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유식물과 침수식물이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oating and Submerged Plants on Important Water Environments of Wetland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5 no.3, 2013년, pp.289 - 300  

이근주 (국립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성기준 (국립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습지식물의 유형에 따라 습지의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유식물로는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을 침수식물로는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을 인공습지 실험구에 도입한 후 pH, 용존산소, 수온, 산환환원전위, 영양물질 농도 등 주요 수 환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 표면에 주로 존재하는 부유식물은 빛이 수체내로 투과하는 것을 막아,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온이 낮게 나타났으며 주 야 모두 상 하층 수온의 차이도 관찰되었다. 오염물 유입 후 모든 실험구에서 용존 산소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였다가 다시 회복되었는데 특히 수중에서 광합성을 하는 침수식물 처리구에서 주기성을 가지면서 증가하였고 상승폭 또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pH 또한 침수식물 처리구에서 주기성을 가지면서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나 용존산소의 경우와 같이 광합성의 영향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습지토양의 산환환원전위가 수생식물의 유무나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관찰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생지화학적 기작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체 내 총질소와 총인의 농도는 물만 있는 대조구 <물과 토양이 있는 대조구 < 부유식물 처리구 < 침수식물 처리구의 순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식물이 영양물질 제거에도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부유식물과 침수식물 모두 조류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부유식물의 경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wo types of wetland plants, Eichhornia crassipes (a floating plant) and Ceratophyllum demersum (a submerged plant) were introduced to wetland mesocosms to understand how the water properties of wetlands such as pH, dissolved oxygen content, water temperature, oxidation reduction po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습지식물의 유형에 따라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며 오염정화능이나 영양물질 순환과 관련된 습지의 생지화학기작 또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습지식물의 유형에 따른 습지 수 환경 변화를 잘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지의 수면에 생육하는 부유식물과 수면아래에서 생육하는 침수식물을 대상으로 이들이 주요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인공습지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 , 2005). 본 실험에서는 각 처리구에서 오염물 유입 후 하층수와 토양에서의 산환환원전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모든 처리구에서 상·하층의 차이는 없었으나 처리구간의 차이는 관찰되었는데 물만 토양이 있는 처리구와 부유식물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1).
  •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유형이 수심이 얕은 습지의 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유식물로는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을 침수식물로는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을 인공습지 실험구에 도입한 후 수 환경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특히 NO3-N의 경우 식물이 있는 처리구와 유사한 주기성을 가지고 증감하며 용존산소의 농도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보아 (Figs. 2 (c) and (d)), 본 실험에서 측정하지는 않았지만 토양이나 수체에 존재하는 조류의 영향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부유식물이나 침수식물 처리구의 경우 물과 토양만 있는 처리구에 비해 NO2-N이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식물이 없는 다른 처리구들보다 질산화가 더 빠르게 일어나면서 NO3-N로 변환하였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식물이란 무엇인가? 습지식물은 식물의 생활사 중에 적어도 한시기는 식물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물속에 생육하는 식물로서, 생육하는 수심이나 토양의 수분환경에 따라 정수식물, 부유식물, 부엽식물, 침수식물로 구분한다(Cronk and Fennessy, 2001). 습지식물은 다양한 생지화학적 기작을 통하여 습지의 수질정화와 물질순환 기작에 영향을 미친다.
습지식물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습지식물은 식물의 생활사 중에 적어도 한시기는 식물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물속에 생육하는 식물로서, 생육하는 수심이나 토양의 수분환경에 따라 정수식물, 부유식물, 부엽식물, 침수식물로 구분한다(Cronk and Fennessy, 2001). 습지식물은 다양한 생지화학적 기작을 통하여 습지의 수질정화와 물질순환 기작에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len, WC, Hook, PB, Biederman, JA and Stein, OR (2002). Temperature and wetland plant species effects on wastewater treatment and root zone oxid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1, pp. 1010-1016. 

  2. Brix, H (1997). Do macrophytes play a role in constructed treatment wetlands. Water Science Technology, 35(5), pp. 11-17. 

  3. Brix, H (1994). Functions of macrophytes in constructed wetlands, Water Science Technology, 29(4), pp. 71-78. 

  4. Cronk, JK and Fennessy, MS (2001). Wetland Plants: Biology and Ecology. Lewis Publishers, Washington D.C. USA. 

  5. Dierberg, FE, DeBusk, TA, Jackson, SD, Chimmey, MJ and Pietro, K (2002). Submerged aquatic vegetationbased treatment wetlands for removing phosphorus from agricultural runoff: response to hydraulic and nutrient loading. Water Research, 36, pp. 1409-1422. 

