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소독제의 적용 시간 및 기계적 세척 여부에 따른 타액 내 세균 수의 감소 효과
Salivary Bacterial Counts on Application Time of Oral Antiseptic Agents and Mechanical Irrigation 원문보기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35 no.3, 2013년, pp.155 - 160  

임형섭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김재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  김미자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  김학균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acceptable intraoral application time of antiseptic agents and evaluate the effect of mechanical irrigation. Methods: A total of 80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aliva secreted at the resting state was taken. The subjects were divid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VI와 CHX의 적용 시간과 구강 세척 유무 및 구강소독제의 종류에 따른 타액 내 세균 수의 감소를 비교함으로써 구강소독제에 따른 효과적인 구강 내 적용 시간을 알아보고 구강 세척 행위가 타액 내 세균 감소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소독제 적용 시간이 길수록 효과가 있었고, 또한 물리적 세척을 시행한 경우에서 효과가 증가되었으며, PVI가 CHX에 비해 효과가 좋았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PVI와 CHX 용액의 짧은 적용 시간에 따른 타액 내 세균 수를 나타내는 colony forming unit (CFU) 변화량의 비교와 물리적 세척을 통한 CFU 변화량의 비교를 통해 구강소독액의 효과적인 구강 내 적용 시간과 물리적 세척의 효용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가설 설정

  • a,b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aseline and antiseptic application in all group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VI란 무엇인가? PVI는 일반적으로는 피부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독제로 polyvinyl-pyrrolidone과 triiodide anion의 복합체로서 iodine의 항미생물 작용을 이용하면서도, iodine의 단점인 자극성과 착색, 과민반응을 감소시킨 제제이다[4,5]. 이는 점막 자극이 적고 강력한 살균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강 내 살균제 및 저농도에서 항균제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6].
구강 내 세균의 제거를 위한 소독제는 무엇인가? 그러나 일시적으로 구강 내 세균을 제거하여 전체적인 세균 수를 줄일 수 있다면 술 후 감염의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소독제들이 구강 내 세균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어 왔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종류로는 povidone (polyvinyl-pyrrolidone)-iodine (PVI), chlorhexidine gluconate (CHX) 등이 있다.
PVI는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PVI는 일반적으로는 피부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독제로 polyvinyl-pyrrolidone과 triiodide anion의 복합체로서 iodine의 항미생물 작용을 이용하면서도, iodine의 단점인 자극성과 착색, 과민반응을 감소시킨 제제이다[4,5]. 이는 점막 자극이 적고 강력한 살균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강 내 살균제 및 저농도에서 항균제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6]. CHX는 세균의 표면전하를 반전시켜 세포질 내용물의 수축과 괴사 작용을 통해 내세포막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어 항세균성을 갖는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acfarlane TW, Ferguson MM, Mulgrew CJ. Post-extraction bacteraemia: role of antiseptics and antibiotics. Br Dent J 1984;156:179-81. 

  2. Etiene J, Pangon B, Leport C, et al. Staphylococcus lugdunensis endocarditis. Lancet 1989;1:390. 

  3. Freney J, Brun Y, Bes M, et al. Staphylococcus lugdunensis sp. nov. and Staphylococcus schleiferi sp. nov, two species from human clinical specimens. Int Syst Bacteriol 1988;38:168-72. 

  4. Gershenfeld L. Povidone-iodine as a topical antiseptic. Am J Surg 1957;94:938-9. 

  5. Shelanski HA, Shelanski MV. PVP-iodine: history, toxicity and therapeutic uses. J Int Coll Surg 1956;25:727-34. 

  6. Adamietz IA, Rahn R, Bottcher HD, Schafer V, Reimer K, Fleischer W. Prophylaxis with povidone-iodine against induction of oral mucositis by radiochemotherapy. Support Care Cancer 1998;6:373-7. 

  7. Denton GW. Chlorhexidine. In: Block SS, editor. Disinfection, sterilization, and preservation.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1. p.321-36. 

  8. Addy M, Wright R. Comparison of the in vivo and in vitro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rovidone iodine and chlorhexidine gluconate mouthrinses. J Clin Periodontol 1978;5:198-205. 

  9. Jenkins S, Addy M, Wade W, Newcombe RG. The magnitude and duration of the effects of some mouthrinse products on salivary bacterial counts. J Clin Periodontol 1994;21:397-401. 

