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터널 갱구지역 사면안정성 및 산사태 위험도 평가
Slope stability analysis and landslide hazard assessment in tunnel portal a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15 no.4, 2013년, pp.387 - 400  

정해근 (한국수자원공사 K-water 연구원) ,  서용석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터널 갱구사면을 대상으로 사면안정성 및 산사태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사면안정성 해석을 통해 붕괴위험도가 가장 높은 구간을 선정하고 구체적인 붕괴규모를 파악하였다. 해석결과 해발고도 485~495 m인 구간은 강우시 안전율이 0.99로 불안정한 상태로 나타났다. 이 때 붕괴심도는 최대 2.1 m이며 붕괴 길이는 사면의 경사방향으로 18.6 m로 분석되었다. 해당구간에서 사면붕괴 시 파생되는 사태물질의 이동특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터널 갱구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산사태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사태물질은 7.74 m/sec의 평균속도를 보이며 주로 계곡부를 따라 산 하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태물질은 산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산되며 10초 후에 터널 갱구부 위를 지나고 20.2초 후에 산하부에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터널 갱구부는 사태물질 이동경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산사태 발생 시 직접적인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lope stability analysis and the landslide hazard assessment in tunnel portal slope were carried out. First, we selected highly vulnerable areas to slope failure using the slope stability analysis and analyzed the slope failure scale. According to analyses results, high vulnerab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한계평형해석 이론이 적용된 Talren 97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갱구사면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붕괴가능성이 높은 구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사면붕괴 규모를 파악하였다. 해석에 사용된 지형단면도는 터널 갱구부와 산정상부를 연결하는 최대단면을 이용하였다(Fig.
  •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로 인한 사태물질의 이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차원 산사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사면안정성 해석을 통해 선정된 붕괴위험도 구간에 적용하여 사면 붕괴로 인한 산사태 발생 시 사태물질의 실시간(real time) 이동양상을 분석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터널 갱구사면을 대상으로 사면의 안정성 여부를 평가하고 붕괴위험도가 높은 구간에 대해서는 산사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산사태 발생 시 사태물질의 이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사면안정성 해석을 통해 갱구사면 중 붕괴위험도가 가장 높은 구간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터널 갱구사면을 대상으로 안정성 여부를 평가하고 불안정한 구간에 대해서 사면붕괴 규모를 파악하였다. 또한, 사면붕괴 시 발생되는 사태 물질의 이동특성을 분석하고자 3차원 산사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가설 설정

  • 8). 사면의 붕괴유형은 원호파괴로 가정한 후 Bishop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붕괴위험도가 가장 큰 구간은 해석을 통해 산출된 안전율이 가장 낮은 구간으로 선정하였다. 갱구사면에 대한 지층의 구분은 현장 시추조사자료 및 물리탐사자료의 결과를 토대로 토층, 풍화암층 및 연암층으로 구분하여 심도와 강도정수를 결정하고 사면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 그리고 동일 수치지형도에서 사면안정성 해석을 통해 파악된 붕괴 규모를 적용하여 산사태 발생 후의 지형데이터를 작성하였다. 사태 규모의 3차원적 표현을 위해서 사면의 붕괴 폭은 국내 편마암 풍화토 지역의 산사태 평균붕괴 폭인 15 m (Kim et al., 2007)로 가정하여 해석모델을 작성하였다(Fig. 12). 지반정수 데이터는 단위중량, 점착력, 동적 활동면 마찰각(∅1) 및 동적 토괴 내부마찰각(∅2)으로 구성된다.
  • 지하수 조건은 강우조건을 감안하여 건기시와 우기시로 구분하였다. 우기시는 지하수위가 지표면과 동일하게 되는 포화상태로 가정하였다. 해석에 사용된 지반정수는 실내 토질시험 결과와 현장 전단시험 결과를 통해 산정하였다(Table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사태는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산사태는 비탈 지대에서 암석과 흙더미가 하부로 무너져 내리는 현상으로 지표면 및 활동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파괴양상을 보인다. 산사태로 인해 파생되는 사태물질은 빠른 속도로 하부로 이동하여 도로, 가옥 및 농지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많은 인명피해를 야기한다.
산사태로 인해 파생되는 사태물질은 특히 어디에 피해가 더 큰가? 산사태로 인해 파생되는 사태물질은 빠른 속도로 하부로 이동하여 도로, 가옥 및 농지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많은 인명피해를 야기한다. 특히, 터널 및 도로와 같은 기간시설이나 국가의 중요 문화재가 위치한 곳 에 산사태가 발생할 경우 피해가 더욱 크다. 터널 갱구부는 터널 구조물 중 유일하게 외부와 연결되는 구간으로 산사태 피해를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구간이다.
산사태로 인해 파생되는 사태물질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산사태는 비탈 지대에서 암석과 흙더미가 하부로 무너져 내리는 현상으로 지표면 및 활동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파괴양상을 보인다. 산사태로 인해 파생되는 사태물질은 빠른 속도로 하부로 이동하여 도로, 가옥 및 농지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많은 인명피해를 야기한다. 특히, 터널 및 도로와 같은 기간시설이나 국가의 중요 문화재가 위치한 곳 에 산사태가 발생할 경우 피해가 더욱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e, S.H. (2007), "Cause analysis of 2006 concentrated heavy rain which occurred in Inje-Gun",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ol. 13, No. 4, pp. 396-408. 

