료를 생성하였는데, 강수량의 일정 비율(20%)이 강수와 동일시기에 함양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하천수위 및 함양량의 시간적 변화는 동일한 관측 자료가 1년 주기로 수 년 동안 되풀이되도록 모델에 입력함으로써 지하수위 변동이 1년 주기로 동일하게 반복되는 동적인 평형 상태에 도달하도록 하였으며 (Koo and Lee, 2002), 마지막 1년의 모사 결과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지하수 관정에서 지하수위 변동법을 통하여 함양량을 산정할 경우 오차 원인은? 한편,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지하수 관정이 수변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수위 변동법을 통하여 함양량을 산정할 경우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지하수위 변동의 영향으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국내 수리 지질학 분야에서도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대한 관측 자료가 축적되고 있으며, 상호 작용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지하수위 변동법이란? 지하수위 변동법은 강우 시 발생하는 지하수위 상승량과 대수층의 비산출률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개념적으로 단순하며 자료획득이 용이하기 때문에 최근 국내에서도 함양량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Moon et al., 2004; Choi et al.
하천-대수층 상호작용 관점에서 지하 수위 변동 3가지 유형은? 수변지역에서 관측된 지하수위 변동 자료는 하천-대수층 상호작용 관점에서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천수위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지하수위 변동성분이 우세한 1유형, 강수 함양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성분이 우세한 2유형, 그리고 두 성분이 동일한 크기 규모로 혼합된 3유형이 이에 해당한다. 하천-대수층 상호작용과 강수 함양 과정을 단순화시킨 다소 도식적인 구분이기는 하지만 국내 수변지역의 지하수위 변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 B.W., Yun, U. Lee, B.D., and Ko, K.S., 2012,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ngjeon-ri PCWC area, Nonsancity, with an emphasis on water level variations, J. Eng. Geol., 22(2), 195-205. 

  2. Cho, J.W. and Park, E.G., 2008, A study on deline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using water-table fluctuation and unsaturate zone soil water content model, J. Soil & Groundwater Env., 13(1), 67-76. 

  3. Chio, I.H., Woo, N.C., Kim, S.J., Moon, S.K., and Kim, J., 2007, Estimation of the groundwater recharge rate during a rainy season at a headwater catchment in Gwangneung, Korea, Korean J. Agr. & For. Methorol., 9, 75-87. 

  4. Chung, I.M., Kim, N.W., and Lee, J.W., 2007,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by considering runoff process and groundwater level variation in watershed, J. Soil & Groundwater Env., 12(5), 19-32. 

  5. Delin, G.N., Healy, R.W., Lorenz, D.L., and Nimmo, J.R., 2007, Comparison of local- to regional-scale estimates of groundwater recharge in Minnesota, USA, J. Hydrol., 334, 231-249. 

  6. Ha, K.C., Ko, K.S., Koh, D.C., Yum, W.B., and Lee, K.K., 2006, Time series analysis of the responses of the groundwater levels at multi-depth wells according to the river stage fluctuations, Econ. Environ. Geol., 39(3), 269-284. 

  7. Jeong, B.I., 1969,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fluctuation of water table in South Korea, J. Geol. Soc. Korea, 5, 157-162. 

  8. Kim, G.B., 2010, Estimation of specific yield using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s at shallow groundwater monitoring sites, J. Korean Geoenviron. Soc., 11(6), 57-67. 

  9. Kim, G.B., Choi, D.H., and Jeong, J.H., 2010, Considerations on the specific yield estimation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 variations, J. Eng. Geol., 20, 61-70. 

  10. Kim, N.W., Chung, I.M., and Won, Y.S., 2005, Method of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with spatial-temporal variability, J. Korea Water Resour. Assoc., 38(7), 517-526. 

  11. Kim, S.H., Park, E.G., Kim, Y.S., and Kim, N.J., 2011, A modification of water table fluctuation model considering delayed drainage effect of unsaturated zone, J. Soil & Groundwater Env., 16(3), 17-27. 

  12. Koo, M.H. and Lee, D.H., 2002, A numerical analysis of the water level fluctuation method for quantifying groundwater recharge, J. Geol. Soc. Korea, 38, 407-420. 

  13. Lee, B.J., Ha, K.C., Koo, M.H., Moon, S.H., Cho, M.J., and Cho, S.H., 2006, Effluent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stream/groundwater interaction, J. Geol. Soc. Korea, 42, 625-633. 

  14. MLTM and K-water, 2010,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in Korea Annual Report. 

  15. MLTM and K-water, 2012, Basic groundwater survey for Taeback. 

  16. Moon, S.K., Woo, N.C., and Lee, K.S., 2004, Statistical analysis of hydrographs and water-table fluctuation to estimate groundwater recharge, J. Hydrol., 292, 198-209. 

  17. Park, E.G., 2007, A development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s due to precipitations and infiltrations, J. Soil & Groundwater Env., 12(4), 51-56. 

  18. Park, E.G., 2012, Delineation of recharge rate from a hybrid water-table fluctuation method, Water Resour. Res., 48, W07503, doi:10.1029/2011WR011696. 

  19. Park, E.G., Kim, K.Y., Ding, G., Kim, K., Han, W.S., Kim, Y., and Kim, N., 2011, A delineation of regional hydraulic conductivity based on water table fluctuation, J. Hydrol., 399, 235-245. 

  20. Park, E.G. and Parker, J.C., 2008, A simple model for water fluctuations in response to precipitations, J. Hydrol., 356, 344-349. 

  21. Yun, S.W., Jo, Y.J., and Lee, J.Y., 2009, Comparison of groundwater recharges estimated by waterlevel fluctuation and hydrograph separation in Haean basin of Yanggu, J. Geol. Soc. Korea, 45, 391-404. 

  22. Zhang, J., van Heyden, J., Bendel, D., and Barthel, R., 2011, Combination of soil-water balance models and water-table fluctuation methods for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groundwater recharge calculations, Hydrogeol. J., 19, 1487-15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