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류지역에서 식물 플랑크톤 생체량 및 수질의 장기변동 특성
Long-Term Variations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Water Quality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5 no.4, 2013년, pp.263 - 267  

손희종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류 물금지역의 장기적인 부영양화 경향을 평가하기 위해 1995년부터 2012년까지 수질인자들 및 식물 플랑크톤 생체량(클로로필-a 농도)들의 변화경향을 조사하였다. 18년간의 장기적인 연평균 수질인자들 농도 및 식물 플랑크톤 생체량 변화에서 연평균 수질인자들 농도 및 식물 플랑크톤 생체량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였다. 연중 식물 플랑크톤의 농도변화에서는 매년 12월부터 3월까지 높은 식물 플랑크톤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Aizaki의 부영양화 지수(Trophic State Index, TSI) 평가에서 낙동강 하류 물금지역의 경우 1995년부터 2012년까지 매년 그리고 연중 부영양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수질인자들과 식물 플랑크톤 생체량과의 단순 상관관계 분석에서 BOD와 식물 플랑크톤 생체량과의 상관성($r^2$ = 0.8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g-term (from 1995 to 2012) data of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a, Chl-a) and water quality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rends of eutrophication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Mulgum). Long-term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biomass at Mulgum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류의 물금지역의 1995년 이후부터 2012년까지의 장기적인 수질 변화와 연계하여 식물 플랑크톤의 농도변화를 고찰하여 낙동강 하류지역의 장기적인 수질 및 식물 플랑크톤 농도와 같은 환경 생태학적인 변화 경향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 본류의 총 연장은 얼마인가? 낙동강 수계는 대구․경북과 부산․경남지역의 대도시를 경유하여 흐르는 인구 1천만의 식수원으로 국내 최대 수자원의 하나이다. 낙동강 본류의 총 연장은 약 520 km에 이르며, 유역면적은 전체 국토의 약 25%에 해당되고, 낙동강 하구언의 건설(1987년 10월 완공) 이후에는 갈수기에 물 흐름이 정체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낙동강 중상류의 대도시에서 유출되고 있는 공장폐수 및 생활오수 등 다량의 영양 염의 유입에 의한 부영양화 현상의 가속화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증가와 종조성의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매년 하절기에는 남조류, 동절기에는 규조류의 대번식으로 인하여 수자원의 이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1)
강의 하류의 특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강의 하류는 상류에 비해 영양염류가 풍부하기 때문에 일차 생산량이 때에 따라서 급증할 수 있고, 이러한 양적 변화에 동물 플랑크톤이나 다른 소비자들의 포식이 늦을 경우 포식되지 않은 식물 플랑크톤(phytoplankton)들은 수중이나 강바닥에 축적된다. 이러한 축적은 식물 플랑크톤, 동물 플랑크톤 그리고 어류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에서, 식물 플랑크톤에서 분비되는 용존 유기탄소(dissolved organic carbon, DOC), 박테리아, 원생동물, 동물 플랑크톤 및 어류로 이어지는 미생물이 다량 존재하는 먹이사슬 구조로 바뀌게 된다.
본 연구에서 낙동강 하류지역의 수질 조사항목으로 선정한 것은 무엇인가? 1)은 부산시 H 60만 톤/일의 처리용량을 가진 정수장의 취수구이며, 1995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주 1회 시료를 채수하여 이화학적인 수질 특성 및 클로로필-a 농도를 측정하였다. 수질 조사항목은 수온, pH, BOD, COD, NH3-N, NO3-N, T-N, T-P 및 클로로필-a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수질오염 공정시험법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N/P 비율은 측정된 T-N 및 T-P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Sin, Y., Lee, C., Cho, K. and Song, E., "Trend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in estuarine river systems," Kor. J. Limnol., 38 (2), 160-180(2005). 

  2. Sundbaeck, K. B., Joensseon, P., Nilsson, P. and Lindstroem, I., "Impact of accumulating drifting macroalgae on a shallowwater sediment system: an experimental study," Mar. Ecol. Prog. Ser., 58(3), 261-274(1990). 

  3. Jonas, R., "Microbial Processes, Organic Matter and Oxygen Demand in the Water Column," Oxygen Dynamics in the Chesapeake Bay, Smith, D. E., Leffler, M. and Mackiernan, G. (Eds) Maryland Sea Grant College, College Park, pp. 113-148(1992). 

  4. Suh, M. Y., Kim, B. H., Bae, K. S. and Han, M. S., "Annual fluctuation (2000-2003) of water quality and cyanobacterial abundance in the lower part of Han River," Kor. J. Limnol., 38(2), 181-187(2005). 

  5. Joo. G. J., Kim, H. W., Ha, K. and Kim, J. K., "Long-term trend of the eutrophication of the lower Nakdong River," Kor. J. Limnol., 30, 472-480(1997). 

  6. Heck, R. E. and Kilham, P.,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fresh water and marine environments: a view of recent evidence on the effects enrichment," Limnol. Oceangr., 33, 796-822(1988). 

  7. Smith, V. H., "The nitrogen and phosphorus dependence of algal biomass in lake: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analysis," Limnol. Oceangr., 27, 1101-1112(1982). 

  8. Aizaki, M., Iwakuma, T. and Takamura, N., "Application of modified Carlson's trophic index to Japanese lakes and relationships to other parameters related to trophic state," Res. Rep. Natl. Inst. Environ. Stud., 23, 13-31(1981). 

  9. Yu, S. J., Chae, M. H., Hwang, J. Y., Lee, J. A., Park, J. G. and Choi, T. B., "Analysis of trophic state variation of lake Yongdam in dam construction," Kor. Soc. Water Environ., 21(4), 360-367(20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