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근접 쉴드 TBM 시공사례(일본 Chofu역 4분기 터널) 원문보기

地盤 : 한국지반공학회지, v.29 no.9, 2013년, pp.8 - 12  

고성일 ((주) 단우기술단) ,  추석연 ((주) 단우기술단)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세그먼트 폭은 선형조건에 따라 차등적용하였으며, 일반구간의 경우 1,400mm, 급곡선 구간(R=160mm)은 1,200mm를 적용하였다.
  • 맨 처음 쉴드 TBM 굴진은 Tsurukawa 수직갱에서 출발하여 Keio Line의 상행선을 굴착하고, Chofu역에서 방향을 전환한 장비는 Sagamihara Line의 상행선을 굴착하여 Shinagawa 수직갱에 도달하도록 계획되어 있다. 이후 Shinagawa 수직갱에서 방향을 전환한 장비는 Sagamihara line의 하행선을 굴착하여 Chofu 역에 도달한 후에 장비 방향 전환 및 최종적인 Keio Line의 하행선을 굴착하여 최초 발진위치에 도달하도록 계획하였다.
  • 통상적으로 세립분을 많이 함유한 지반일수록 토압식 쉴드 TBM의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현장의 경우 사질토 및 자갈층이 혼재된 지층조건임에도 이토압식 장비형식을 적용하여 시공중에 있었다. 자갈층 출현을 고려하여 이토압식 장비의 Screw Conveyor는 직경 850mm로 제작하여 최대 300mm의 전석층 처리가 가능토록 계획하였다.
  • 최소 곡선 반경 R=160m의 급곡선 터널 시공을 위해 좌우 1.6˚, 상하 0.5˚로 중절되는 X중절 장치를 적용하였으며, 운행중인 철도하부의 최소 4.3m(0.64D) 위치에서 굴착하기 때문에 상부변위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Skin Plate에 총 10개소의 뒷채움 주입관을 설치함으로써 Tail Void에 뒷채움 재료가 조기에 충분히 주입되도록 제작되었다. 아울러 지반변위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붕괴검지장치 3기를 장착하였다.

대상 데이터

  • 4개의 철도 선형은 Chofu 역에서 Sagamihara Line 및 Keio Line이 V형으로 분기되는 구간으로 379m x 2의 Keoi Line과 424m x 2의 Sagamihara 라인의 총 1.606km로 구성되어 있다.
  • 본 고의 쉴드 TBM현장은 필자가 2009년 여름에 방문했던 현장으로서 상·하 및 좌·우의 4개 철도선형이 한곳에서 출발하여 분기되는 매우 특이한 선형조건을 가진 쉴드 TBM 적용 사례이다.
  • 본 현장은 지상으로 운행하는 열차의 소음 및 진동과 철도건널목을 통해 횡단하는 차량 및 보행자 통행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노후한 Chofu 역부근 열차선로를 지하화하는 공사로 2003년에 착수하여 2013년 완공예정에 있는 현장으로서, 매우 특이한 선형조건을 가지고 있는 쉴드 TBM 터널이다.
  • 세그먼트는 외부 하중 조건에 따라 RC 세그먼트와 합성 세그먼트(Composite Segment)를 같이 사용하고 있으며, 세그먼트 두께는 300mm이며 내경 6,100mm, 외경 6,700mm이다. 분할 수는 5+1(Key Segment)이며 세그먼트 외주부 지수재는 수팽창 지수재를 사용하였다.
  • 세그먼트는 외부 하중 조건에 따라 RC 세그먼트와 합성 세그먼트(Composite Segment)를 같이 사용하고 있으며, 세그먼트 두께는 300mm이며 내경 6,100mm, 외경 6,700mm이다. 분할 수는 5+1(Key Segment)이며 세그먼트 외주부 지수재는 수팽창 지수재를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이를 위하여 적용된 Enterance 가설방식이 NOMST공법이다. NOMST는 Novel Material Shield-Cuttable Tunnel Wall System의 머리글을 딴 것으로 쉴드 TBM의 면판 손상없이 바로 굴착이 가능한 벽체형식이기 때문에 기존에 굴착된 터널의 간섭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신설터널의 굴착이 가능한 공법으로서 FRP 소재로 되어있다.
  • 이음 형식으로는 세그먼트간에는 암수 구분에 의하여 체결되는 Cone-Connector를 사용하였으며, 링간이음부에는 고강성의 Ta-Spring 체결방식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쉴드 TBM 터널은 어디에 활용되는가? 쉴드 TBM 터널은 기존의 Drill and Blast 터널링 공법과는 다르게 주변 구조물과의 초근접 조건, 연약지반 조건에서도 터널링이 가능한 공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유럽을 포함한 해외 선진국에서는 Drill and Blast의 시공환경( 분진, 가스, 발파공해 등)을 개선하고자 쉴드 TBM의 적용성이 보편화 되어 있는 경향도 있다.
쉴드 TBM 시공사례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① 철도 또는 지하철의 운용중 이용자 편의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상식을 벗어난 다각적인 선형계획 및 터널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과 ② 장비형식별 굴착 가능 지반상태를 선정한다는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최근의 장비제작기술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지반조건 외에도 시공조건, 장비 제작여건 등을 고려하여 더욱 폭넓은 장비형식 적용성을 검토해야 한다는 점이다.
토압식 쉴드 TBM의 적용성이 우수한 것은 무엇인가? 통상적으로 세립분을 많이 함유한 지반일수록 토압식 쉴드 TBM의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현장의 경우 사질토 및 자갈층이 혼재된 지층조건임에도 이토압식 장비형식을 적용하여 시공중에 있었다. 자갈층 출현을 고려하여 이토압식 장비의 Screw Conveyor는 직경 850mm로 제작하여 최대 300mm의 전석층 처리가 가능토록 계획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