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원 관리의 변천과 개선방향
Management Changes of Hazardous Air Pollutants Sources and Its Proposed Improvement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9 no.5, 2013년, pp.536 - 544  

김종호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정주 (용인대학교 산업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a small amount of hazardous air pollutants could have a harmful influence upon human beings, animals and plants. Hazardous air pollutants have the properties of toxicity, canceration and organism accumulation. They include heavy metals, volatile organic compound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기배출시설 운영단계에서의 관리는 배출허용기준의 준수, 오염물질의 측정, 배출부과금의 납부, 환경기술인 고용 등 여러 규정이 변천되어 왔는데, 본 연구는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시설과 관련한 것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 대기환경관리 분야에서 유해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시점에서 국내의 특정대기유해물질 관리현황의 변천과정을 고찰하였고, 관련분야의 기준, 허가, 운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환경부는 건강한 대기질이 국민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여러 가지 제도와 기준을 수립하고 있다.
  • 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준수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출원에서 배출허용기준 항목에 대해 농도를 측정∙기록하고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이 제도는 1978년부터 “환경보전법 22조, 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8”에서 이산화황, 먼지, 검댕, 해당되는 특정대기유해물질 항목에 대해 시행하여 왔다(MOE, 1978a, b).
  • 본 연구에서는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시설에 대한 관리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관련제도 변천사를 알아보고, 현재 실행되고 있는 관련제도에 대한 평가 및 고찰을 하고자 한다. 아울러 유해대기 오염물질 배출원의 관리 실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시설에 대한 관리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관련제도 변천사를 알아보고, 현재 실행되고 있는 관련제도에 대한 평가 및 고찰을 하고자 한다. 아울러 유해대기 오염물질 배출원의 관리 실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환경부는 건강한 대기질이 국민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여러 가지 제도와 기준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되기 위한 몇 가지 현행제도의 제한점을 도출하여 합리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해대기오염물질의 특성은 무엇인가? 유해대기오염물질(Hazardous Air Pollutants; HAPs)은 미량만 존재하여도 인간과 동물 및 식물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물질로서 독성, 발암성, 생체 축적 등의 특성이 있다. 또한 대기 중에서 반응하여 2차 오염물질인 오존 등과 같은 광화학산화물, 미세먼지를 발생시키는 원인물질이기도 하며, 일부물질은 악취 생성물질이기도 하다(Seo et al.
유해대기오염물질의 관리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이러한 유해대기오염물질의 관리는 1963년 미국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하였고, 독일은 1986년, 영국은 1990년, 일본은 1995년부터 실시하였다. 우리나라는 “대기환경보전법 2조”에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총 61종의 물질을 대기오염물질로 정의하고, 이것들 중에 35종만을 특정대기유해물질(Specific Hazardous Air Pollutants)로 지정하고 일반 대기오염물질보다 더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1996년부터 시행된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시설에 대해 그 설치를 제한 할 수 있는 규제에대해 구체척으로 살펴보면 무엇인가? 또한 특정대기유해물질 배출시설에 대해 그 설치를 제한 할 수 있는 규제가 역시 1996년부터 시행되었다 (MOE, 1996b).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출시설 설치지점으로부터 반경 1 km 내에 상주인구가 2만명 이상인 지역에서 한 가지 물질의 배출량이 10톤/년 이상이거나 또는 두 가지 이상 물질의 배출량이 25톤/년 이상인 경우에 배출시설의 설치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경우에는 특별대책지역에서만 설치를 제한할 수 있어서, 이러한 제도가 특정대기유해물질의 배출을 근본적으로 제한하는 가장 강력한 환경규제라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oubel, R.W., D.L. Fox, D.B. Turner, and A.C. Stern (1994) Fundamentals of air pollution, 3rd ed., Academic press, 574pp, 61-71pp. 

  2. Cho, K.T., J.C. Kim, and J.H. Hong (2006)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Biogenic VOC (BVOC) Emissions Estimates by BEIS and CORIAIR Methodologies, J. Korean Atmos. Environ., 22(2), 167-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n, J.S., M.D. Lee, Y.J. Lim, S.U. Lee, Y.M. Kim, B.J. Kong, J.Y. An, and Y.D. Hong (2006) Study on the Distributions of VOCs, Aldehydes, PAHs Concentr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J. Korean Atmos. Environ., 22(5), 574-5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IPPC,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2003) Reference Document on Best Available Techniques for Mineral Oil and Gas Refineries. 

  5. KE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3)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for Reduction of HAP Emission from Industry. 

  6. KE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9) Policies towards the Integrated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III). 

  7. KE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1) A study on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Specific Hazardous Air Pollutants-emitting Facilities. 

  8. Kim, S.T., N.K. Moon, and D.W. Byun (2008) Korea Emission Inventory Processing Using the US EPA's SMOKE System, Asian J. Atmos. Environ., 2(1), 34-46. 

  9. Lee, J.J. and B.M. Kim (2007) The risk assessment process of hazardous air pollutants, J. Kor. Soc. Environ. Eng. 29(5), 496-5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MOC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1995) Act on the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National Territory. 

  11.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71a)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CT. 

  12.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71b) Enforcement Rule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CT. 

  13.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78a)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14.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78b) Enforcement Rule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15.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81) Enforcement Rule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16.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82)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17.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83a) Enforcement Rule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18.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83b)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19.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87) Enforcement Rule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20.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91a) Clean Air Conservation ACT. 

  21.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91b) Enforcement Rule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22.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91c) Enforcement Decree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23.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96a) Clean Air Conservation ACT. 

  24.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96b) Enforcement Decree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25.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98) Enforcement Rule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26.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05a) Enforcement Rule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27.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05b) Enforcement Decree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28.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3a) Enforcement Rule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29.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3b) Clean Air Conservation ACT. 

  30.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3c) Monthly Report of Air Quality. 

  31.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3d) Enforcement rule of the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Control Act. 

  32.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91) 1990 Environmental White Paper. 

  33.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92) 1991 Environmental White Paper. 

  34.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2011 Environmental White Paper. 

  35.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s and Transport (2013)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36.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7) A Study on Integrated Permitting Process of Industrial Installation (I) - IPPC Directive of EU and Integrated Approach -. 

  37.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8) A Study on Integrated Permitting Process of Industrial Installations (II). 

  38.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9) Emission source inventory of hazardous air pollutants from stationary sources (VI). 

  39.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a) A Study on Advanced Strategy of Management in Air Pollutants Emission Sources. 

  40.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b) A Demonstration Project for Introduction of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Emission Standards ( I ) - Petroleum Refinery. 

  41.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National Air Pollutants Emission 2010. 

  42. Seo, Y.K., S.H. Chung, and S.O. Baek (2011) Current Status and Prospective of Hazardous VOC in Ambient Air, J. Korean Atmos. Environ., 27(6), 734-7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2009)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White Paper. 

  44. USEPA,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6) Draft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HWC MACT Standards (volume I-VI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