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리적인 교란 (여름 강우)에 대한 동물플랑크톤 서식처로서 수생식물의 중요성
Role of Aquatic Macrophytes as Refuge of Zooplankton on Physical Distribution (Summer Rainfall) in Shallow Wetlands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9 no.4, 2016년, pp.308 - 319  

최종윤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김성기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김동환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주기재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물리적인 교란(강우 발생)에 대한 동물플랑크톤의 피난처로서 수생식물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17개 습지의 수변부와 개방수역에서 환경 요인, 수생식물, 동물플랑크톤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1종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Polyarthra sp. 및 Diaphanosoma brachyurum 등의 부유성 성향을 가진 종이 주로 우점하였다. 습지의 수변부에서는 털물참새피, 마름, 붕어마름 등 10종 정도의 수생식물이 출현하였으며, 습지에 따라 종조성이나 생체량 등이 상이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개방수역에서는 수생식물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습지에서 개방수역보다 수변부에서 더 높은 동물플랑크톤 밀도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1번, 8번, 9번, 10번, 11번, 16번 습지의 수변부에 서식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강우 발생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증가된 밀도를 보였다. 이들 습지의 수변식생대는 침수식물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습지보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수생식물종에 의해 구성된 특징을 가졌다. 침수식물이 수생식물 중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점을 감안하면, 침수식물의 존재는 식생대 내 서식처 복잡성에 크게 기여하며 강우와 같은 교란 요인에 저항하기 위한 피난처로서 높은 효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침수식물은 서식 특성상 다양한 식물과 공존이 가능하며, 식생대 내 수생식물의 생체량을 증가시켜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생식물은 강우와 같은 교란 발생에 대한 생물다양성의 유지 및 증가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우리나라와 같이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는 지역의 경우 플랑크톤 등 생물상에 대한 천이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the role of macrophytes as refuge of zooplankton on physical distribution (i.e. summer rainfall), we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factors, macrophytes, and zooplankton in waterside zones (macrophytes zones) and open water zones of 17 wetlands from May and August, 2011. In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리적인 교란(강우 발생)에 대한 동물플랑크톤의 피난처로서 수생식물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17개 습지의 수변부와 개방수역에서 환경 요인, 수생식물, 동물플랑크톤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51종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Polyarthra sp.
  • 본 연구 결과는 국내외로 다양하게 제시되었던 ‘수생식물의 역할’ 규명에서 생물 간 상호작용뿐만이 아닌 물리적인 교란 요인(강우량)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습지의 수변에 발달된 식생대가 강우 발생에 대한 동물플랑크톤의 피난처로서 종다양성과 밀도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며 다양한 생물 군집 (특히 플랑크톤)의 계절천이에 주요 교란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수생식물의 피난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여름 이후(주로 가을) 생물의 종다양성과 분포 파악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는 어떠한 요소이고, 영향을 미치는가? 강우는 담수생태계 내 주요 교란요소로서, 다양한 생물들의 시간적 및 공간적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Alexander and Whlaen, 1998; Hamilton et al., 2001).
수생태계에서 강우 발생으로 야기할 수 있는 것은? Osore et al. (1997)와 Campbell (2002)은 수생태계에서 강우 발생은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강이나 하천에서 발생하는 흐름은 여름철 강우 발생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되기 때문에(Jeong et al.
습지나 연못과 같은 정수생태계에서는 동물플랑크톤의 풍부도가 높고 생물종이 다양한 이유는? 그러나 습지의 수표면에서는 대부분 수생식물이 빈번하게 우점하기 때문에 강우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가 감소되기도 한다. 특히 부착 성향을 가진 동물플랑크톤 종(예, Alona, Chydorus, Pleuroxus)의 경우, 수생식물의 잎이나 줄기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수위 상승이나 수체의 흔들림에 대해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수생식물이 풍부한 습지나 연못과 같은 생태계에서 높은 풍부도를 가질 수 있다(Choi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exander, V., C.S. Whalen and K.M. Klingensmith. 1989. Nitrogen cycling in arctic lakes and ponds. Hydrobiologia 172: 165-172. 

  2. Angeler, D.G., M. Alvarez-Cobelas, C. Rojo and S. Sanchez-Carrillo. 2000. The significance of water inputs to plankton biomass and trophic relationships in a semi-arid freshwater wetland (central Spain).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2: 2075-2093. 

