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집단의 미디어정보이용도가 외모인식과 메트로섹슈얼 성향을 통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en's Media Information Utilization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Mediated Effect of Appearance Awareness and Metrosexual Tendency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5 no.5, 2013년, pp.704 - 712  

홍금희 (신라대학교 패션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emporary young men are consumption-oriented, pursue ideal male images displayed in commercials, and are highly interested in fashion, beauty, and appearance. This metrosexual tendency(which values appearance) is largely influenced by mass media. This study examines how men's media information 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성의 메트로섹슈얼 성향의 하위차원이 어떠한지, 미디어정보이용도가 외모인식과 메트로섹슈얼 성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메트로섹슈얼 성향이 화장품소비 행동과 패션상품소비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 하였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하위차원들을 Lee and Park(2005)의 남성패션의 여성화 경향 요인으로 언급한 ‘유행추구’, ‘감각추구’, ‘여성성 지향’, ‘성역할 이탈’의 4요인과 비교해본다면, 메트로섹슈얼 성향은 단순히 남성패션의 여성성 지향이 아니라 성을 초월한 자기 패션취향인지가 높은 개성추구 성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표본의 메트로섹슈얼 성향이 하위요인별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을 알아보았다. Table 3을 보면, 자기 패션취향 인지, 고급제품 선호, 성초월 개성추구, 유행관여 순으로 나타났으나 점수가 그다지 높지 않았다.
  • 연구문제3: 메트로섹슈얼 성향의 화장품소비행동과 패션상품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 미디어는 이상적 외모의 남성을 능력있고 성공한 남성이라는 외모인식을 심어주며 그에 가까운 외모관리행동을 하도록 자극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대 남성의 메트로섹슈얼 성향은 어떠하며 어떤 하위차원을 가지는지를 알아본 후에, 미디어정보이용도가 외모인식과 메트로섹슈얼 성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 이들 변수들이 화장품 소비행동과 패션상품 소비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먼저 남성집단의 메트로섹슈얼 성향의 차원을 알아본 후에, 미디어정보이용도가 외모인식과 메트로섹슈얼 성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메트로섹슈얼 성향은 화장품소비행동과 패션상품소비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최근 메트로섹슈얼리즘 시장의 성장에 따른 남성 소비자행동에 대한 이해를 통해 관련 산업 전반에 대한 구체적인 마케팅전략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이상에서 남성집단의 외모인식이 어떠한가는 중요하며 외모 인식은 메트로섹슈얼 성향이나 외모관리행동에 그대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akewell et al.(2006)은 남성들의 메트로섹슈얼 성향과 같은 외모인식 변화의 배경으로 무엇을 들었는가? 남성들의 메트로섹슈얼 성향과 같은 외모인식 변화의 배경으로 Bakewell et al.(2006)은 남성잡지의 영향, 서비스경제의 성장, 아동마케팅의 증가, 또래집단의 사회화 경향의 증가, 성 역할의 붕괴, 스포츠맨 모델, 동성애자(게이, 레즈비언), 다문화 주의에 의한 남성성의 다원주의 및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의 9가지를 들었다. 특히 다양성을 존중하는 포스트모더니즘 문화가 자기표현의 욕구와 성 정체성(gender identity)의 다양성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하였다고 하였다.
Simpson은 메트로섹슈얼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이처럼 그 어느 때보다 이미지 지향적이며 패션에 민감한 남성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대하여 1994년 Simpson은 이미 ‘메트로섹슈얼(metrosexual)’이란 용어로 남성 세계의 새로운 변화를 언급하였다. 그는 메트로섹슈얼을 대도시에 살면서 소비지향적이고 광고에서 보여주는 남성 이미지를 대변하는 사람으로 정의를 내렸다. Kim et al.
남성 패션관련 산업의 고성장은 무엇에 기인하는가? 이처럼 패션잡화와 기능성화장품 등과 같이 상품범위가 이전보다 훨씬 다양해 진 것도 남성 패션관련 산업의 고성장을 가져오는 발판이 되었다. 이와 같은 고성장의 배경에는 20-30대 남성들이 경제적 풍요로움을 기반으로 한 왕성한 구매력과 자기 표현성향에 기인한다. 이제 외모가꾸기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도 하나의 경쟁력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자리잡아 자신의 능력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kewell, C., Mitchell, V-W., & Rothwell, M. (2006). UK generation Y male fashion consciousnes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0(2), 169-180. 

  2. Clarkson, J. (2005). Contesting masculinity's makeover: Queer eye, consumer masculinity, and straight-acting gays. Journal of Communication Inquiry, 29(3), 235-255. 

