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통 분만, 질출혈과 성폭행 환자에 대한 119구급대원의 병원전 응급처치 분석
Analysis on prehospital care of emergency labor pain, vaginal bleeding and sexual assault patients by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7 no.2, 2013년, pp.9 - 20  

백미례 (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prehospital emergency care for patients with labor pain, vaginal bleeding and rape experience by analyzing the report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Methods: Data were prehospital reports of 190 patients having chief co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19 구급활동일지에 기록된 내용 중 분만 진통, 질출혈과 성폭행을 주호소로 한 환자에 대한 병원 전 환자평가와 응급처치를 분석하여 성폭행과 산부인과 환자에게 제공하는 병원 전 응급처치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19구급대의 구급활동일지에서는 산부인과 환자에 대한 분류를 어떻게 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응급의료체계의 병원 전 단계에 해당하는 119구급대의 구급활동일지에는 다양한 산부인과 환자에 대한 분류를 질출혈과 분만 통증, 성폭행으로 나누고 있다[4]. 하지만 119 구급대의 응급처치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심혈관관계[5]나 호흡기계 질환[6]이나 저혈당과 같은 내과환자[7,8], 손상 환자[9,10]와 소아환자의 처치 중심[11]으로 이루어졌거나 또는 일개 지역의 출동 전체를 분석[12,13]하였지만 분만 통증, 질출혈과 성폭행 환자의 처치 기록 분석을 통해 병원 전에서 주로 나타나는 산부인과적 질환이나 손상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거나 이에 대한 환자평가와 응급처치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 2조 제 1호는 어떤 내용인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 2조 제 1호에서는 분만 또는 성폭력으로 인하여 산부인과적 검사 또는 처치가 필요한 증상이 있는 자를 ‘응급증상 및 이에 준하는 증상’에 포함시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응급환자로 분류하고 있다[2]. 이러한 산부인과적 응급 환자는 여성생식기계통의 질병이나 성폭행으로 인한 복통과 질출혈을 호소하거나 또는 응급분만 등으로 인한 분만통증을 호소하는 등의 다양한 응급 상황을 유발한다[3].
119구급대원의 병원 전 응급처치의 연구들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응급의료체계의 병원 전 단계에 해당하는 119구급대의 구급활동일지에는 다양한 산부인과 환자에 대한 분류를 질출혈과 분만 통증, 성폭행으로 나누고 있다[4]. 하지만 119 구급대의 응급처치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심혈관관계[5]나 호흡기계 질환[6]이나 저혈당과 같은 내과환자[7,8], 손상 환자[9,10]와 소아환자의 처치 중심[11]으로 이루어졌거나 또는 일개 지역의 출동 전체를 분석[12,13]하였지만 분만 통증, 질출혈과 성폭행 환자의 처치 기록 분석을 통해 병원 전에서 주로 나타나는 산부인과적 질환이나 손상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거나 이에 대한 환자평가와 응급처치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호소가 분만통증, 질출혈과 성폭행인 환자에 대한 병원 전 단계에서 119구급대원이 실시한 환자평가와 응급처치 기록을 분석함으로서, 주로 발생되는 산부인과 관련 응급질환 및 손상을 확인하고 환자평가 및 응급처치의 개선점을 찾아 산부인과 관련 응급환자에 대한 119구급대원의 병원 전 응급처치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시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tatistics Korea. Statistical yearbook of rescue-aid. Available at: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634&bbsINDX_001&clas_divC&rootKey6.48.0, 2011. 

  2.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query%EC%9D%91%EA%B8%89%EC%9D%98%EB%A3%8C%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x53&y6#liBgcolor0, 2011. 

  3. Bledsoe BE, Porter RS, Cherry RA. Paramedic care: principles & practice medical emergencies. New Jersey: Prentice Hall, 2001. 637-51. 

  4. Prehospital record completion method,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Rescue and EMS division, 2012. 

  5. Lee HN, Cho KJ. Analysis on emergency care to the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pre-hospital and in-hospital phase.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1):10-20. 

  6. Yun SW, Choi BR, Lee KY. Prehospital care of patients with dyspnea by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1):41-50. 

  7. Ahn HJ. Prehospital treatments of the patient with hypoglycemia by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analysis of the current data and survey. J Korean Soc Emerg Med 2010;14(1):31-46. 

  8. Yoon JG.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emergency care by first aid staffs during transfer of patients with hypoglycemiafocused on the emergency center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 Korean Soc Emerg Med 2005;9(1):111-9. 

  9. Yun SW, Lee KY. Prehospital car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o trauma patients. J Korean Soc Emerg Med 2011;15(2):43-54. 

  10. Kim JH, Lee KY, Prehospital care and improvement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for the insect bite pati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13;17(1):63-78. 

  11. Yun JG, Lee JY. The status quo of offering help in emergency room on pediatric patients with 119 rescuer-focused on the emergency center of c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 Korean Soc Emerg Med 2007;11(3):119-28. 

  12. Choi KM. An analysis on the prehospital care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squads in Gyeonggi area and improvement methods-focusing on prehospital care. Korean J Emerg Med Ser 2008;12(3):55-70. 

  13. Uhm TH. An analysis of emergency care based on prehospital care reports. J Korean Soc Emerg Med 2005;9(1):101-9. 

  14.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unicipality the census result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Available at: http://www.mospa.go.kr/gpms/ns/mogaha/user/userlayout/bulletin/userBtView.action?userBtBean.bbsSeq1022595&userBtBean.ctxCd1291&userBtBean.ctxType21010002¤tPage1, 2012. 

  15. Statistics Korea. 2011, Statistical of population. Available at: http://kostat.go.kr, 2011. 

  16. Lyu EK, Kim MH, Kim SA, Park SA, Shin HS, Ahn SH, et al. Maternity & Women's Health care, 8th ed. Seoul: Hyunmoonsa, 2005. 300-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