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7 no.1, 2017년, pp.59 - 70  

임영명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이지용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조성준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안예슬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유두한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가상 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그 효과와 국내 적용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료의 검색을 위해 EMBASE, CINAHL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주요 용어는 "Virtual Reality", "Telerehabilitation", "Stroke"으로 관련 연구를 검색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7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수준, 일반적 특성, PICO를 사용하여 연구 주제에 따른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선정된 7편의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으로 한 원격재활 시스템으로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가상현실은 게임 프로그램과 수동적인 팔 보조 그리고 Balance Trainer등을 활용하여 원격재활 중재를 실시하였다. 주된 결과 측정도구는 상지기능, 균형 및 보행, 일상생활 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가 사용되었다.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중재방법은 모든 연구에서 상지기능, 균형감각능력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일상생활 활동에서의 부분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환경적 특이성을 보완하기 위한 원격재활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기능의 유지를 위한 중재법으로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시스템은 대부분 상지기능과 균형감각,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중재가 적용되었으며, 가정환경에서도 치료사의 중재, 감독, 교육 등을 통해 기능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에서 다양한 가상현실의 중재방법과 원격재활을 활용한 재활 프로그램 개발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remote rehabilitation on stroke patients systematically and to look for its effect and how to apply it domestically. Methods : In order to search data, EMBASE and CINAHL database were used. Relevant research u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위한 가상현실 기반의 원격재활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중재를 위한 신진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회복은 무엇에 의해 변화되는가? 뇌졸중 환자의 회복은 신경생리학적(Neurophysiology)으로 신경가소성(neural plasticity)에 의해 변화되며, 운동 장애의 기능적 회복을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Kwakkel, 2006). 재활치료는 뇌 조직의 기능적인 재구조화를 촉진시키는 과정이며, 이러한 신경가소성의 변화는 행동과 감각, 경험에 의해 신경계 변화가 이루어진다(Kleim & Jones, 2008).
가상현실과 원격재활 시스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시스템은 건강관리 분야의 비용 절감, 조기 퇴원으로 지역사회 복귀를 촉진하고 삶의 질 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Cikajlo, Rudolf, Goljar, Burger & Matjačić, 2012). 하지만 국내 임상에서는 원격재활에 관한 연구 부족, 시스템 운영과 정착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으며 임상적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보고하고 있다(Han et al., 2012).
뇌졸중 환자의 가정환경에서의 홈 프로그램의 한계는 무엇인가? 재활치료는 뇌 조직의 기능적인 재구조화를 촉진시키는 과정이며, 이러한 신경가소성의 변화는 행동과 감각, 경험에 의해 신경계 변화가 이루어진다(Kleim & Jones, 2008). 일반적으로 뇌졸중 환자는 가정환경에서 홈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동안 많은 보상전략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행형태는 비효율적인 강도(Intensity), 충분하지 못한 반복성(repetitions)과 일정하지 않은 지속성(duration)으로 수행에 대한 효과도 불확실하다(Schultheis & Rizzo, 2001; Popescu, Burdea, Bouzit & Hentz,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derson, C., Mhurchu, C. N., Brown, P. M., & Carter, K. (2002). Stroke rehabilitation services to accelerate hospital discharge and provide home-based care. Pharmacoeconomics, 20(8), 537-552. 

  2.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22. 

  3. Brennan, D., Tindall, L., Theodoros, D., Brown, J., Campbell, M., Christiana, D. et al. (2010). A blueprint for telerehabilitation guidelin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lerehabilitation, 2(2), 31. 

  4. Cho, Y. N. (2005). The Comparison of Upper Extremity's Motor Func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irror Movementsin Hemiparetic Patients with Stroke. 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5. Cikajlo, I. (2014). Concept of the Diagnostic Tool for Balance Telerehabilitation of Subjects with Stroke. Journal of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34(4), 319-326. DOI: 10.5405/jmbe.1363. 

  6. Cikajlo, I., Rudolf, M., Goljar, N., Burger, H., & Matjacic, Z. (2012). Telerehabilitation using virtual reality task can improve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4(1), 13-18. 

  7. Deeks, J. J., Higgins, J. P. T., Altman, D. G., Higgins, J. P. T., & Green, S. (2016).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 0 (updated March 2011)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8. Golomb, M. R., McDonald, B. C., Warden, S. J., Yonkman, J., Saykin, A. J., Shirley, B. et al. (2010). In-home virtual reality videogame telerehabilitation in adolescents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1(1), 1-8. 