  3. Conseur, A., Hathcote, J. M., & Kim, S. Y. (2008). Consumer Masculinity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and its relationship to self esteem and media significance. Sex Roles, 58, 549-555. 

  4. Heinberg, L. J., Thompson, J. K., & Stomer, S. (199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7(1), 81-89. 

  5. Here comes menswear era! (2013, February). Fashionbiz, pp.72-75. 

  6. Hogg, M. K., Bruce, M., & Hill, A. J. (1998). Fashion brand preferences among young consu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26(8), 293-300. 

  7. Hong, K. H. (2008). The influence of male college students's extent of mass media exposure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7), 1149-1159. 

  8. Hong, S. T., Kang, D. K., & Kim, M. J. (2007). Cognitive age: Its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on consuming behavior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8(3), 63-84. 

  9. Jang, J. Y., Hwang, S. J., & Jeon, H. K. (2007). Men's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based on the level of interest in appearance, the country of origin, and the sales promo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6), 160-171. 

  10. Jung, H. J., & Lee, Y. R. (2011). The expected values of appearance management of 20s-30s and 40s-50s male consumers on their men's suit buy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2), 125-135. 

  11. Kim, K. S. (2007). New Amos 16.0: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eoul: Hannarae. 

  12. Kim, C. Y., Jekal, M., & Lee, Y. H. (2010). Gender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men's fashio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etrosexual and ubersexsu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60(7), 1-13. 

  13. Kim, J. H., & Hong, K. H. (2000). A study on shopping orientation and information source by male's clothing benefi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1), 43-54. 

  14. Km, J. H., & Shin S. Y. (2011). Clothing values and casual wear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20's and 30's male lifesty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3(4), 487-498. 

  15. Kim, K. I. (2006). Feminizing trends on men's knitwear in the 21st century: Focusing on the metrosexual and crossexu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8(4), 382-390. 

  16. Kim, Y. W., & Choi, J. M. (2009). Fashion trend acceptance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mong digital generation male consume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20), 238-254. 

  17. Ku, Y. S., Lee, Y. J., & Choo, T. G. (2011). A stud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ale consumers(III): Focusing on the gender role ident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3(2), 226-233. 

  18. Lee, H. J., & Kim, H. J. (2011). A study on men's cosmetic products attribute evaluation, purchasing behavior and use realities according to lifestyle type of 20s men's consum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7(2), 233-244. 

  19. Lee, H. J., & Park, O. L. (2005). The factor of feminization in men's fashion according to sex role stereotype: research about 20's-30's men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4(6), 1027-1035. 

  20. Lee, M. Y., & Kim, Y. S. (2006). A study on the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20-30 year old men's life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1), 56-69. 

  21. Lee, Y. J. (2007). Male consumers' motiv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cused on their sex role identities and benefit sought in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4), 551-562. 

  22. Manrai, L. A., Lascu, D. N., Manrai, A. K., & Babb, H. W. (2001).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style in Eastern European emerging markets.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18(3), 270-285. 

  23. Men's cosmetics look forward 1 trillion won with increase of grooming men this year. (2012, May 3). Medical Today, p. 13. 

  24. Men's market explodes - men who groom like 30s in their 50s. (2011, September 22). Chosunbiz. p. B3. 

  25. Morry, M. M., & Staska, S. L. (2001). Magazine exposure: Internalization, self-objectification, eating attitude, and body satisfaction i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33(4), 269-279. 

  26. Mort, F. (1996). Cultures of consumption: Masculinities and social space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Britain. London: Routledge. 

  27. Nam, S. J. (2010a). A study of metro-sexual consumption behavior: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1(1), 161-180. 

  28. Nam, S. J. (2010b). Metro-sexual consumption in accordance with identity of gender roles, self-esteem and cultural-soci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1), 91-102. 

  29. Simpson, M. (1994). Here come the mirror men. The Independent. In J. J. Lee & E. K. Park (2004). Lifestyle & Trend (pp. 130-131). Seoul: Yekyong. 

  30. Sung, Y. S., Park, E. A., Choi, K. Y., & Han, S. (2009). An exploratory study of male grooming behavior: Focused on grooming motives, sex-role, and appearance-oriented tendency.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12(4), 47-70. 

  31. Sung, H. W., & Jeon, Y. J. (2006). Intention to return to online shopping malls by men of digital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11), 1618-1625. 

  32. Woo, J. Y. (2005). Metrosexual trend and appearance control behavior by lifestyle of twenties-thirties 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33. Yoo, C. J., & Jung, H. E. (2002). Exploratory research of consumers' beauty seeking behavior: men's decoration behavior & women's makeup, cosmetic surgery, and fitnes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3(1), 211-2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