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차원 데이터에서 공분산행렬의 추정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variance Matrix Estimators in High-Dimensional Data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6 no.5, 2013년, pp.747 - 758  

이동혁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  이재원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분산 행렬다변량 통계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다변량 분석의 경우 표본 공분산 행렬이 참공분산 행렬의 추정량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변수의 수가 표본의 크기보다 훨씬 큰 고차원 데이터와 같은 경우에는 표본 공분산 행렬은 비정칙행렬이 되어 기존의 다변량 기법을 사용하는 데 적절하지 않을 수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축소추정, 경계추정, 수정 콜레스키 분해 추정 등의 새로운 공분산 행렬의 추정량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추정량들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현실적인 상황들을 가정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참공분산 행렬의 추정량들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variance matrix is important in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a sample covariance matrix is used as an estimator of the covariance matrix. High dimensional data has a larger dimension than the sample size; therefore, the sample covariance matrix may not be suitable since it is known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추정량들에 대한 이론적 연구로 Bickel과 Levina (2008a, 2008b)는 경계추정(thresholding estimation)과 밴딩추정(banding estimation)에 대해 그 점근적 성질들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Cai 등 (2010)은 미니맥스 관점에서 최적 수렴율(rate of convergence)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분석방법들의 가정들을 고려한 여러 상황하에서 추정량들의 성능 비교를 고려하였다.
  • 이렇게 설정된 여러 상황들 하에서 앞서 소개한 5가지 추정방법들의 성능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비교의 측도로는 추정량과 참공분산행렬과의 프로베니우스 거리(Frobenius norm)를 이용하였고 표본 크기 100을 가정하여 각 상황에서 100번의 반복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응적 경계 추정량이란 무엇인가? 적응적 경계 추정량(Adaptive Thresholding Estimator; ATE)은 표본 공분산행렬의 각 원소마다 다른 파라미터의 경계함수를 적용하는 방법이다. 일반화 경계 추정량이 하나의 경계함수를 표본공분산행렬의 모든 원소에 적용하는 방법이라면 적응적 경계 추정량은 원소마다 다른 경계함수를 적용시키는 방법이다.
공분산행렬은 주로 무엇으로 이용되는가? 이러한 통계적 방법들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다변량 방법들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보통의 다변량 통계분석 방법에서 공분산행렬(covariance matrix)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주성분 분석, 인자분석, 군집분석, 판별분석 등에서 표본공분산행렬은 참공분산행렬의 추정량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고차원 데이터에서는 역행렬과 관련된 문제들 (Ledoit과 Wolf, 2004), 고유값 구조 등의 문제 (Sch¨afer와 Strimmer, 2005)로 표본공분산행렬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공분산행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고차원 데이터에서는 역행렬과 관련된 문제들 (Ledoit과 Wolf, 2004), 고유값 구조 등의 문제 (Sch¨afer와 Strimmer, 2005)로 표본공분산행렬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또한 SAM (Tusher 등, 2001)과 PAM (Tibshirani 등, 2002) 등과 같은 방법들에서 변수들 사이의 독립을 가정한 분류분석 방법이 제안되어 현재까지 많이 쓰이고 있지만, 독립성 가정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 정보의 손실 등으로 인해 분류오차가 늘어날 소지가 있다. 고차원 데이터에서 표본공분산행렬을 대체할 수 있는 추정량들의 연구는 Ledoit와 Wolf (2004)에 의해서 표본공분산행렬과 단위행렬과의 볼록 선형결합(convex linear combination)인 축소추정(shrinkage estimation)이 연구되었고, Sch¨afer와 Strimmer (2005)는 단위행렬 이외의 다른 구조를 가지는 표적행렬과의 볼록 선형결합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ickel, P. J. and Levina, E. (2008a). Covariance regularization by thresholding, The Annals of Statistics, 36, 2577-2604. 

  2. Bickel, P. J. and Levina, E. (2008b). Regularized estimation of large covariance matrices, The Annals of Statistics, 36, 199-227. 

  3. Bouveyron, C., Girard, S. and Schmid, C. (2007). High-dimensional data clustering,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52, 502-519. 

  4. Cai, T. and Liu, W. (2011). Adaptive thresholding for sparse covariance matrix estim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06, 672-6684. 

