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리식염수 세척이 구강 소독제의 타액 내 세균 수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ne irrigation used in combination with antimicrobial agents on salivary bacterial counts 원문보기

大韓口腔顎顔面外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v.36 no.3, 2010년, pp.202 - 205  

김동주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유경환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임형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이성규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김수관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김학균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chanical irrigation in combination with mouthwash of antimicrobial agents on salivary bacterial cou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a randomized study employing a panel of 40 healthy volunteers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CHX와 PVI 용액을 1분간 적용한 후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구강세척 유무에 따른 타액 내 CFU 감소율을 비교함으로써 기계적 구강 세척이 타액 내 세균 감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각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현재까지 물리적 세척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치은염이나 치주염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서21-24, 구강악안면외과 수술 후 감염과 관련된다고 생각되는 타액 내의 세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강 소독액의 사용과 더불어 생리식염수를 사용해서 세척을 시행했을 때 타액 내 세균수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강악안면외과 수술 시 보편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물리적 세척방법이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세척술임을 감안하여, 구강 소독제인 CHX와 PVI의 적용후 생리식염수 세척 여부가 타액 내 세균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강 소독제에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재까지 다양한 종류의 구강 소독제들이 소개되었는데, 그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들로는 chlorhexidine gluconate (CHX), povidone-iodine (PVI), 과산화수소수, cetyl-pyridium chloride (CPC), benzalkonium chloride, Listerine 등이 있다. 그 중 CHX는 1970년대에 처음으로 항 세균 효능이 발표된 이래로 치과 영역에서 균혈증을 예방 하는 소독제로서 가장 폭넓게 연구되어 왔고, 가장 효과적인 구강 소독제로 알려져 왔다1-3.
CHX의 장점은 무엇인가? CHX는 광범위한 항세균 작용, 포유류 세포에 낮은 독성, 피부와 점막에 높은 친화성을 가진 양이온의 biguanide 항균제로서 이의 작용기전은 세균의 내세포막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어 저용량에서는 세균 활동성을 정지시키고, 고용량에서는 살균작용을 한다4 . CHX의 장점은 항세균성뿐 만 아니라 다양한 기질에의 접착 친화력이 좋다는 것이다. 이런 효능 때문에 CHX는 구강 내에 쓸 수 있도록 다양한 농도와 세정제, 겔, 분사액, 치약, 껌 등의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5 .
구강 내 소독 시 널리 이용되고 있는 PVI는 무엇인가? PVI는 점막에 대한 자극이 비교적 적고 강한 살균효과를 가지고 있어 구강 내 소독 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는 polyvinylpyridine과 iodine의 혼합액으로 iodine과 관련된 자극성과 착색 및 알레르기 반응을 감소시키면서도 iodine 의 항세균 작용을 나타낸다6 . 이런 강력한 살균력을 보이는 PVI는 치과 영역뿐 아니라 상기도 감염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7 , 또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세균 사멸에도 효과적이고 방사선유도 구강 점막염에 있어서도 특히 효과적이라고 하였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ddy M, Jenkins S, Newcombe R. The effect of some chlorhexidine- containing mouthrinses on salivary bacterial counts. J Clin Periodontol 1991;18:90-3. 

  2. Grossman E, Meckel AH, Isaacs RL, Ferretti GA, Sturzenberger OP, Bollmer BW, et al. A clinical comparison of antibacterial mouthrinses: effect of chlorhexidine. phenolics and sanguinarine on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J Periodontol 1989;60:435-40. 

  3. Santos A. Evidence-based control of plaque and gingivitis. J Clin Periodontol 2003;30(Suppl 5):13-6. 

  4. Tomas I, Alvarez M, Limeres J, Tomas M, Medina J, Otero JL, et al. Effect of a chlorhexidine mouthwash on the risk of postextraction postextraction bacteremia.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7;28:577- 82. 

