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 MeV 전자선의 차폐물질 원자번호와 조사야 크기에 따른 선량변화 연구
The Study of Dose Change by Field Effect on Atomic Number of Shielding Materals in 6 MeV Electron Beam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v.25 no.2, 2013년, pp.145 - 151  

이승훈 (전북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곽근탁 (전북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박주경 (전북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김양수 (전북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차석용 (전북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본 연구에서 우리는 6 MeV 전자선의 조사야 확대에 따른 선량변화가 차폐물질 원자번호와 관계가 있음을 알아보고 그 영향인자를 분석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먼저 평행평판형 전리함(Exradin P11)을 $25{\times}25cm^2$ 폴리스티렌 팬텀표면에 평탄하게 끼운다. 허용투과율 5% 두께의 알루미늄, 구리, 납 물질들을 팬텀 상단에 차폐시킨 후 조사야 $6{\times}6$, $10{\times}10$ 그리고 $20{\times}20cm^2$별로 측정하였다. 조사조건은 선원-표면간거리 100 cm에서 기준조사야인 $10{\times}10cm^2$에 6 MeV 전자선을 이용하여 100 cGy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MCNP (Monte Carlo N Particle Transport Code)를 이용하여 각 물질 통과 후 발생되는 광자수, 전자수, 그리고 축적에너지를 계산하였다. 결 과: 허용투과율 5% 두께에 대한 차폐물 종류에 따른 측정결과 조사야 $10{\times}10cm^2$을 기준으로 한 $6{\times}6cm^2$$20{\times}20cm^2$의 두께변화율은 알루미늄에서 각각 +0.06%와 -0.06%, 구리에서 각각 +0.13%와 -0.1%, 납에서 각각 -1.53%와 +1.92%였다. 계산결과 조사야 $10{\times}10cm^2$ 대비 $6{\times}6cm^2$, $20{\times}20cm^2$의 축적에너지는 차폐를 하지 않았을 경우 각각 -4.3%와 +4.85%, 알루미늄 사용 시 각각 -0.87%와 +6.93%, 구리 사용 시 각각 -2.46%와 +4.48%, 납 사용 시 각각 -4.16%와 +5.57%였다. 광자수의 경우 차폐를 하지 않았을 경우 각각 -8.95%와 +15.92%, 알루미늄 사용 시 각각 -15.56%와 +16.06%, 구리 사용시 각각 -12.27%와 +15.53%, 납 사용 시 각각 -12.36%와 +19.81%였다. 전자수의 경우 차폐를 하지 않았을 경우 각각 -3.92%와 +4.55%, 알루미늄 사용 시 각각 +0.59%와 +6.87%, 구리 사용 시 각각 -1.59%와 +3.86%, 납 사용 시 각각 -5.15%와 +4.00%였다. 결 론: 본 연구로 조사야 증가함에 따른 차폐물 두께가 저 원자번호에서 감소하며, 고 원자번호에서는 증가함을 볼 수 있었으며, 계산을 통해 저 원자번호물질에서는 저지방사선, 고 원자번호물질에서는 산란전자가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dose change by field size effects on atomic number of shielding materials while using 6 MeV election beam. Materials and Methods: The parallel plate chamber is mounted in $25{\times}25cm^2$ the phantom such that the entrance window of the det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Prasad 등1)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보면 동일에너지에서 조사야 변화에 따른 선량감약율이 물질별 차이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본 연구는 전자선 차폐물질로 이용 가능한 알루미늄, 구리, 그리고 납 등의 다양한 원자번호 물질을 이용하여 원자번호와 조사야 크기에 따른 선량변화와 그 영향인자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선 치료는 무엇에 주로 사용되는가? 전자선 치료는 일반적으로 표재성 종양을 치료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정상조직 및 주요 장기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조사야와 차폐물이 사용된다. 전자선 조사야의 경우 6×6, 10×10 그리고 20×20 cm2의 일정한 형태만을 이루고 있는 반면 차폐물은 불규칙한 형태를 만들 수 있어 정밀한 치료시 이용된다.
전자선 치료에서 정상조직 및 주요 장기를 보호하기 위해 무엇이 사용되는가? 전자선 치료는 일반적으로 표재성 종양을 치료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정상조직 및 주요 장기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조사야와 차폐물이 사용된다. 전자선 조사야의 경우 6×6, 10×10 그리고 20×20 cm2의 일정한 형태만을 이루고 있는 반면 차폐물은 불규칙한 형태를 만들 수 있어 정밀한 치료시 이용된다.
어떠한 산란전자에 대한 연구는 오래전부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발표되었는가? 이런 이유로 차폐물은 많은 연구자들1-4)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그 중 Prasad 등2)의 연구에 의하면 납 차폐물에 대한 동일 에너지에서 조사야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차폐물 최소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차폐물 최소 두께 증가는 측방산란영향에 의한 것이라 설명하였다. 이런 산란전자에 대한 연구는 오래전부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발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rasad SG, Parthasaradhi K, Bloomer WD, et al.: Aluminum, copper, tin and lead as shielding materials in the treatment of cancer with high-energy electrons. Radi Phy and Chemi 1998;53:361-366 