  5. Cai, T., Zhang, C. H. and Zhou, H. H. (2010). Optimal rates of convergence for covariance matrix estimation, The Annals of Statistics, 38, 2118-2144. 

  6. Choe, S., Kim, S., Lee, C., Yang, W., Park, Y., Choi, H., Chung, H., Lee, D. and Hwang, B. Y. (2011). Species identification of Papaver by metabolite profiling,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7. Chun, H. and Keles, S. (2010a). Sparse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for simultaneous dimension reduction and variable select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Statistical Methodology), 72, 3-25. 

  8. Chung, D. and Keles, S. (2010b). Sparse partial least squares classification for high dimensional data, Statistical Applications in Genetics and Molecular Biology, 9, 17. 

  9. Clemmensen, L., Hastie, T., Witten, D. and Ersboll, B. (2011). Sparse discriminant analysis, Technometrics, 53, 406-413. 

  10. Fisher, T. J. and Sun, X. (2011). Improved Stein-type shrinkage estimators for the high-dimensional multivariate normal covariance matrix,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55, 1909-1918. 

  11. Ghosh, D. and Chinnaiyan, A. M. (2002). Mixture modelling of gene expression data from microarray experiments, Bioinformatics, 18, 275-286. 

  12. Huang, J. Z., Liu, N., Pourahmadi, M. and Liu, L. (2006). Covariance matrix selection and estimation via penalised normal likelihood, Biometrika, 93, 85-98. 

  13. Kim, N., Kim, K., Choi, B. Y., Lee, D. H., Shin, Y. S., Bang, K. H., Cha, S. W., Lee, J. W., Choi, H. K., Jang, D. S. and Lee, D. (2011). Metabolomic approach for age discrimination of Panax ginseng using UPLC-Q-Tof M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9, 10435-10441. 

  14. Ledoit, O. and Wolf, M. (2004). A well-conditioned estimator for large-dimensional covariance matrices, Journal of Multivariate Analysis, 88, 365-411. 

  15. Levina, E., Rothman, A. and Zhu, J. (2008). Sparse estimation of large covariance matrices via a nested Lasso penalty, The Annals of Applied Statistics, 245-263. 

  16. Mai, Q., Zou, H. and Yuan, M. (2012). A direct approach to sparse discriminant analysis in ultra-high dimensions, Biometrika, 99, 29-42. 

  17. McLachlan, G. J., Bean, R. and Peel, D. (2002). A mixture model-based approach to the clustering of microarray expression data, Bioinformatics, 18, 413-422. 

  18. McNicholas, P. D. and Murphy, T. B. (2010). Model-based clustering of microarray expression data via latent Gaussian mixture models, Bioinformatics, 26, 2705-2712. 

  19. Palmitesta, P. and Provasi, C. (n.d.). Computer Generation of Random Vectors from Continuous Multivariate Distributions. Available from: http://www.econpol.unisi.it/dmq/pdf/DMQ WP34.pdf. 

  20. Rothman, A. J., Levina, E. and Zhu, J. (2009). Generalized thresholding of large covariance matric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04, 177-186. 

  21. Rothman, A. J., Levina, E. and Zhu, J. (2010). A new approach to Cholesky-based covariance regularization in high dimensions, Biometrika, 97, 539-550. 

  22. Schafer, J. and Strimmer, K. (2005). A shrinkage approach to large-scale covariance matrix estimation and implications for functional genomics, Statistical Applications in Genetics and Molecular Biology, 4, 32. 

  23. Shen, H. and Huang, J. Z. (2008). Spars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via regularized low rank matrix approximation, Journal of Multivariate Analysis, 99, 1015-1034. 

  24. Tibshirani, R., Hastie, T., Narasimhan, B. and Chu, G. (2002). Diagnosis of multiple cancer types by shrunken centroids of gene express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9, 6567-6572. 

  25. Tusher, V. G., Tibshirani, R. and Chu, G. (2001). Significance analysis of microarrays applied to the ionizing radiation respons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8, 5116-5121. 

  26. Zou, H., Hastie, T. and Tibshirani, R. (2006). Spars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Computational and Graphical Statistics, 15, 265-2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