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 선형 모형에 대한 공분산 행렬의 비교
Comparison of the covariance matrix for general linear model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0 no.1, 2017년, pp.103 - 117  

남상아 (성균관대학교 통계학과) ,  이근백 (성균관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시적 자료분석에서 공변량 효과를 추정할 때 반복 측정된 결과들의 상관성은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분산 행렬을 모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공분산 행렬의 추정은 모수들의 수가 많고 추정된 공분산행렬이 양정치성을 만족해야 하므로 쉽지 않은 문제이다.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공분산행렬의 모형화를 위한 여러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자기회귀/이동평균/자기회귀-이동평균 구조를 각각 적용한 수정 콜레스키분해 (Pourahmadi, 1999), 이동평균 콜레스키분해 (Zhang과 Leng, 2012)와 자기회귀-이동평균 콜레스키 분해 (Lee 등, 2017) 이들 구조를 가지는 공분산 행렬의 특징을 비교연구하고자 한다. 이 세 가지 모형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모의실험을 실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longitudinal data analysis, the serial correlation of repeated outcomes must be taken into account using covariance matrix. Modeling of the covariance matrix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effect of covariates properly. However, It is challenging because there are many parameters in the matrix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일반 선형모형에서 공분산행렬의 잘못된 가정이 회귀계수 추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소개한 공분산 행렬의 모형화 방법들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 이 절에서 모의실험을 통하여 공분산행렬의 모형화를 위한 3가지 방법들의 장단점을 알아 보고자 한다.그리고 일반 선형모형에서 공분산행렬의 잘못된 가정이 회귀계수 추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소개한 공분산 행렬의 모형화 방법들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 우리는 위에서 제시된 3가지의 공분산행렬의 분해방법들을 고찰하고, 이들 방법들의 장단점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경시적 자료를 올바르게 분석하기 위한 모형들은 이러한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화에 집중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경시적 연속형 자료에서 측정치들의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공분산행렬의 모형화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공분산 행렬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수 있지만 경시적 자료분석에서는 특히 자기회귀(autoregressive; AR) 구조(Pourahmadi, 1999), 이동평균(moving average; MA) 구조 (Zhang과 Leng, 2012), 그리고 자기회귀-이동평균(autoregressive moving average; ARMA) 구조 (Lee 등, 2017)를 주로 가정하고,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공분산 행렬의 모형화를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Kim과 Lee, 2015).
  • 이 절에서 모의실험을 통하여 공분산행렬의 모형화를 위한 3가지 방법들의 장단점을 알아 보고자 한다.그리고 일반 선형모형에서 공분산행렬의 잘못된 가정이 회귀계수 추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이 절에서 우리는 연속형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일반 선형모형을 고려하고, 그 모형에서 공분산 행렬의모형화에 대한 여러 방법들을 고찰한다. 우선 수정된 콜레스키 분해는 경시적 연속형 자료분석에서 공분산행렬의 모형화를 위하여 처음 제안되었다 (Pourahmadi, 1999, 2000).

가설 설정

  • , N)의 반응변수(response vari-able)라고 하고, Xit는 Yit에 상응하는 p × 1 공변량 벡터(covariate vector)이다. 그리고 다른 개체의 응답과는 독립이라고 가정한다. 만약 Xi가 확률적이라면 (Yi, Xi), .
  • 그리고 hit = (1, SEXi)이라고 가정하자. 여기서 SEXi는 i번째 개체의 성별을 나타내고 남자일 때 1이고 여자일때 0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혁신분산이 성별에 따라 다른값을 가지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회귀모형이나 이동평균모형만으로 표현할 때 추정해야 할 모수의 수가 너무 많아질 경우 해결하는 방법은? 자료를 자기회귀모형이나 이동평균모형만으로 표현하려면 추정해야 할 모수의 수가 너무 많아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추정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결과의 해석에 어려움이 생긴다 (Lee 등, 2017). 따라서 자기회귀-이동평균 모형(autoregressive-moving average models)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적은수의 모수로 다양한 구조의 공분산 행렬을 추정하며, 그 결과 모형 해석이 쉬워지고 모수 추청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형태의 자기회귀 모형 혹은 이동평균 모형보다 더 나은 예측을 제공한다.
경시적 연구란 무엇인가? 경시적 연구(longitudinal study)는 일정기간 동안 반복 측정된 자료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 경우에같은 개체(subject)에서 결과치들이 반복 측정 되어지고, 이 결과치들은 서로 시간에 따른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공분산 행렬의 추정에서 많이 발생하는 문제는? 따라서 공분산 행렬을 모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공분산 행렬의 추정은 모수들의 수가 많고 추정된 공분산행렬이 양정치성을 만족해야 하므로 쉽지 않은 문제이다.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공분산행렬의 모형화를 위한 여러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자기회귀/이동평균/자기회귀-이동평균 구조를 각각 적용한 수정 콜레스키분해 (Pourahmadi, 1999), 이동평균 콜레스키분해 (Zhang과 Leng, 2012)와 자기회귀-이동평균 콜레스키 분해 (Lee 등, 2017) 이들 구조를 가지는 공분산 행렬의 특징을 비교연구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aniels, J. M. and Pourahmadi, M. (2002). Bayesian analysis of covariance matrices and dynamic models for longitudinal data, Biometrika, 89, 553-566. 

  2. Daniels, J. M. and Zhao, Y. D. (2003). Modelling the random effects covariance matrix in longitudinal data, Statistics in Medicine, 22, 1631-1647. 

  3. Diggle, P. J., Heagerty, P., Liang, K. Y., and Zeger, S. L. (2002). Analysis of Longitudinal Data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4. Kim, J. and Lee, K. (2015). Survey of models for random effects covariance matrix in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8, 211-219. 

  5. Kim, J., Sohn, I., and Lee, K. (2016). Bayesian modeling of random effects precision/covariance matrix in cumulative logit random effects models,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24, 81-96. 

  6. Lee, K. (2013). Bayesian modeling of random effects covariance matrix for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20, 235-240. 

  7. Lee, K., Baek, C., and Daniels, M. J. (2017). ARMA Cholesky factor models for the covariance matrix of linear models,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working paper. 

  8. Lee, K. and Sung, S. A. (2014). Autoregressive Cholesky factor modeling for marginalized random effects models,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21, 169-181. 

  9. Lee, K. and Yoo, J. (2014). Bayesian Cholesky factor models in random effects covariance matrix for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80, 111-116. 

  10. Lee, K., Yoo, J. K., Lee, J., and Hagan, J. (2012). Modeling the random effects covariance matrix for the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56, 1545-1551. 

  11. Pan, J. X. and Mackenzie, G. (2003). Model selection for joint mean-covariance structures in longitudinal studies. Biometrika, 90, 239-244. 

  12. Pan, J. X. and MacKenzie, G. (2006). Regression models for covariance structures in longitudinal studies. Statistical Modelling, 6, 43-57. 

  13. Pourahmadi, M. (1999). Joint mean-covariance models with applications to longitudinal data: unconstrained parameterisation, Biometrika, 86, 677-690. 

  14. Pourahmadi, M. (2000).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of generalized linear models for multivariate normal covariance matrix, Biometrika, 87, 425-435. 

  15. Zhang, W. and Leng, C. (2012). A moving average Cholesky factor model in covariance modeling for longitudinal data, Biometrika, 99, 141-1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