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형 과제 수행 때 나타나는 청소년의 지능별 대뇌 및 소뇌의 활성도 차이 분석
Activation Differences of Superior Parietal Lobule and Cerebellum Areas While Inferring Geometrical Figures per Intellectual Category in Adolesc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3 no.5, 2013년, pp.637 - 648  

김예림 (서정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뇌 피질과 지능과의 관련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지능 발현에 관여하는 뇌 영역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이와 함께 소뇌도 대뇌처럼 언어와 기억, 정보 처리 등 다양한 인지 기능 수행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도 연구 결과 나타났다. 그러나 특정 과제 수행 때 지능별 대뇌와 소뇌 영역들의 활성도 차이를 밝힌 연구 결과는 찾기 어렵다. 본 연구는 공간유추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난 대뇌와 소뇌의 활성 영역을 탐색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건강한 81명(평균 16세 3개월)의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WAIS 지능 검사를 하여 5개 지능 범주로 나누고, 도형 유추 과제를 수행하게 하면서 기능성자기공명영상기술(fMRI)로 뇌 영상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 12개 뇌 영역에서 활성이 나타났는데, 대뇌 피질에서는 시각영역인 양측 하후두회 외에 양측 상두정회와 우측하전두회, 양측 미상회, 그리고 소뇌의 5개 세부 영역들이다. 특히 지능(IQ)이 높을수록 이들 영역의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영재 중에서도 지능이 아주 높은 140~147 범주의 피험자들은 다른 지능그룹에 비해 월등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아주 높은 지능의 영재들의 뇌 활용 특징일 수 있기 때문에 '슈퍼 영재'들의 판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rebral cortex and human intelligence has been studied using various methods, and related brain areas involved in intellectual manifestation have been discovered individually. Such studies have also shown the cerebellum is closely involved in various cognitive func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81명의 청소년들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도형 유추 과제를 수행할 때 대뇌와 소뇌가 함께 기능하는 영역과 그 영역별 활성도가 지능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fMRI 영상을 활용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지검사와 뇌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인지검사 도구로는 일반 지능(IQ)을 알아보기 위해 K–WAIS를, 뇌기능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는 피험자들이 과제를 수행할 때 뇌의 활성 부위와 활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fMRI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들이 도형 유추 과제를 수행할 때 뇌 활성 영역과 지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험자 규모의 경우 기존 소뇌의 인지 기능 관련 연구가 10명 내외인 반면 본 연구는 81명으로 크게 늘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첨단 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골상학 연구, 뇌와 행동과의 연관성을 관찰한 연구 등을 통해 인간지능의 연구가 진행 된 이래 지금까지 뇌파나 감각 기관의 예민성, 대뇌 피질의 활성, 대뇌피질의 두께 등을 이용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술(PET), 자기공명단층촬영기술(MRI), 기능성자기공명단층촬영기술(fMRI) 등 뇌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의 등장은 지능과 관련한 많은 증거를 대뇌 피질에 해당하는Brodmann 영역(BA)에서 다수 찾아냈으며, 그 상관성을 밝히기도 하였다.
PET와 fMRI를 이용한 이런 다양한 연구는 무엇을 알아냈는가? PET와 fMRI를 이용한 이런 다양한 연구는 대뇌 또는 대뇌와 소뇌가 함께 인지 기능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알아내는 데 크게 기여했고, 일부는 대뇌 피질의 활성 정도도 지능에 따른 차이가 발생한다는 사실도 아울러 알아냈다. 그러나 이들의 연구 중 지능과 연관된 것은 대뇌를 대상으로 한 것들이며,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실험을 하면서 대뇌와 소뇌가 함께 기능할 때 지능에 따른 활성 정도의 차이를 연구한 것은 없다.
중요한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소뇌 또한 다양한 인지 기능 수행에 함께 관여한다는 것을 밝힌 연구는? 중요한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소뇌의 경우도 대뇌처럼 다양한 인지 기능 수행에 관여하며, 그런 기능을 수행할 때 관련된 대뇌 부위들이 함께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Timothy와 Richard(2001)는 공간 시각의 인지 기능 수행 때 소뇌가 관여하며, 소뇌의 뒤 네모소엽(Hemisphere Lobule VI)과 위와 아래 반달소엽(Hemisphere Lobule Crus I, II) 영역이 후두엽과 가까이 있기 때문에 안구 운동에 따른 활성화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Lewis 외(2003)는 도형을 볼 때와 도형을 따라 그릴 때 소뇌 전체에서 활성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으며, Claeys 외(2003)는 색과 시각과의 차이를 분별할 때 소뇌의 네모소엽(Hemisphere Lobule IV, V, VI) 등 소뇌의 4개 세부 영역이 활성화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Goel과 Dolan(2001)은 언어 추론 실험을 통해 양측 후두-두정-전두 영역으로 이어지는 채널을 비롯한 7개 소뇌 영역이 활성화되는 것을 밝혔다. Atherton 외(2003)의 연구에서 네모소엽이 인지 기능과의 연관이 있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예림 (2013). 청소년의 지능범주별 대뇌피질 변화성 분석 연구. 영재교육연구. 23(3), 421-434. 