  6. Faulwetter, JL, Gagnon, V, Sundberg, C, Chazarenc, F, Burr, M. D, Brisson, J, Camper, AK and Steina, OR (2009). Microbial processes influencing performance of treatment wetlands: a review, Ecological Engineering, 35, pp. 987-1004. 

  7. Frodge, JD, Thomas, GL and Pauley, GB (1990). Effects of canopy formation by floating and submergent aquatic macrophytes on the water quality of two shallow pacific northwest lakes. Aquatic Botany, 38, pp. 231-248. 

  8. Gersberg, RM, Elkins, BV, Lyon, SR and Goldman, CR (1986). Role of aquatic plants in wastewater treatment by artificial wetlands, Water Research, 20(3), pp. 363-368. 

  9. Hill, DT, and Payton, JD (2000). Effect of plant fill ratio on water temperature in constructed wetlands, Bioresource Technology, 71, pp. 283-289. 

  10. Jones, JI, Yooung, JO, Eaton, JW and Moss, B (2002). The influence of nutrient loading, dissolved inorganic carbon and higher trophic levels on the interaction between submerged plants and periphyton, Journal of Ecology, 90, pp. 12-24. 

  11. Kadlec, RH and Wallace, SD (2009). Treatment Wetlan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12. Kim, C, Ko, J, Lee, J, Park, S, Ku, Y and Kang, H (2007). Selection of aquatic plants having high uptake ability of pollutants in raw sewage treat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6(1), pp. 25-35. [Korean Literature] 

  13. Knight, RL, Binge, G, Clarke, RA and Newman, JM (2003). Long term phosphorus removal in florida aquatic systems dominated by submerged aquatic vegetation. Ecological Engineering, 20, pp. 45-63 

  14. Korean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KMOAF) (2004). Design and Management of Constructed Wetlands for Agricultural Water Quality Improvement, Korean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pp. 69-69. [Korean Literature] 

  15.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2008). Water Pollution Testing Methods,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6. Lee, G and Sung, K (2012). Evaluation of the nutrient uptakes of floating and submerged plant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8(1), pp. 71-77. [Korean Literature] 

  17. Meerhoff, M, Mazzeo, N, Moss, B and Rodriguez-Gallego, L (2003). The structuring role of free-floating versus submerged plants in a subtropical shallow lake, Aquatic Ecology, 37, pp. 377-391. 

  18. Mitsch, WJ and Gosselink, JG (2000). Wetlands, John Wiley & Son, New York. 

  19. Paul, EA and Clark, FE (1989). Soil Microbiology and Biochemistry. Academic Press, Inc., San Diego, CA. USA. 

  20. Picard, CR, Fraser, LH and Steer, D (2005). The interacting effects of temperature and plant community type on nutrient removal in wetland microcosms, Bioresource Technology, 96, pp. 1039-1047. 

  21. Reddy, KR and D'Angelo, EM (1997). Biogeochemical indicators to evaluat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constructed wetlands, Water Science Technology, 35(5), pp. 1-10. 

  22. Reddy, KR, Diaz, OA, Scinto, LJ and Agami, M (1995). Phosphorus dynamics in selected wetlands and streams of the lake okeechobee basin. Ecological Engineering, 5, pp. 183-207. 

  23. Rogers, KH, Breen, PF and Chick, AJ (1991). Nitrogen removal in experimental wetland treatment systems: evidence for the role of aquatic plants, Research Journal of the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63(7), pp. 934-941. 

  24. Scheffer, M, Carpenter, S, Foley, JA, Folke, C and Walker, B (2001). Catastrophic shifts in ecosystems. Nature, 413, pp. 591-596. 

  25. Sung, K, Yi, YM, Chung, YH and Park, S (2010). Development of phragmites communis expansion control methods at the wetland ecological park,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5), pp. 1-11. [Korean Literature] 

  26. Vymazal, J (2007). Removal of nutrients in various types of constructed wetlands,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380, pp. 48-65. 

  27. Yang, H (2011). Comparison of seasonal nitrogen removal by free-water surface wetlands planted with iris pseudacorus L.,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1), pp. 121-132 [Korean Literature] 

  28. Yi, YM, Kang, D and Sung, K (2009). Germination experiments using natural wetland soil for introducing non-emergent plants into a constructed wetland,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1(1), 39-48. [Korean Literature] 

  29. Yi, YM, Lee, S and Sung, K (2010). Effects of submerged plants on water environment and nutrient reduction in a wetla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6(1), pp. 19-2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