  3. Brinson, M.M., A.E. Lugo and S. Brown. 1981. Primary productivity, decomposition and consumer activity in freshwater wetland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2: 123-161. 

  4. Campbell, C.E. 2002. Rainfall events and downstream drift of microcrustacean zooplankton in a Newfoundland boreal stream. Canadian Journal of Zoology 80: 997-1003. 

  5. Cattaneo, A., G.G. Galanti, S. Gentinetta and S. Romo. 1998. Epiphytic algae and macroinvertebrates on submerged and floating-leaved macrophytes in an Italian lake. Freshwater Biology 39: 725-740. 

  6. Cheruvelil, K.S., P.A. Soranno, J.D. Madsen and M.J. Roberson. 2002. Plant architecture and epiphyt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the role of an exotic dissected macrophyte.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21: 261-277. 

  7. Choi, J.Y., K.S. Jeong and G.J. Joo. 2015. Rainfall as dominant driver of rotifer dynamics in shallow wetlands: Evidence from a long-term data record (Upo Wetalnds, South Korea). International Review of Hydrobiology 100: 21-33. 

  8. Choi, J.Y., K.S. Jeong, G.H. La, H.W. Kim, K.H. Chang and G.J. Joo. 2011. Inter-annual variability of a zooplankton community: the importance of summer concentrated rainfall in a regulated river ecosystem.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4: 49-58. 

  9. Choi, J.Y., K.S. Jeong, S.K. Kim, G.H. La, K.H. Chang and G.J. Joo. 2014a. Role of macrophytes as microhabitats for zooplankton community in lentic freshwater ecosystems of South Korea. Ecological Informatics 24: 177-185. 

  10. Choi, J.Y., K.S. Jeong, G.H. La, S.K. Kim and G.J. Joo. 2014b. Sustainment of epiphytic microinvertebrate assemblage in relation with different aquatic plant microhabitats in freshwater wetlands (South Korea). Journal of Limnology 73: 197-202. 

  11. Choi, J.Y., S.K. Kim, G.H. La, K.S. Jeong, H.W. Kim, T.K. Kim and G.J. Joo. 2012. Microcrustacean community dynamics in Upo Wetlands: Impact of rainfall and physiochemical factor on microcrustacean community. Korea Journal of Limnology 45: 329-335. 

  12. Coulliette, A.D. and R.T. Noble. 2008. Impacts of rainfall on the water quality of the Newport River Estuary (Eastern North Carolina, USA). Journal of Water and Health 6: 473-482. 

  13. Gyllstrom, M., L.A. Hansson, E. Jeppesen, F. Garcia-Criado, E. Gross, K. Irvine, T. Kairesalo, R. Kornijow, M.R. Miracle, M. Nykanen, T. Noges, S. Romo, D. Stephen, E. Van Donk and B. Moss. 2005. The role of climate in shaping zooplankton communities of shallow lakes. Limnology and Oceanography 50: 2008-2021. 

  14. Hamilton, P.B., K. Gajewski, D.E. Atkinson and D.R.S. Lean. 2001. Physical and chemical limnology of 204 lakes from the Canadian Arctic Archipelago. Hydrobiologia 457: 133-148. 

  15. Jeong, K.S., D.K. Kim and G.J. Joo. 2007. Delayed influence of dam storage and discharge on the determination of seasonal proliferations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Stephanodiscus hantzschii in a regulated river system of the lower Nakdong River (South Korea). Water Research 41: 1269-1279. 

  16. Jeppesen, E., T.L. Lauridsen, T. Kairesalo and M.R. Perrow. 1998. Impact of submerged macrophytes on fish-zooplankton interactions in lakes, pp. 91-114. In: The Structuring Role of Submerged Macrophytes in Lakes (Jeppesen, E., M. Sondergaard and K. Christoffersen, eds.). New York. Springer. 

  17. Kim, D.K., K.S. Jeong, K.H. Chang, G.H. La, G.J. Joo and H.W. Kim. 2012. Patterning zooplankton communities in accordance with annual climatic conditions in a regulated river system (Nakdong River, South Korea). International Review of Hydrobiology 97: 55-72. 

