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W국외 모니터링 사례를 통한 해상풍력발전의 환경적 영향 고찰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Offshore Wind Farms Through Monitoring Case in Overseas Country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6 no.4, 2013년, pp.276 - 289  

맹준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조범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임오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서재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상풍력발전 단지를 개발함에 있어 전력수급과 경제성 논리에만 초점이 맞춰짐으로써 여러 가지 환경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지역사회의 갈등이 유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국내 해역의 풍황과 해황 조건 등을 중심으로 해상풍력에 대한 입지와 개발량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유럽의 해상풍력발전 선진국에서는 개발 사업에 뒤따르는 환경 모니터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데 비해, 국내에서는 해상풍력을 설치하고 운영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영향에 관한 모니터링 자료가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외 해상풍력의 모니터링 사례 및 참고문헌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공사 시와 운영 시의 환경적 영향과 국내 해역에 적합한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해상풍력개발에 따른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환경영향평가의 행정절차에 소요되는 협의기간을 단축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developing offshore wind farms, many environmental issues arise because of the concentration on supply demand and economic logic. Accordingly, community conflict is induced. Especially, recent studies regarding the capacity and location of offshore wind development have been conducted consideri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풍력은 전세계 신재생에너지 투자의 몇 %를 차지하고 있는가?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풍력은 신재생에너지 투자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경제성이 있는 에너지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동안 풍력개발은 육상풍력 위주로 개발되어 왔으나, 육상은 개발입지가 극히 제한되어 있고, 민원의 증가에 따라 입지확보에 어려움이 많아 최근 해상풍력으로 관심이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상풍력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그동안 풍력개발은 육상풍력 위주로 개발되어 왔으나, 육상은 개발입지가 극히 제한되어 있고, 민원의 증가에 따라 입지확보에 어려움이 많아 최근 해상풍력으로 관심이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상풍력은 육상풍력에 비해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현재로서는 경제성이 다소 낮지만, 해상은 대형단지를 조성하기가 용이하고 민원이 비교적 적은 이점이 있으며, 단지설계 및 건설, 유지보수 등과 같은 관련기술의 개발로 향후 풍력발전 분야의 주축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Kim et al.[2009]).
국외에서 육상풍력발전의 문제점과 대안으로 무엇이 제시되었는가? 국외에서도 육상풍력발전은 1990년대부터 이미 한계에 이르렀다는 지적이 나왔다. 풍력 터빈이 대형화되면서 엄청난 소음과 경관훼손 및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가 불거지고,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르면서 대안으로 부상한 것이 해상풍력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C Environment & Infrastructure, Inc. 2012. 20MW Offshore wind energy project-Offshore of Atlantic city, New Jersey. 

  2. Betke, K., Glahn, M.S., and Matuschek, R., 2004, Underwater noise emissions from offshore wind turbines, In: Proceedings of CFA/DAGA 2004. 

  3.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CDT), 2009, Technical Guidance for Assessment and Mitigation of the Hydroacoustic Effects of Pile Driving on Fish. 

  4. Cho, B.J. and Maeng, J.H., 2012, A study on determinations of survey station in marine ecosystems based by impact predic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21(5): 767-779. 

  5. Danish Energy Authority (DEA), 2006, "Offshore wind farms and the environment-Danish experiences from Horns Rev and Nysted". 

  6. Dong Energy, 2006, Danish offshore wind-key environmental issues, Danish Energy Authority and Danish Forest And Nature Agency. 

  7. Exo, K.M., Huppop, O. and Garthe, S., 2003, "Birds and offshore wind farms: a hot topic in marine ecology", Wader Study Group Bulletin, Vol.100: 50-53. 

  8. European Wind Energy Association (EWEA), 2009, The Economics of Wind Energy. 

  9. Gill, A.B., 2005, "Offshore renewable energy: Ecological implications of generating electricity in the coastal zone", J. of Applied Ecology, Vol.42: 605-615. 

  10. Issuequest, 2011, Market trend and outlook of offshore wind power plant 

  11. Kim, G.Y., Lee, D.I., Jeon, K.A., Eom, K.H. and Yu, J., 2012, Improvement for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the development of offshor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21(1): 1-13. 

  12. Kim, J.K. and Chung, C.M., 2009, A study on marin factor of large offshore wind park by location condition selection,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22(1): 145-165. 

  13. Kim, J.Y., Kang, K.S., Oh, K.Y., Lee, J.S. and Ryu, M.S., 2009, "Assessment of possible resources and selection of preparatory sites for offshore wind farm around Korean peninsula", The Korean Society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Vol.5(2): 39-48. 

  14. Kwon, K.N., 2012, Future of offshore wind power industry in Denmark, KOTRA economy industry trend. 

  15. Lee, D.I., Eom, K.H., Jeon, K.A. and Kim, G.Y., 2010, Scoping for environmental impact and system improvement of marine sand mining in Korea, J.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19(3): 335-345. 

  16. Lucke, K., Storch, S., Cooke, J. and Siebert, U., 2006, Literature review of offshore wind farms with regard to marine mammals, In: Ecological Research on Offshore Wind Farms: International Exchange of Experiences, Part B: Literature Review of Ecological impacts. 

  17.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11, A feasibility study of offshore wind power plant in Korea. 

  18.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10a, Roadmap for offshore wind farm development. 

  19.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10b, Development of offshore wind farm in southwestern coastal area in Korea on a large scale. 

  20. Nedwell, J. and Howell, D., 2004, "A review of offshore wind farm related underwater noise sources", COWRIE Report No. 544 R 0308. 

  21.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NREL), 2010, Largescale offshore wind power in the United States: Assessment of opportunities and barriers. 

  22. Shin, C.O., Yook, K.H., 2011,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acts of Offshore Wind Power, Korea Maritime Institute. 

  23. Spaans, A. L., J. van der Winden, L. M. J. van den Bergh and S. Dirksen, 1998, Vogelhinder door wind turbines. Landelijk onderzoekprogramma, deel 4: nachtelijke vliegbewegingen en vlieghoogtes van vogels langs de Afsluitdijk, Bureau Waardenburg report 98.015, Culemborg. 

  24. Sun, X., Huang, D. and Wu, G., 2012, "The current state of offshore wind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Energy, Vol.41(1): 298-312. 

  25. Sung, J.K. and Lee, T.J. 2013, Study on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Korean offshore wind power. Vol.62(3): 312-321. 

  26. Wratten, A., Martin, S., Welstead, J., Martin, J., Myers, S., Davies, H. and Hobson, G., 2005, The Seascape and Visual Impact Assessment Guidance for Offshore Wind Farm Developers, Enviros Consulting and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27. Word Wind Energy Association (WWEA), 2011, World Wind Energy Report 2011. 

  28. Yoon, J. R., Lee, S. w., Ahn, S. Y., Park, J. H., Bae, J, W. and Ahn, Y. S. 2006. Effects of underwater noise on fishes.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Annul Autumn Confer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