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유기축산물(시유) 생산농가에 대한 사양관리 실태 및 생산수준에 관한 조사 연구를 통해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2010년 말 현재 전체 낙농가 6,347호 중 유기축산물(시유) 인증 농가수는 35호로 0.57%였다. 유기축산물 인증농가 35호 중 11농가에 대한 조사결과, 호당 평균 총사육두수는 142두로 그 중 평균 착유우 69두, 건유우 13두, 육성우 및 송아지 60두였다. 성우 대비 후보축의 비율은 42.4%를 차지하고 있었다. 조사농가의 평균 산유량은 분포는 20kg 미만이 14.3%, 25~30kg 미만이 57.1%, 30kg 이상 28.6%로 분포되어 있었다. 조사농가의 유성분 및 유질분포를 보면, 유지율은 3.3%로 전국 평균 유지율 3.95%보다 많이 낮았다. 평균 세균수는 5,775개/ml로 1A 등급, 체세포수는 192,500개/ml로 1등급에 해당되어 유질등급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축산물(시유) 생산이 농가소득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조사결과,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90%로 나타났으나 실제적인 경영자료를 분석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일반 우유 생산에서 유기축산물(시유)로 전환한 이유는 친환경적 목장경영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54.5%로 가장 높았다. 일반 낙농에 비해 유기낙농의 어려운 점으로는 유기사료 공급의 어려움이라고 대답한 비율이 45.5%로 가장 높았다. 실제적으로 유기 조사료 자가 생산 이용률은 43.0%였고, 구입하여 이용하는 비율은 57.0%로 나타나 유기 조사료 자급에 대한 비율을 더 높이는 것이 유기낙농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임을 알 수 있다. 평균 조농비율은 38.6:61.4로 조사료 급여비율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유기축산물(시유) 확대를 위해서는 유기사료의 안정적인 공급이 우선되어야 할 과제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eeding management and milk production in domestic organic dairy farms and find out ways to overcome difficulties in organic dairy farms. The number of domestic organic dairy farms was 35, which representing 0.57% among 6,068 of total dairy farms in 2011. El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국내 유기낙농에 대한 사양실태 파악으로 유기우유 생산성 향상을 위한 농가수준의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유기낙농의 사양관리실태를 조사하여 유기 낙농 목장의 생산성 수준과 유기우유 생산의 애로사항을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유기축산물(시유) 생산농가에 대한 사양관리 실태 및 생산수준에 관한조사 연구를 통해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2010년 말 현재 전체 낙농가 6,347호 중 유기축산물(시유) 인증 농가수는 35호로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유기축산이 미흡한 이유는? 또한 자연순환을 통한 환경보전이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경제와 사회전반에 중요한 요소로 부각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유기축산은 아직 초기단계로 여건이 여전히 미흡한 실정인데, 이는 유기사료의 높은 수입의존도로 생산비 가중과 유기사료의 체계적인 생산기술 미흡이 주 요인이라 할 수 있다(Hong et al., 2003).
선진국에서 유기농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유기축산식품생산에 관한 CODEX 규범이 2001년 7월에 제정됨으로서 전세계적으로 유기축산물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은 건강, 웰빙 및 로하스(LOHAS: 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유기농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J. S.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유기농식품에 관련된 정책은? 2006). 우리나라에서도 농업의 환경보전을 증대시키고, 농업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며,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농업인을 육성하여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농업을 추구하고자 친환경농업육성법(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1)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관행 축산은 집약적 고투입 ․ 고산출 생산방식으로 인하여 환경부하가 가중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amilton, C., I. Hansson, T. Ekman, U. Emanuelsson, and K. Forslund. 2002. Health of cows, calves and young stock on 26 organic dairy herds in Sweden. Vet. Rec. 150: 503-508. 

  2. Hong, Sung-Kyu, Kim, Kyung-Ryang, and Kim, Seok-Jung. 2003. A Study on Economic Analysis and Policy for Organic Dairy Farming in Korea. DAESAN Journal 11: 287-302. 

  3. Keum, J. S. 2006. Organic Milk Production and Consumption Prospects in Korea. J. Korean Dairy Technol. Sci. 24(2): 47-54. 

  4. Korea Dairy Committee. 2012. 2011 Dairy Statistics Yearbook. 

  5. Krutzinna, C., E. Boehncke, and H. J. Herrmann. 1996. Organic milk production in Germany. Biological Agriculture and Horiculture. 13: 351-358. 

  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0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Bulletin 2009-361. optimum livestock breeding level for livestock housing in Korea. 

  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1.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Fosterage ACT. 

  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Dairy Cattle Improvement Center,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KOREA. 2013. 2012 DHI Annual Report in Korea. 

  9.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0.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Bulletin 2010-4. 

  10.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12. http://www.naqs.go.kr. 

  11. Sang Bum Kim, Hyun June Lee, Wang Shik Lee, Kwang Seok Ki, Won Mo Cho, Joong Kook Park, Dong Hyun Lim, Chang Hyun Kim, and Hyeon Shup Kim. 2010. Effects of the Organic Feeding System on Milk Production and Milk Quality in Lactating Dairy Cows. Annuals of Animal Resources Sciences 21(2): 101-106. 

  12. S. H. Lee. 2005. A scheme on demand and supply of organic feed in Korea. A Symposium of Korea Organic Livestock Research Society. pp. 135-144. 

  13. Statistics KOREA. 2012. 2011 Livestock Production Cost. 

  14. William D. McBride. 2007. A Comparison of Conventional and Organic Milk Production System in the U.S. Selected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American Agricultural Economics Association Annual Meeting, Portland, Oregon, July 29-August 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