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물리치료사와 소아작업치료사의 보조공학 활용 수준 및 자신감
A Study on Assistive Technology for Pediatric Therapis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5 no.1, 2013년, pp.1 - 9  

김경아 (한서대학교 재활과학기술학과) ,  정동훈 (나사렛대학교 재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utilization and confidence in assistive technology (AT) for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PPTs) and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POT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AT in clinic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7 therap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조공학기기와 보조공학서비스는 상호보완적이며 단순히 보조공학기기의 제공만으로는 성공적인 보조공학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미국의 보조공학법과 장애인교육법에서도 이를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를 준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소아물리치료사와 소아작업치료사의 보조공학 활용 수준과 자신감을 알아보기 위해 보조공학기기와 보조공학서비스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국내 물리치료 분야에서 보조공학에 대한 기초연구가 상당히 부족한 상태이므로 비교적 직무 내용과 성격이 유사하고 보조공학 관련 기초 연구 결과가 존재하는 작업치료 분야와의 상대 비교를 통해 소아물리치료사의 보조공학 활용 실태와 체감하는 역량 수준을 가늠해 보고, 임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소아물리치료사와 소아작업치료사의 보조공학 직무관련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조공학이란 무엇인가? 보조공학은 재활 각 분야의 다양한 기반 지식 위에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활용기술로서 환자나 장애인의 신체 기능과 독립성, 사회 접근성을 증진시키는 등 다양한 긍정적 기회를 창출하므로 의료재활을 비롯한 여러 영역에서 보조공학의 활용을 시도하고 있다. 1,2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는 신경계 및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장애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자세유지, 이동, 물리적 접근, 일상생활동작 분야의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장애아동은 보조공학 조기중재의 효과가 크므로 소아물리치료사와 소아작업치료사는 보조공학의 활용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보조공학기기와 보조공학서비스는 각각 무엇인가? 보조공학기기는 휠체어, 의사소통기기, 식사보조도구, 자세보조용구 등과 같이 유형의 것으로 하드웨어적 개념이고, 보조공학서비스는 개인의 요구에 맞는 기기를 선택, 처방, 획득하고 사용방법을 훈련하며 수리 및 개조가 필요한 경우 이를 지원하는 일련의 활동, 즉 보조공학기기의 활용을 위한 방법론으로 소프트웨어적 개념이다. 보조공학기기와 보조공학서비스는 상호보완적이며 단순히 보조공학기기의 제공만으로는 성공적인 보조공학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미국의 보조공학법과 장애인교육법에서도 이를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를 준용하고 있다.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는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가? 보조공학은 재활 각 분야의 다양한 기반 지식 위에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활용기술로서 환자나 장애인의 신체 기능과 독립성, 사회 접근성을 증진시키는 등 다양한 긍정적 기회를 창출하므로 의료재활을 비롯한 여러 영역에서 보조공학의 활용을 시도하고 있다. 1,2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는 신경계 및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장애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자세유지, 이동, 물리적 접근, 일상생활동작 분야의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장애아동은 보조공학 조기중재의 효과가 크므로 소아물리치료사와 소아작업치료사는 보조공학의 활용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3-5 소아물리치료사와 소아작업치료사가 장애아동에게 보조공학을 제공함으로써 얻는 효과는 과거 20년 전부터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으며, 재활치료에서 보조공학 중재는 자립과 과제 수행을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전략으로 밝혀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eong DH.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the assistive technology in Korea: focused on journal in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from 1998 to 2008. Korean J Phys Mult Disabil. 2009;52(1):97-124. 

  2. Jeong DH.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physical therapists for assistive technology. J Korean Soc Phys Ther. 2011;23(2):77-84. 

  3. Jennifer A, Buning ME. High-technology adaptations to compensate of disability. 5th ed. Philadelp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389-419. 

  4. Bergen AF, Presperin J, Tallman T. Positioning for function: wheelchairs and other assistive technologies. New York, Valhalla Rehabilitation Publication, 1990:526-55. 

