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수지표의 변화시점(change point) 분석을 이용하여 기후의 특성이 점진적 또는 급진적으로 변화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강수지표를 크게 총량(amount), 극치(extremes)와 빈도(frequency)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지수를 RIA(Rainfall Index for Amount), RIE(Rainfall Index for Extremes)와 RIF(Rainfall Index for Frequency)로 정의하였다. 계산된 강수지표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BCP(Bayesian Change Point)를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남한지역의 강수지표는 연 강우일수와 200년 빈도 확률 강수량을 제외하고는 모두 증가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IA는 울릉도 지점에서 변화지점의 유의성에 대해 매우 명확한 모습을 보였고 RIE는 제천, 서귀포와 구미 등에서 비교적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1990년대 이후에 변동지점의 개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변동지점의 횡적인 폭 또한 비교적 넓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볼 때 강수에 대한 정상성 가정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리라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adually or radically chang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mate characteristic using change point analysis for the precipitation indicators were investigated. Significantly the amount, extreme and frequency were separated by precipitation indicators, each indicator RIA(Rainfall Index for Amou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후변화 및 이상기상으로 인하여 21세기 들어서 겪은 홍수는 그 크기와 발생빈도까지 증가하고 있어, 기존의 극치사상이 정상성이라는 가정을 무색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지표들을 이용하여 강우의 규모와 빈도 측면에 대한 변화패턴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강수지표 시계열에서의 변화시점과 변화패턴을 검토하기 위하여, Barry and Hartigan (1993)가 제안한 BCP 방법을 적용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하지만 최근까지의 국내 관련 연구동향은 경향성 변화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기후패턴의 급격한 변화와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변화시점(change point) 분석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점진적으로 발생하는지 혹은 급작스럽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강수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2장에서는 자료와 강수지수, 그리고 BCP(Bayesian Change Point)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언급하고, 3장에서는 강수지표 및 BCP 계산 결과를, 4장에서는 결론 및 향후연구를 서술하였다.

가설 설정

  • 이 모델의 관측값들은 독립적인 위치 i에서의 평균의 μi이고 분산이 σ2, 즉, N(μi, σ2)인 독립분포를 가지고 각각이 독립적인 위치 i에서 변화시점의 확률을 p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의 특징은 무엇인가? 기후는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하여 앞선 사례와 같이 서서히 변하기도 하지만 기후 특성이 갑작스럽게 변화할 수도 있다(Alley et al., 2003; Hare and Mantua, 2000).
기후변화의 정량적인 증거를 찾기 위한 다양한 선행 연구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상술한 기후변화의 정량적인 증거, 즉 비정상성(nonstationary)을 찾기 위하여 최근 들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이러한 선행 연구는 첫째, Mann-Kendall 및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으로 대표되는 경향성(trend) 분석을 적용, 관측자료의 증가 또는 감소 경향을 찾는 연구(Kim et al., 2008; Jeong et al., 2008; Kim et al., 2011), 둘째, 관측자료를 일정기간으로 구분하여 그 기간 동안의 변화율로 기후변화의 증거를 찾는 연구로 구분된다. 경향성 분석을 적용한 사례로 Jeong et al.
지구 평균기온의 추세는 어떠한가? 지난 100년(1906∼2005)간 지구 평균기온은 0.74℃ 상승하였으며, 최근 50년간 평균기온은 1.3℃/100년의 변화율로 상승하여 과거 100년간 변화보다 2배 가량 빠른 상승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추세는 20세기보다 21세기에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아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2100년의 지구 평균기온 변화는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ley, R. B., Marotzke, J., Nordhaus, W. D., Overpeck, J. T., Peteet, D. M., Pielke, R., Pierrehumbert, R. T., Rhines, P. B., Stocker, T. F., Talley, L. D., and Wallace, J. M. (2003). Abrupt climate change, Science, 299, 2005-2010. 

  2. Barry, D., and Hartigan, J. A. (1993). A bayesian analysis for change point problem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8(421), pp. 309-319. 

  3. Choi, Y. E. (2004). Trends 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Extreme Ev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5), pp. 711-721 

  4. Choi, Y. E., Park, C. Y. (2010). Distribution of Cold Surges and Their Changes in the Joongbu Regio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4(4), pp. 713-725. 

  5. Cox, D. R., Isham, V. S., and Northrop, P. J. (2002). Floods: some probabilistic and statistical approach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A, 360, pp. 1389-1408. 

  6. Elsner, J. B., Niu, X., and Bossak, B. H. (2004). Detecting shifts in hurricane rates using a Markov chain Monte Carlo approach, Journal of Climate, 17, pp. 2652-2666. 

  7. Erdman, C., and Emerson, J. W. (2007). bcp: A Package for Performing a Bayesian Analysis of Change Point Problems, R package version 1.8.4, URL (http://CRAN. Rproject.org/). 

  8. Hare, S. R. and Mantua, N. J. (2000). Empirical evidence for North Pacific regime shifts in 1977 and 1989, Progress In Oceanography, 47, pp. 103-145. 

  9. Hwang, S. H., Kim, J. H., Yoo, C. S., Jung, S. W. (2010). A Probabilistic Estimation of Changing Points of Seoul Rainfall Using BH Bayesian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7), pp. 645-655. 

  10. Iwashima, T., and Yamamoto, R. (1993).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xtreme events. Long-term trend of heavy daily precipitation, J. of Meteor, Soc. of Japan, 71, pp. 37-640. 

  11.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Summary for Pol. 

  12. Jeong, D. I., Stedinger, J. R., Sung, J. H., Kim, Y. O. (2008). Flood Risk Assessment with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1B), pp. 55-64. 

  13. Kim, B. S., Lee, J. K., Kim, H. S., Lee, J. W. (2011).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with Climate Variability using Conditional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13(3), pp. 499-514. 

  14. Kim, B. K., Kim, B. S., Kim, H. S. (2008). On the Change of Extreme Weather Event using Extreme Ind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1B), pp. 41-53. 

  15. Lee, K. M., Baek, H. J., Jo, C. H., Kwon, W. T. (2011). The recent (2001-2010) changes 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related to normals (1971-2000)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5(2), pp. 237-248. 

  16. Lee, K. M., Sung, J. H., Kim, Y. O., Lee, S. H. (2011). Change-point Analysis of Mean Temperature and Extreme Temperature in the 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6(5), pp. 583-596. icymakers. R. Alley et al. (http://ipcc-wg1.ucar.edu/). 

  17. Lund, R. and Reeves, J. (2002). Detection of undocumented change points: a revision of the two-phase regression model, Journal of Climate, 15, pp. 2547-2554. 

  18. Lupikasza, E. (2009).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extreme precipitation in Poland in the period 1951- 2006,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0(7), pp. 991-1007. 

  19.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2008). Development of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 for the National Climate Change(Ⅳ). Study result. 

  20.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2009) 기후변화 이해하기III. 서울의 기후변화. 

  21. Solow, A. R. (1987). Testing for climate change: An application of two-phase regression model,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26, pp. 1401-14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