  2. Chae, B.G., Kim, W.Y., Cho, Y.C., Kim, K.S., Lee, C.O., Choi, Y.S. (2004b), "Development of a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probabilistic prediction of debris flow",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4, No. 2, pp. 211-222. 

  3. Chae, B.G., Kim, W.Y., Na, J.H., Cho, Y.C., Kim, K.S., Lee, C.O. (2004a), "A prediction model of landslides in the teriary sedimentary rocks and volcanic rocks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4, No. 4, pp. 443-450. 

  4. Cho, Y.C., Chae, B.G., Kim, W.Y., Chang, T.W. (2007), "A modified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probabilistic prediction of debris flow at the granitic rock area and its application - landslide prediction map of gangreung area",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ol. 40, No. 1, pp. 115-128. 

  5. Hazen, A. (1911), "Discussion: dams on sand foundation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73, pp. 199. 

  6. Institute of Chubu Nihon Kogyo (2007), Technical report for 3D landslide simulation. 

  7. Iverson, J.B. (1998), "Molecules, morphology, and mud turtle phylogenetics (Family Kinosternidae)", Chelonian Conservation and Biology, Vol. 3, No. 1, pp. 113-117. 

  8. Kim K.S., Song Y.S., Chae B.G., Cho Y.C., Lee Y.C. (2007),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on natural terrain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7, No. 1, pp. 75-87. 

  9. Kim, W.Y., Chae, B.G., Kim, K.S., Kee, W.S., Cho, Y.C., Choi, Y.S., Lee, S.R., Lee, B.J. (2000), "Study on landslide hazard prediction", MOE, KR-00-(T)-09. 

  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8), Internet homepage (http://www.kma.go.kr). 

  11. Lee, S.R., Kim, Y.J., Min, K.D. (2000), "Development of spatial landslide information system and application of spatial landslide information",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Vol. 8, No. 1, pp. 141-153. 

  12. Oliver, M., Bell, F.G., Jemy, C.A. (1994), "The effects of rainfall on slope failure, with examples from the greater durban area", In: Proceedings Seventh Congress International Association Engineering Geology, Lisbon, A.A. Balkema, Rotterdam, Vol. 3, pp. 1629-1636. 

  13. Seo, Y.S., Chae, B.G., Kim, W.Y., Song, Y.S. (2005), "Assessment of runout distance of debris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15, No. 2, pp. 145-154. 

  14. Stevens, N.F., Manville, V., Heron, D.W., (2002), "The sensitivity of a volcanic flow model to digital elevation model accuracy: experiments with digitised map contours and interferometric SAR at ruapehu and taranaki volcanoes", New Zealand,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Vol. 119, Issue 1-4, pp. 89-105. 

  15. Stolz, A., Huggel, C. (2008), "Debris flows in the swiss national park: the influence of different flow models and varying DEM grid size on modeling results, Landslides", Vol. 5, Issue 3, pp. 311-319. 

  16. Zhang, C., Iwahori, Y. (2003), "Numerical prediction of mass movement due to slope collapse", The Japan Landslide Society, pp. 555-5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