  9. Gutierrez, R. O., Galan del Rio, F., Cano de la Cuerda, R., Diego, A., Isabel, M., Gonzalez, R. A. et al. (2013). A telerehabilitation program by virtual reality-video games improves balance and postural control in multiple sclerosis patients. NeuroRehabilitation, 33(4), 545-554. 

  10. Han, S. H., Kim, D. I., Kim, J. H., Park, A. R., Park, C. H., Lee, B. M. et al. (2012). Effect of Telerehabilitation Using Mobile Phone on Motor Function Recove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3), 67-79. 

  11. Heo, S. Y., Lee, H. J., Ham, A. H., Kim, Y. N., Jeong, S. N., & Kim, K. M. (2016).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Therapy on Executive Function and Balance for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4), 1-14. 

  12. Holden, M. K., Dyar, T. A., & Dayan-Cimadoro, L. (2007). Telerehabilitation using a virtual environment improves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15(1), 36-42. 

  13. Housman, S. J., Scott, K. M., & Reinkensmeyer, D. J. (2009).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gravitysupported, computer-enhanced arm exercise for individuals with severe hemiparesi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3(5), 505-514. 

  14. Kato, N., Tanaka, T., Sugihara, S., & Shimizu, K. (201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ew tele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VR technology using multisensory feedback for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7(10), 3185. 

  15. Kim, J. H., Oh, M. H., Lee, J. S., & Ahn, H. S. (2011). The Effects of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s on Stroke Patients'Functional Recover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3), 101-114. 

  16. Kleim, J. A., & Jones, T. A. (2008). Principles of experience-dependent neural plasticity: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after brain damag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1(1), S225-S239. 

  17. Krpic, A., Savanovic, A., & Cikajlo, I. (2013). Telerehabilitation: remote multimedia-supported assistance and mobile monitoring of balance training outcomes can facilitate the clinical staff's effort.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36(2), 162-171. 

  18. Kuipers, P., & Doig, E. (2010).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Rehabilitation. Availableonline: http://cirrie. buffalo.edu/encyclopedia/en/article/362. 

  19. Kwakkel, G. (2006). Impact of intensity of practice after stroke: issues for considerati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8(13-14), 823-830. 

  20. Lange, B., Flynn, S. M., & Rizzo, A. A. (2009). Game-based telerehabilitation.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45(1), 143-51. 

  21. Laver, K., George, S., Thomas, S., Deutsch, J. E., & Crotty, M. (2012). Virtual reality for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43(2), e20-e21. 

  22. Law, M. C., & MacDermid, J. (2008). Evidence-based rehabilitation: A guide to practice. Thorofare, NJ: Slack. 

  23. Lee, H. Y., Kim, H., Kwon, H. C., Cho, Y. N., & Lee, S. W. (2016). Effects of the Distant Action-Observation Training Program on Function Restorations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1), 1-13. 

  24. Lee, J. M., Kim, D. H., & Song, S. I. (2012).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Fall Effica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with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2(2), 25-35. 

  25. Llorens, R., Noe, E., Colomer, C., & Alcaniz, M. (2015). Effectiveness, usability, and cost-benefit of a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program for balance recovery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6(3), 418-425. 

  26.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Research Institude. (2010). A Basic Study for the Introduction of Institutional and Technical of Tele-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Disabled. Seoul: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27. Piron, L., Turolla, A., Agostini, M., Zucconi, C., Cortese, F., Zampolini, M. et al. (2009). Exercises for paretic upper limb after stroke: a combined virtual-reality and telemedicine approach.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1(12), 1016-1020. 

  28. Piron, L., Turolla, A., Tonin, P., Piccione, F., Lain, L., & Dam, M. (2008). Satisfaction with care in post-stroke patients undergoing a telerehabilitation programme at home.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14(5), 257-260. 

  29. Popescu, V. G., Burdea, G. C., Bouzit, M., & Hentz, V. R. (2000). A virtual-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system with force feedback. Information Technology in Biomedicine, IEEE Transactions on, 4(1), 45-51. 

  30. Rizzo, A. A., Strickland, D., & Bouchard, S. (2004). The challenge of using virtual reality in telerehabilitation. Telemedicine Journal & E-Health, 10(2), 184-195. 

  31. Schultheis, M. T., & Rizzo, A. A. (2001).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psychology, 46(3), 296. 

  32. Song, S. I., Ryu, S. H., & Park, S. J. (2016). The Effects of Virtual-Reality Game on Stress and Flow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5(1), 355-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