  5. Herrera D, Roldan S, Santacruz I, Santos S, Masdevall M, Sanz M. Differences in anti- microbial activity of four commercial 0.12% chlorhexidine mouthrinse formulations: an in vitro contact test and salivary bacterial count study. J Clin Periodontol 2003; 30:307-14. 

  6. Shelanski HA, Shelanski MV. PVP-iodine: history, toxicity and therapeutic uses. J Int Coll Surg 1956;25:727-34. 

  7. Nagatake T, Ahmed K, Oishi K. Prevention of respiratory infections by povidone-iodine gargle. Dermatology 2002;204(Suppl 1):32-6. 

  8. Matsumoto K. Respiratory infections-pathogenesis of acute and chronic infections. Kekkaku. 1996;71:477-94. 

  9. Rahn R, Adamietz IA, Boettcher HD, Schaefer V, Reimer K, Fleischer W. Povidone-iodine to prevent mucositis in patients during antineoplastic radiochemotherapy. Dermatology 1997; 195(Suppl 2):527-34. 

  10. Kim SY, Noh KP, Kim HK, Kim SG, Kook JK, Park SN, et al. Salivary bacterial counts after application of povidone-iodine and chlorhexidine.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9;35: 312-5. 

  11. Chaves ES, Kornman KS, Manwell MA, Jones AA, Newbold DA, Wood RC. Mechanism of irrigation effects on gingivitis. J Periodontol 1994;65:1016-21. 

  12. Francetti L, del Fabbro M, Testori WT, Weinstein RL. Chlorhexidine spray versus chlorhexidine mouthwash in the control of dental plaque after periodontal surgery. J Clin Periodontol 2000;27:425-30. 

  13. Gjermo, P. Chlorhexidine in dental practice. J Clin Periodontol 1974;1:143-52. 

  14. Davies RM, Jensen SB, Schiott CR, Loe H. The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of chlorhexidine on the bacterial colonization of the teeth and gingiva. J Periodontal Res 1970;5:96-101. 

  15. Shiloah J, Hovious LA. The role of subgingival irrigations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J Periodontol 1993;64:835-43. 

  16. Santos S, Herrera D, Lopez E, O Connor A, Gonzalez I, Sanz M.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n the short-term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effects of the adjunctive use of a 0.05% chlorhexidine mouth rinse for patients in supportive periodontal care. J Clin Periodontol 2004;31:45-51. 

  17. Gershenfeld L. Povidone iodine as topical antiseptic. Am J Surg 1957;94:938-9. 

  18. Adamietz IA, Rahn R, B¨ottcher HD, Sch¨afer V, Reimer K, Fleischer W. Prophylaxis with povidone- iodine against induction of oral mucositis by radiochemotherapy. Support Care Cancer 1998;6:373-7. 

  19. Block C, Robenshtok E, Simhon A, Shapiro M. Evaluation of chlorhexidine and povidone iodine activity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using a surface test. J Hosp Infect 2000;46: 147-52. 

  20. McLure AR, Gordon J. In-vitro evaluation of povidone-iodine and chlorhexidine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Hosp Infect 1992;21:291-9. 

  21. Loe H, Schiott CR. The effect of mouthrinses and topical application of chlorhexidine on the development of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in men. J Periodontal Res 1970;5:79-83. 

  22. Yoneyama A, Shimizu M, Tabata M, Yashiro J, Takata T, Hikida M. In vitro short-time killing activity of povidone-iodine (Isodine Gargle) in the presence of oral organic matter. Dermatology 2006;212(Suppl 1):103-8. 

  23. Itic J, serfaty R. Clinical effectiveness of subgingival irrigation with a pulsated jet irrigator versus syringe. J Periodontol 1992; 63:174-81. 

  24. van Strydonck DA, Timmerman MF, van der Velden U, van der Weijden GA. Plaque inhibition of two commercially available chlorhexidine mouthrinses. J Clin Periodontol 2005;32:30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