  5. Washington K, Deitz JC, White OR et al. The effects of a contoured foam seat on postural alignment and upper-extremity function in infants with neuromotor impairments. Phys Ther. 2002;82(11):1064-76. 

  6. Ivanoff SD, Iwarsson S, Sonn U.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on assistive technology and physical environmental issues: a literature review. Can J Occup Ther. 2006;73(2):109-19. 

  7. Swinth YL. Assistive technology in early intervention: theory and practice. 2nd ed. Woburn, Butterworth Heinemann, 1998:114-25. 

  8. Long TM, Woolverton M, Perry DF et al. Training needs of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in assistive technology. Am J Occup Ther. 2007;61(3):345-54. 

  9. Miller PJ. Using technology to enable occupation. Occu Ther Now. 2002:23-5. 

  10. Kraskowsky LH, Finlayson M. Factors affecting older adults' use of adaptive equipment: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Occup Ther. 2001;55(3):303-10. 

  11. Long TM, Perry DF.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perceptions of their training in assistive technology. Phys Ther. 2008;88(5):629-39. 

  12. Jung CG. Korea occupation dictionar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eoul, KEIS, 2012:1598-9. 

  13. Cook AM, Hussey SM. Assistive technologies: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St. Louis, Mosby, 2002. 

  14. Oh DY. The study on strategies for promoting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of Korea.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8. 

  15. Mann WC, Lane JP. Assistive technolog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ethesda,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1995. 

  16. Galvin JC, Scherer MJ. Evaluating, selecting and using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Gaithersburg, Aspen Publisher, 1996:86-110. 

  17. Chang MY, Kwon HC, Kim KM et al. The study on education and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toward assistive technology. J Korean Soc Occu Ther. 2007;15(1):105-14. 

  18. Jung MY, Kim JR, Min KC et al. An offer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 and ergonomic approach to improve functional capacity of the disabled. Disability and Employment. 2006;16(2):27-48. 

  19. Chang MY, Jung HY. Delphi-method on course subject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as assistive technology practitioners: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in general and for the age. J Korean Soc Occu Ther. 2010;18(2):39-49. 

  20. Chae SY, Lee HK, Yoo EY. A pilot study to incorporate assistive technology into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n Korea. J Korean Soc Occu Ther. 2007;15(1):91-103. 

  21. Hong SP, Cha YJ. A study of occupational therapists' role on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services of technology in foreign countries. Korean Soc Assist Technol. 2009;1(1):1-9. 

  22. Chang MY, Hwang KC, Ahn DH. The effec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skills and satisfaction of life using assistive devices i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J Korean Soc Occu Ther. 2005;13(2):1-8. 

  23. Lee HY, Lee IH, Kim K. Clinical reasoning by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in south Korea.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5):377-82. 

  24. Jung KS, Jung YJ. The effect of changes of walking aids on weight bearing on the cane and foot in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2):113-7. 

  25. Gitlow L, Sanford T. Assistive technology education needs of allied health professionals in a rural state. J Allied Health. 2003;32(1):46-51. 

  26. Shim JH, Yoon TH.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ists. J Korean Soc Phys Ther. 2011;23(1):67-75. 

  27. Weintaub H, Bacon C, Wilcox M. AT and young children: confidence, exeperience, education of intervention provider. Research Brief, 1,2. retrieved 2(10). 2004. 

  28. Wilcox M, Guimond A, Campbell P. Provider perspectives on the use of assistive technology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Top Early Child Spec Educ. 2006;26:33-49. 

  29. Park SK, Ji HY, Heo JW. Effects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unction in disabled persons living at home. J Korean Soc Phys Ther. 2011;23(2):61-8. 

  30. Suh TS, Kim KT, Jun KH. Analysing the problem of the caregiver education system through a research of caregiving service activity. J Korean Soc Phys Ther. 2008;20(4):6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