  10. Kaiser AB, Kernodle DS, Barg NL, Petracek MR. Influence of preoperative showers on staphylococcal skin colonization: a comparative trial of antiseptic skin cleansers. Ann Thorac Surg 1988;45:35-8. 

  11. Noh KP, Kim HK, Kim SG, Moon SY, Kim HJ. Comparative effects of different application time of povidone-iodine solution on salivary bacterial counts. Oral Bio Res 2008;32:29-36. 

  12. Lessa FC, Aranha AM, Nogueira I, Giro EM, Hebling J, Costa CA. Toxicity of chlorhexidine on odontoblast-like cells. J Appl Oral Sci 2010;18:50-8. 

  13. Kim SY, Noh KP, Kim HK, et al. Salivary bacterial counts after application of povidone-iodine and chlorhexidine.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9;35:312-5. 

  14. Kunisada T, Yamada K, Oda S, Hara O. Investigation on the efficacy of povidone-iodine against antiseptic-resistant species. Dermatology 1997;195 Suppl 2:14-8. 

  15. Niedner R. Cytotoxicity and sensitization of povidone-iodine and other frequently used anti-infective agents. Dermatology 1997;195 Suppl 2:89-92. 

  16. Hull PS. Chemical inhibition of plaque. J Clin Periodontol 1980;7:431-42. 

  17. Addy M. Chlorhexidine compared with other locally delivered antimicrobials. A short review. J Clin Periodontol 1986;13:957-64. 

  18. Gjermo P. Chlorhexidine and related compounds. J Dent Research 1989;68:1602-8. 

  19. Addy M, Slayne MA, Wade WG. The formation and control of dental plaque--an overview. J Appl Bacteriol 1992;73:269-78. 

  20. Loe H, Schiott CR, Karring G, Karring T. Two years oral use of chlorhexidine in man. I. General design and clinical effects. J Periodontal Res 1976;11:135-44. 

  21. Newman MG, Flemmig TF, Nachnani S, et al. Irrigation with 0.06% chlorhexidine in naturally occurring gingivitis. II. 6 months microbiological observations. J Periodontol 1990;61:427-33. 

  22. McLure AR, Gordon J. In-vitro evaluation of povidone-iodine and chlorhexidine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Hosp Infect 1992;21:291-9. 

  23. Kobayashi H, Tsuzuki M, Hosokuchi K. Batericidal effects of antiseptics and disinfectant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Japan Ass Operating Room Tech 1987;8:477-80. 

  24. Tosti A, Vincenzi C, Bardazzi F, Mariani R. Allergic contact dermatitis due to povidone-iodine. Contact Dermatitis 1990;23:197-8. 

  25. Block C, Robenshtok E, Simhon A, Shapiro M. Evaluation of chlorhexidine and povidone iodine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using a surface test. J Hosp Infect 2000;46:147-52. 

  26. O'Shaughnessy M, O'Malley VP, Corbett G, Given HF. Optimum duration of surgical scrub-time. Br J Surg 1991;78:685-6. 

  27. Nagatake T, Ahmed K, Oishi K. Prevention of respiratory infections by povidone-iodine gargle. Dermatology 2002;204 Suppl 1:32-6. 

  28. Rahn R, Schneider S, Diehl O, Schafer V, Shah PM. Preventing post-treatment bacteremia: comparing topical povidone-iodine and chlorhexidine. J Am Dent Assoc 1995;126:1145-9. 

  29. Pels E, Vrensen GF.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human donor eyes with povidone-iodine: penetration, toxicity, and effectiveness. Br J Ophthalmol 1999;83:1019-26. 

  30. Kaysinger KK, Nicholson NC, Ramp WK, Kellam JF. Toxic effects of wound irrigation solutions on cultured tibiae and osteoblasts. J Orthop Trauma 1995;9:303-11. 

  31. Mac Rae SM, Brown B, Edelhauser HF. The corneal toxicity of presurgical skin antiseptics. Am J Ophthalmol 1984;97:221-32. 

  32. Smith DR, Ohmura K, Yamagata Z.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hand dermatitis among nurses in a Japanese teaching hospital. J Epidemiol 2003;13:157-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