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사태 발생지점의 특성을 고려한 취약성 분석 비교
Comparison of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Trigger Point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6 no.2, 2018년, pp.59 - 66  

신현우 (Dep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이수곤 (Dep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사태 발생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2006년 7월 11일부터 7월 18일까지 집중호우 시 다수의 산사태가 발생한 인제지역의 지형요인, 임상, 토질, 지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미래에 발생할 산사태의 취약성 평가를 위해 인제지역에 발생한 산사태를 활동형태와 흐름형태로 구분하고 지형에서 경사, 경사각, 곡률, 능선, 계곡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임상요인에서 경급, 영급, 밀도, 임상을 추출하여 베이지안을 기반으로 하는 LR 모델WOE 모델을 적용하여 연구지역 산사태의 취약성을 평가하고 예측비율곡선을 이용하여 적합도 검증하였다. 취약성 평가 결과의 적합도 검증 결과 산사태를 유형별 구분 없이 적용한 결과 상위 20%에서 LR 모델은 75%, WOE 모델은 73%의 적합도를 보이고 있으며, 활동형태와 흐름형태로 구별하여 검증한 결과 활동 형태는 상위 20%에서 LR 모델은 71%, WOE 모델은 69%의 적합도를 나타내고, 흐름 형태에서는 상위 20%에서 LR 모델은 86%, WOE 모델은 82%의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평가결과 적합도는 LR 모델 적용 결과가 WOE 모델 적용 결과 보다 높은 적합도를 보였으며, 활동형태 보다는 흐름형태의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산사태 취약성 평가와 검증 시에는 기존의 연구 방법과는 달리 산사태 발생 예측 시 유형별로 구분하여 실시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among topography, forest type, soil and geology in Inje area where landslides occurred during heavy rainfall from July 11 to July 18, 2006 to assess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In order to assess the susceptibility of future landslides, landslides occurred in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유형별로 구분하여 예측을 수행한 것과 유형별로 구분하지 않은 예측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결과 확인을 위해 각 분석 대상 요소들의 등급 값을 등면적화하여 단위면적당 발생하는 사건의 확률을 연산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수행 방법 및 절차를 Fig.
  • 취약성 평가 결과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예측비율곡선을 활용하였다. 또한 유형별로 구분하여 예측을 수행한 것과 유형별로 구분하지 않은 예측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결과 확인을 위해 각 분석 대상 요소들의 등급 값을 등면적화하여 단위면적당 발생하는 사건의 확률을 연산해 보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지형과 임상에서 9개의 인자를 추출하여 베이지안(Bayesian)을 기반으로 하는 LR 모델과 WOE 모델을 실제 현장 데이터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 산사태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예측모델을 적용해보고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유형별 분류가 산사태의 발생확률을 예측하는데 어떤 효용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산사태 발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기존의 산사태 발생지역의 환경을 고려하여 그와 유사한 지역에 대한 산사태 발생 확률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형과 임상에서 9개의 인자를 추출하여 베이지안(Bayesian)을 기반으로 하는 LR 모델과 WOE 모델을 실제 현장 데이터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했다.
  • 산사태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취약성을 평가한다면 보다 높은 예측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자들과는 다르게 산사태 발생 지점의 특성을 고려하여 흐름형태와 활동 형태로 유형을 분류하여 취약성 평가와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여 비교해 보고자 한다.
  • 산사태 유발요인들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발행한 1:250,000 강릉-속초 지질도폭과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작성한 인제 지역 임상도, 수해 발생 후 항공사진,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작성한 정밀 토양도 등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렇게 발생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형적인 요인과 임상적인 요인에서 9개의 요인을 추출하여 인제 지역에 적용하여, 유형별 산사태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사태 취약성 지도를 제작하는 방법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 2006). 산사태 취약성 지도를 제작하는 방법은 크게 정성적 해석 기법과 정량적 해석 기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Aleotti and Chowdhury, 1999).
한국 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행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결과는 무엇인가? , 2005)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산사태 취약성을 분석하고 지도화하여 그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 지질자원연구원이 1998-2005년도까지 발생한 10개 지역의 3,485개의 산사태를 분석한 결과 42.3%인 1,452개가 평면 슬라이드이고 1,452개의 산사태는 평면 슬라이드와 토사류의 복합된 산사태로 분류되었다(KIGAM, 2004). 그러나 지금까지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한 선행 연구 결과는, 산사태의 발생유형을 고려하지 않고 수행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산사태 취약성 분석은 무엇인가? 이처럼 반복하여 발생하는 산사태를 발생 이전에 산사태 발생 가능 지역을 정확히 예측 할 수 있다면 사회적 손실을 줄여나가는데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산사태 취약성 분석은 산사태를 유발시키는 성향으로 정의되어 대상 지역을 확률적으로 표현한다(Guzzetti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leotti, P. and Chowdhury, R. (1999), Landslide hazard assessment: summary review and new perspectives, Bulletin of Engineering Geology and the Environment, Vol. 58, No. 1, pp. 21-44. 

  2. Bonham-Carter, G.F. (1994),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Geoscientist : Modeling with GIS, Oxford: Pergamon Press, London. 

  3. Chung, C.F. and Fabbri, A.G. (1999), Probabilistic prediction models for landslide hazard mapping,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ol. 65, No. 12, pp. 1388-1399. 

  4. Dahal, R.K., Hasegawa, S., Nonomura, A., Yamanaka, M., Masuda, T., and Nishino, K. (2007), GIS-based weights of-evidence modelling of rainfall-induced landslides in small catchments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Environmental Geology, Vol. 54, No. 2, pp. 311-324. 

  5. Ermini, L., Catani, L., and Casagli, N. (2005), Artificial neural networks applied to and landslide susceptibility assessment, Geomorphology, Vol. 66, No. 1-4, pp. 327-343. 

  6. Guzzetti, F., Reichenbach, P., Ardizzone, F., Cardinali, M., and Galli, M. (2006), Estimating the quality of landslide susceptibility models, Geomorphology, Vol. 81, pp. 166-184. 

  7. KIGAM (2004), Development Landslide Risk Assessment System and Damage Mitigation Technology, M1-0324-00-0003-03-831-00-001-00, Daejeon, Korea, 288p. 

  8. Kim, J.H. and Kim, W.Y. (2013),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landslide hazard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3, No. 3, pp. 305-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S. and Sambath, T. (2006),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in the Damrei Romel area, Cambodia using frequency ratio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Environmental Geology, Vol. 50, No. 6, pp. 847-855. 

  10. Lee, S. and Talib, J.A. (2005), Probabilistic landslide susceptibility and factor effect analysis, Environmental Geology, Vol. 47, No. 7, pp. 982-990. 

  11. Pradhan, B., Lee, S., Mansor, S., Buchroithner, M., Jamaluddin, N., and Khujaimah, Z. (2008), Utilization of optical remote sensing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ols for regional landslide hazard analysis by using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Journal of Applied Remote Sensing, Vol. 2, No. 1, pp. 35-42. 

  12. Suzen, M.L. and Doyuran, V. (2004), A comparison of the GIS based landslide susceptibility assessment methods: multivariate versus bivariate, Environmental Geology. Vol. 45, No. 5, pp. 665-6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