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유해대기오염물질의 관리현황과 개선방향 - 환경대기 모니터링 문제를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Managemen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in Korea - Focusing on Ambient Air Monitoring Issues -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9 no.5, 2013년, pp.513 - 527  

백성옥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전찬곤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have been of great concern in Korea, largely due to public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their impacts on environmental health. A group of HAPs includes a large number of various chemicals such as VOCs, PAHs, PCBs, dioxines, furans, organochlorinated pesti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APs를 일반 대기오염물질과 구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HAPs의 경우 일반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의 의미에 이미 인체나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이라는 개념이 내재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유해성’이라는 수식어를 사용하여 일반 대기오염물질과 구분하는 데는 나름대로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HAPs는 대기환경에서 낮은 농도에서도 장기간 노출될 경우 심각한 건강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 즉 대부분 비역치 오염물질(non-threshold pollutants)이 많이 포함된다. 둘째, HAPs는 유전독성을 가진 오염물질로 인간에게 암, 기형, 신경장애, 돌연변이 등을 유발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HAPs는 환경 잔류성(persistency), 생체농축성(bio-accumulation)과 독성(toxicity)을 가지는 물질들이 많다(USEPA, 1999).
환경관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환경관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불특정 다수가 비자의적으로 노출되는 환경매체를 통한 일반대중의 환경보건학적 위해성 저감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해성 평가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일반대중이 노출되는 각종 환경 매체에서의 유해물질의 농도를 파악하여 노출량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유해대기오염물질을 일본 대기오염방지법에서는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 ‘유해대기오염물질(HAPs)’에 대한 정의와 대상물질은 나라마다 다르게 규정하고 있어 아직 명확한 개념이 정립된 상태는 아니다. 일본 대기오염방지법에서는 HAPs를 ‘저 농도에서도 장기적인 섭취에 의해 건강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물질’로 규정하고 있으며(Japan MOE, 1997), OECD는 ‘인간 건강과 식물 또는 동물에 위해를 주는 특성(독성 또는 잔류성 등)을 가진 대기 중의 미량의 가스상, 에어로졸, 또는 입자상 오염물질’로 규정하고 있다(WHO, 2000). 미국은 90년대 이전까지는 Toxic Air Pollutants (TAPs)와 HAPs의 용어를 혼용하였으나 1990년 개정된 Clean Air Act의 112조에서 규정된 191종(현재 187종으로 조정)의 구체적인 물질에 대하여 특별히 HAPs라는 용어를 법률적 의미로 적용하고, TAPs은 대기중 독성물질 전반을 칭하는 보다 광범위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Patrick,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rrado, A.I., S. Garcia, E. Barrado, and R.M. Perez (2012) PM2.5-bound PAHs and hydroxy-PAHs in atmospheric aerosol samples: Correlations with season and with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Atmos. Environ., 49, 224-232. 

  2. Calabrese, E.J. and E.M. Kenyon (1991) Air Toxics and Risk Assessment. Lewis Pub., 662 p. 

  3. Japan MOE (1997) Guidelines of hazardous air pollutants monitoring. 

  4. Kim, Y.S. (2003)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nd heavy metals in the atmosphere, J. Korean Soc. Atmos. Environ., 19(2), 113-132. 

  5. Korea MOE (2009) Atmosphere environment annual report, 71 pp. 

  6. Korea MOE (2010a) Guidelines of air pollutants measurement stat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31 pp. 

  7. Korea MOE (2010b) Guidelines of air pollutants measurement stat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182 p. 

  8. Krumal, K., P. Mikuska, and Z. Vecera (2013)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hopanes in PM1 aerosols in urban areas, Atmos. Environ., 67, 27-37. 

  9. Li, Z., E.N. Porter, A. Sjodin, L.L. Needham, S. Lee, A.G. Russell, and J.A. Mulholland (2009) Characterization of PM2.5-bou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Atlanta - Seasonal variations at urban, suburban, and rural ambient air monitoring sites, Atmospheric Environment, 43, 4187-4193. 

  10. NIER (2006) Final Repor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Monitoring in Sihwa-Banwol Area. 416 p. 

  11. NIER (2007) Final Repor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Monitoring in Sihwa-Banwol Area (II). 412 p. 

  12. NIER (2009) Final Repor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Monitoring in Yeosu-Gwangyang Area. 356 p. 

  13. NIER (2010) Final Repor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Monitoring in Yeosu-Gwangyang Area. 308 p. 

  14. NIER (2011) Final Repor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Monitoring in Gumi-Daegu Area. 396 p. 

  15. NIER (2012) Final Repor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Monitoring in Daesan Area. 380 p. 

  16. Patric, D.R. (1994) Toxic Air Pollutants Handbook,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588 p. 

  17. USEPA (1999) Category for persistent, bioaccumulative, and toxic new chemical substances, Federal Register, 64, 60194 - 60204. 

  18. USEPA (2006) Urban air toxics monitoring program (UATMP) final report, EPA-454/R-07-001. 

  19. WHO(2000) Guidelines for air quality, geneva,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