  2. 조선희, 김희백, 최유용, 채정호, 이건호 (2005). 뇌기능영상 측정법을 이용한 영재성 평가의 타당성 연구. 영재교육연구. 15(2), 101-125. 

  3. Atherton, M., Zhuang, J., Bart, W. M., Hu, X., & He, S. (2003). A functional MRI study of high-level cognition. I. The game of chess. Cognitive Brain Research, 16(1), 26-31. 

  4. Choi, Y. Y., Shamosh, N. A., Cho, S. H., DeYoung, C. G., Lee, M. J., Lee, J. M., Kim, S. I., Cho, Z. H., Kim, K., Gray, J. R., & Lee, K. H. (2008). Multiple Bases of Human Intelligence Revealed by Cortical Thickness and Neural Activation. The Journal of Neuroscience, 28(41), 10323-10329. 

  5. Claeys, K. G., Orban, G. A., Dupont, P., Sunaert, S., Hecke, P. V., & Schutter, E. D. (2003). Involvement of multiple functionally distinct cerebellar regions in visual discrimination: A human functional imaging study. NeuroImage, 20, 840-854. 

  6. Duncan, J., & Owen, A. M. (2000). Common regions of the human frontal lobe recruited by diverse cognitive demands. Trends in Neurosciences 23(10), 475-483. 

  7. Fangmeier, T., Knauff, M., Ruff, C. C., & Sloutsky, V. (2006). fMRI evidence for a three-stage model of deductive reasoning.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8(3), 320-334. 

  8. Ghatan, P. H., Hsieh, J. C., Wirsen-Meurling, A., Wredling, R., Eriksson, L., Stone-Elander, S., Levander, S., & Ingvar, M. (1995). Brain activation induced by the perceptual maze test: A PET study of cognitive Performance. Neuro-Image, 2(2), 112-124. 

  9. Goel, V., & Dolan, R. J. (2001). Functional neuroanatomy of three-term relational reasoning. Neuropsychologia, 39(9), 901-909. 

  10. Goel, V., Gold, B., Kapur, S., & Houle, S. (1997). The seats of reason? An imaging study of deductive and inductive reasoning. NeuroReport, 8(5), 1305-1310. 

  11. Goel, V., Gold, B., Kapur, S., & Houle, S. (1998). Neuroanatomical correlates of human reasoning.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10(3), 293-302. 

  12. Gray, J. R., Chabris, C. F., & Braver, T. S. (2003). Neural mechanisms of general fluid intelligence. Nature Neuroscience, 6(3), 316-322. 

  13. Haier, R. J. (1993). Cerebral glucose metabolism and intelligence. In P. A. Vernon. (Ed.), Biological approaches to the study of human intelligence (pp. 317-373). Norwood, NJ: Ablex. 

  14. Haier, R. J., & Benbow, C. P. (1995). Sex differences and lateralization in temporal lobe glucose metabolism during mathematical reasoning.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11(4), 405-415. 

  15. Haier, R. J., White, N. S., & Alkire, M. T.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general intelligence correlate with brain function during non-reasoning tasks. Intelligence, 31(5), 429-441. 

  16. Lee, K. H., Choi, Y. Y., Gray, J. R., Cho, S. H., Chae, J. H., Lee, S., & Kim, K. (2006). Neural correlates of superior intelligence: Stronger recruitment of posterior parietal cortex. NeuroImage, 29(2), 578-586. 

  17. Lewis, S. M., Jerde, T. A., Tzagarakis, C., Gergopoulos, M. A., Tsekos, N., Amirikian, B., Kim, S. G., Ugurbil, K., & Georgopoulos, A. P. (2003). Cerebellar activation during copying geometrical shapes. Journal of Neurophysiology, 90, 3874-3887. 

  18. Prabhakaran, V., Smith, J. A., Desmond, J. E., Glover, G. H., & Gabrieli, J. D. (1997). Neural substrates of fluid reasoning: An fMRI study of neocortical activation during performance of the Raven's Progressive Matrices test. Cognitive Psychology, 33(1), 43-63. 

  19. O'Boyle, M. W., Cunnington, R., Silk, T. J., Vaughan, D., Jackson, G., Syngeniotis, A., & Egan, G. F. (2005). Mathematically gifted male adolescents activate a unique brain network during mental rotation. Brain Research: Cognitive Brain Research, 25(2), 583-587. 

  20. Ogawa, S., Menon, R. S., Tank, D. W., Merkle, H., Kim, S. G., Ellermann, J. M., & Ugurbil, K. (1993). Functional brain mapping by blood oxygenation level-dependent contrast magnetic resonance imaging. A comparison of signal characteristics with a biophysical model. Biophysical Journal, 64(3), 803-812. 

  21. Jung, R. E., & Haier, R. J. (2007). The Parieto-Frontal Integration Theory (P-FIT) of intelligence: Converging neuroimaging evidence.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30, 135-187. 

  22. Schmithorst, V. J., & Holland, S. K. (2006). Functional MRI evidence for disparate developmental processes underlying intelligence in boys and girls. NeuroImage, 31(3), 1366-1379. 

  23. Timothy, C. J., & Richard, B. I. (2001). The Cognitive neuropsychology of the cerebellum,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13, 276-2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