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A Research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 Care Center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5 = no.125, 2013년, pp.97 - 108  

김지현 (Department of Child Development &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  김정민 (Seoul National University Zelkova Center for Child Educare Service and Research)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 care center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mong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mathematics activity variables, and teachers' awareness variables, and also whether these results are different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교사가 수학활동에 주로 사용하는 활동자료의 유형이 다르다는 Kim(2013)의 연구와 영아반 교사에 비해 유아반 교사가 보다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에 근접한 최신의 수학교육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는 Kim (2010)의 연구를 근거해 볼 때, 유아반 교사와 영아반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어린이집의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수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구별하여 탐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규명하는 것을 이 연구의 주된 초점으로 삼고자 한다.
  • , 2004), 경력, 학력, 수학 관련 연수 경험 등 교사 개인의 변인만을 예측변인으로 삼았고(Kim, 2003; Lim, 2006), 범주화한 경우에도 교사 개인 변수와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변수만 다루고 보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수학활동의 행태와 관련된 변인을 예측변인으로 다루지 않았다(Yeo & Lee, 2004).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교사 개인 변인, 수학활동 변인, 교사 인식 변인으로 범주화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교사 개인 변인은 경력, 수학교육참여여부, 학력과 같이 교사 개인과 관련된 변인을 뜻하고, 수학활동 변인은 수학활동횟수, 수학학습지사용횟수와 같이 보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수학활동의 행태와 관련된 변인을 뜻하며, 교사 인식 변인은 수학교육 지원환경에 대한 인식, 수학교육 목적에 대한 인식, 수학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수학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수학활동자료에 대한 인식과 같이 수학교육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뜻한다.
  • 이를 위해 D시와 K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48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에 대한 결과와 유아반 교사에 대한 결과를 각각 요약한 후 두 집단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개인 변인(경력, 수학 교육참여여부, 학력), 수학활동 변인(수학활동횟수, 수학학습지사용횟수), 교사 인식 변인(지원환경, 목적, 교육과정, 교사의 역할, 수학활동자료에 대한 교사의 인식)들 중 어떤 변인이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 각 집단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비교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D시와 K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48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교수효능감이란? 이와 같이 수학교육의 질을 좌우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을 나타내는 변인 중 수학교수효능감에 주목해야 한다. 여기서 수학교수효능감이란 교사 자신이 수학교육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다는 자기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과 교사의 올바른 수학적 지식과 효과적인 교수방법이 수학교육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Enoch, Smith, & Huinker, 2000). 실제로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은 수학교육의 질적 수준과 깊은 관련을 가져(Han, 2006), 교사 자신이 수학교수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효과적인 수학활동을 제공하면 영유아 대상의 수학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Han & Park, 2004).
영유아기에 논리적, 수학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영유아기는 수학적 능력의 토대를 구축하는 시기이며, 수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의사소통하는 능력은 미래 과학 기술 사회에서의 성공적인 삶과도 연결된다. 따라서 영유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며 다양한 경험을 통해 논리적·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2).
수학활동 변인은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교사 모두 수학활동횟수와 수학학습지사용횟수, 즉 수학활동 변인들이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학활동횟수가 많을수록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수학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난 것은 수학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이 수학활동을 더 많이 제공했다는 Chung(2001b)의 연구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수학 교수 횟수가 많은 교사는 직접적으로 본인이 가르치는 상황에서 수학교과내용지식을 계속적으로 축적할 수 있게 된다는 Lederman et al.(1994)의 연구를 통해서도 수학활동을 많이 실시하는 어린이집 교사가 수학교 수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어린이집 교사는 보육 대상의 연령과 상관없이 수학활동을 자주 실시할 수록 수학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수학 학습지사용횟수의 영향력은 수학학습지를 덜 사용할수록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이 높다는 점을 말해준다. 이는 학습지사용여부가 포함된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이 유치원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과 상관이 있었다는 Kim et al.(2008)의 연구와 일치한다. 수학학습지를 사용하는 것이 수학교육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부족하고 수학 교과지식 자체가 충분하지 않다는 Lee(2003)의 의견에 비추어 볼 때, 보육 대상 연령과 상관없이 수학학습지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수학교수에 대한 낮은 자신감과 관련됨을 시사한다. 이는 어린이집 교사들이 수학활동은 자주 실시하되 수학학습지를 덜 사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차원에서 발달에 적합한 수학활동의 실제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shton, P. T.(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2. Chun, H., & Hong, H.(2009).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program for toddl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3(4), 137-162. 