  18. Kim, S.K., D.G. Hong, M. Kang, K.L. Lee, H.Y. Lee, G.J. Joo and J.Y. Choi. 2015. Zooplankton Community Dynamic in Lentic Freshwater Ecosystems in the Nakdong River Bas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 410-420. 

  19. Kochsiek, K.A., J.L. Wilhm and R. Morrison. 1971. Species diversity of net zooplankton and physiochemical conditions in Keystone Reservoir, Oklahoma. Ecology 52: 1119-1125. 

  20. Lauridsen, T.L. and D.M. Lodge. 1996. Avoidance by Daphnia magna of fish and macrophytes: Chemical cues and predator-mediated use of macrophyte habitat. Limnology and Oceanography 41: 794-798. 

  21. Lodge, D.M. 2001. Littoral zone structures as Daphnia refugia against fish predators. Limnology and Oceanography 46: 230-237. 

  22. Lynch, M. 1979. Predation, competition, and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 experimental study. Limnology and Oceanography 24: 253-272. 

  23. Manatunge, J., T. Asaeda and T. Priyadarshana. 2000. The influence of structural complexity on fish-zooplankton interactions: A study using artificial submerged macrophytes.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58: 425-438. 

  24. Meerhoff, M., C. Iglesias, F.T. De Mello, J.M. Clemente, E. Jensen, T.L. Lauridsen and E. Jeppesen. 2007. Effects of habitat complexity on community structure and predator avoidance behaviour of littoral zooplankton in temperate versus subtropical shallow lakes. Freshwater Biology 52: 1009-1021. 

  25. Mizuno, T. and E. Takahashi. 1991. An Illustrated Guide to Freshwater Zooplankton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26. Osore, M.K.W., M.L.M. Tackx and M.H. Daro. 1997. The effect of rainfall and tidal rhythm on the community structure and abundance of the zooplankton of Gazi Bay, Kenya. Hydrobiologia 356: 117-126. 

  27. Quintana, X.D. 2002. Measuring the intensity of disturbance in zooplankton communities of Mediterranean salt marshe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4: 255-265. 

  28. Reynolds, C.S., V. Huszar, C. Kruk, L. Naselli-Flores and S. Melo. 2002. Towards a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the freshwater phytoplankton.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4: 417-428. 

  29. Riisgard, H.U., C.V. Madsen, C. Barth-Jensen and J.E. Purcell. 2012. Population dynamics and zooplankton-predation impact of the indigenous scyphozoan Aurelia aurita and the invasive ctenophore Mnemiopsis leidyi in Limfjorden (Denmark). Aquatic Invasions 7: 147-162. 

  30. Rosenberry, D.O. and T.C. Winter. 1997. Dynamics of watertable fluctuations in an upland between two prairie-pothole wetlands in North Dakota. Journal of Hydrology 191: 266-289. 

  31. Sakuma, M., T. Hanazato, R. Nakazato and H. Haga. 2002. Methods for quantitative sampling of epiphytic microinvertebrates in lake vegetation. Limnology 3: 115-119. 

  32. Sass, G.G., C.M. Gille, J.T. Hinke and J.F. Kitchell. 2006. Wholelake influences of littoral structural complexity and prey body morphology on fish predator-prey interactions. Ecology of Freshwater Fish 15: 301-308. 

  33. Stansfield, J.H., M.R. Perrow, L.D. Tench, A.J. Jowitt and A.A. Taylor. 1997. Submerged macrophytes as refuges for grazing Cladocera against fish predation: observations on seasonal changes in relation to macrophyte cover and predation pressure. In Shallow Lakes' 95 (pp. 229-240). Springer Netherlands. 

  34. Van Donk, E. and W.J. van de Bund. 2002. Impact of submerged macrophytes including charophytes on phyto- and zooplankton communities: allelopathy versus other mechanisms. Aquatic Botany 72: 261-274. 

  35. Victor, R. and J.R. Victor. 1997. Some aspects of the ecology of littoral invertebrates in a coastal lagoon of southern Oman. Journal of Arid Environments 37: 33-44. 

  36. Wetzel, R.G. and G.E. Likens. 2000. Limnological Analyses. Springer-Verlag, New York, pp. 20-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