  2. Prasad SG, Parthasaradhi K, Arbetter S, et al.: Lead shielding thickness for dose reduction of 6-MeV electrons for different square fields. Med Phys 1988;15:263-266 

  3. Purdy JA, Choi MC, Feldman A: Lipowitz metal shielding thickness for dose reduction of 6-20 MeV electrons. Med Phys 1980;7:251-253 

  4. Tajiri M, Tokiya Y, Uenishi J, et al.: New shielding materials for clinical electron beams. Radio Oncol 2006;80:391-393 

  5. Everhart TE: Simple theory concerning the reflection of electrons from solids. J Appl Phys 1960;31:1483-1490 

  6. Klevenhagen SC, Lamdert GD, Arbabi A: Backscattering in electron beam therapy for energies between 3 and 35MeV. Phys Med Biol 1982;27:363-373 

  7. Prasad SG, Parthasaradhi K, Al-Najjar WH, et al.: Tin shielding thicknesses for electrons. Med Dosi 1998;23:21-23 

  8. Chibani O, Ma CM: Photonuclear dose calculations for high-energy photon beams from Siemens and Varian linac. Med Phys 2003;30:1990-2000 

  9. Pelowitz DB: MCNPXTM user's manual version 2.6.0. LANL 2008 

  10. Zanini A, Durisi E, Fasolo F, et al.: Monte Carlo Simulation of the Photoneutron field in linac radiotherapy treatments with different collimation systems. Phys Med Biol 2004;49: 571-582 

  11. Lee SA, Lee JO, Moon SR, et al.: A study on the simulation and measurement of 6 MeV electron beam. J Korean Soc Ther Radiol 1995;13:285-289 

  12. Chow JCL, Owrangi AM: Depth dependence of electron backscatter: An energy spectral and dosimetry study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Med Phys 2009;36:594-601 

  13. Karlsson MG, Karlsson M, Ma CM: Treatment head design for multileaf collimated high-energy electrons. Med Phys 1999;26:2161-2167 

  14. Tsai YS, Whitis V: thick target bremsstrahlung and target consideration for secondary particle production by electrons. Phys Rev 1966;149:1248-1257 

  15. Hunt MA, Kutcher GJ, Buffa A: Electron backscatter for parallel-plate chamber. Med Phys 1988;15:96-103 

  16. Khan FM: The physics of radiation therapy.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241-314 

  17. 추성실, 서창옥, 김귀언: 산란전자선을 이용한 강내측방조사 기구의 제작과 특성.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2001;19:74-80 

  18. Sathiyan S, Ravikumar M, Supe SS: Measurement of backscattered dose at metallic interfaces using high energy electron beams. Rep Pract Oncol Radiother 2006;11:117-121 

  19. Werner BL, Kahn FM, Deibel FC: Model for calculation depth dose distributions for broad electron beam. Med Phys 1983;10:582-5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