  3. Chung, C.(2001a).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efficacy and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6(3), 97-116. 

  4. Chung, C.(2001b).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 on mathematics education practic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4), 225-241. 

  5. Clements, D. H., Sarama, J., & DiBiase, A.(2004). Engaging young children in mathematics. Mahwah, NJ: Lawrence Erlbaum. 

  6. Enochs, L. G., Smith, P. L., & Huinker, D.(2000).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4), 194-202. 

  7. Han, J.(2006). A study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0(3), 285-309. 

  8. Han, J., & Park, C.(2004). A study in teacher variations while performed on inquiry based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education program.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8(1), 141-173. 

  9. Hong, H., & Chung, C.(2013). A structural analysis on kindergarten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its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1), 115-133. 

  10. Hong, J., & Park, Y.(2011). The recognition and demands of child care teacher about mathematical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Korean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12(1), 303-331. 

  11. Kim, H., Lee, H., & Hur, S.(2004). A study of the contributing variables to kindergarten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4), 199-216. 

  12. Kim, J.(2003).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young children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Unpublished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3. Kim, J.(2010).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9(1), 53-65. 

  14. Kim, J.(2013). A survey of childcare teachers' using realities and perceptions in the effect of mathematical activity material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3(1), 39-59. 

  15. Kim, J., & Moon, H.(2006). Variables affecting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commitment to their institution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6(5), 307-331. 

  16. Kim, K., Nah, K., & Nam, H.(2005).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content areas and processes of mathematics for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2(3), 75-106. 

  17. Kim, S., & Choi, Y.(2001).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causal modeling. Hakjisa, Seoul: Korea. 

  18. Kim, S., Hong, J., Kim, K., & Hong, H.(2008).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ttitud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8(5), 141-157. 

  19. Knobloch, N., A., & Whittington, M. S.(2002). No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upport, teacher preparation quality, and student teaching experience related to teacher efficacy.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7(3), 331-341. 

  20. Kwon, Y., Lee, Y., & Lee, J.(1998). Standards for developing the mathematics curriculum model for 3, 4, 5-yearolds. Changjisa, Seoul: Korea. 

  21. Lederman, N., Gess-Newsome, J., & Latz, M.(1994).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Conceptions of subject matter and pedag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129-146. 

  22. Lee, J.(2003).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3(4), 207-226. 

  23. Lee, J.(2009). Mathematical content in kindergarten teachers' math-related talk.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9(6), 281-300. 

  24. Lee, J., & Lim, J.(2004). Analysis on the Difficulty and requirement of teachers at infant day care center.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4(2), 193-215. 

  25. Lee, K., Hong, H., Shin, E., & Jin, M.(1997). Theories and practice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hangjisa, Seoul: Korea. 

  26. Lim, C.(2006).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the awareness of mathematics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Unpublished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7. Luo, F.(2000).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reform belief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aiw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University, Austin; TX. 

  2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2012). Teacher workshop book for administrating Nuri National Curriculum for 3 to 5-year-olds.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eoul: Korea.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Central Childcare Information Center(2013). Comprehension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and infant childcare program for 0 to 2-year-olds. Central Childcare Information Center, Seoul: Korea. 

  30. Moon, S.(2009).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7.0. Seoul, Korea: Hakjisa. 

  3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NCTM. 

  3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4. Park, J.(2013), The management of mathematics activities in infant classroom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difficulties and needs for support on infant mathematics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35. Seo, H., & Bae, J.(2004).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1(1), 115-146. 

  36. Smith, P. L., & Fouad, N. A.(1996). Subject-matter specificity of self-efficacy, outcome expectancies, interests, and goals: Implication for the social cognitive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4), 461-471. 

  37. Wenner, J.(2001). Science and mathematics efficacy beliefs held by practicing and prospective teacher: A 5-year perspectiv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0(2), 181-187. 

  38. Yang, B.(2002). Survey analyst: Social statistics. Sungandang, Gyeonggi: Korea. 

  39. Yeo, E.(2004). A Study on variables related to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support and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40. Yeo, E., & Lee, K.(2004). Examining variables related to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9(4), 175-19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