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 전남 보성군 사례를 중심으로
Revitalization of Social Enterprise in Rural Areas : Focused on the Case of Boseong in Jeonna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1, 2013년, pp.332 - 346  

유일 (순천대학교 경영학과) ,  최혁라 (순천대학교 경영학과) ,  김선명 (순천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제정된 이후 2012년 12월 현재 801개 기관이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되었다. 이 중 도시지역의 사회적기업이 훨씬 많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실제 사회적기업을 필요로 하는 낙후지역 또는 농촌지역에서 사회적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무엇을 개선해야 하고 어떠한 방안을 적용해야 할 것인가는 실천가와 연구자에 의해 성찰되어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성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업체들의 사회적기업 전환가능성 진단과 지역주민의 수요조사를 통해,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농촌 지역의 사회적 기업이 비활성화되고 있는 이유는 인력난, 자금난, 시장 협소 및 경영 능력 부족 등 농촌 지역의 기업 환경이 도시에 비해 열악한 상황과 연관되어 있다. 농촌형 사회적기업 모델의 충족 조건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생산과 사회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며 계절적 특성을 반영한 노동시장 부문의 고려이다. 둘째,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사회적 기업의 지역 리더 발굴 및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셋째, 협동조합 및 마을기업의 사회적기업 모델 개발이다. 넷째, 대표적인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의 광범위한 취약계층을 고용하고 지역사회로 이익을 환원하는 대표 사회적기업을 발굴하고 단계적이고 장기적 지원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enactment of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in 2007, the December 2012 was now 801 organizations certified as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 in urban areas are much more activated, in order to social enterprises in rural areas be activated, what you need to improve and what measu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기준들을 통해 농촌에서 활동하고 있는 제 단체들이 사회적책임과 영리성을 충족할 여건을 갖추고 있는지, 그들이 사회적기업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고 있으며, 사회적기업 관련하여 요구하는 사항들이 무엇인지, 지역문제에 대해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소속 단체의 관계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로 농촌 지역 활동 단체들의 사회적기업으로의 전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대안에 대해서 성찰해볼 수 있다.
  • 사회적 경제는 자본주의의 경제 중심적 사고를 넘어서서 경제를 다시 사회의 하위에 두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경제의 목표를 이윤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욕구의 실현과 현실적인 문제 해결에 두고자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회적 경제의 영역에서 특히 사회적 목표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업체를 사회적 기업이라고 부른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을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남 보성군을 사례로 하여 지역 사회 제단체들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전환가능성 진단과 사회적기업 관련 인지 및 요구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기준은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으로의 잠재적 전환가능성이 있는 단체들의 사회적기업 전환가능성, 인증가능성, 지역문제 및 대상단체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지, 사회적기업에 대한 요구 등이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특성에 맞는 사회적기업의 유형과 요건들을 살펴보고,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어떠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지도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남 보성지역을 사례로 선정하여 지역내 관련 업체들의 사회적기업 전환가능성을 진단하고 지역주민의 수요조사를 통해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특성에 맞는 사회적기업의 유형과 요건들을 살펴보고,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어떠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지도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남 보성지역을 사례로 선정하여 지역내 관련 업체들의 사회적기업 전환가능성을 진단하고 지역주민의 수요조사를 통해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문제의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에서 사회적기업이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와 조건은 무엇인가? 이 문제의식은 사회적기업의 인증 요건이 농촌지역에서 부합되지 못한 측면이 있는지, 아니면 사회적기업이 설립되고 활성화되기 위해 필요한 기업 내부적 요건 즉 기업가, 아이템, 수익성, 피고용자의 수와 능력 등이 농촌 지역에서 부족한 것인가? 둘째, 농촌 지역에서 적합한 사회적 기업의 유형은 어떠한 것인가? 농촌 지역은 주요 산업 기반이 농림어업이며, 특히 지역거주인구가 고령화되어 있어서 사회적기업의 설립 주체가 약할 수 밖에 없고, 고용 인력의 측면에서도 취약할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촌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여 특화될 수 있는 사회적기업의 유형이 있을 것이라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국 통산산업부는 사회적기업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또한 기업활동의 결과가 공익적 서비스라는 점과 그로 인하여 생겨진 수익이 전액 재투자되어 더 많은 실직자와 빈곤 계층의 일자리를 만든다는 점에서 일반 기업과 구별하고 있다. 영국 통상산업부는 사회적기업을 ‘사회적 목적을 우선으로 하는 사업체로서 기업의 잉여금은 주주와 소유자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운용되기보다는 그 사업체 또는 지역사회를 위해 재투자되는 기업’이라고 정의내린다[4]. 또한 ‘다양한 사회 및 환경 이슈를 해결하고자 하며, 모든 경제 분야에서 활동하는 조직으로서, 공공의 이익을 위해 비즈니스 솔루션을 사용하고, 강력하고, 지속가능하며, 다양한 계층을 포괄하여 경제적 창출을 돕는 역할’을 한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구들의 대부분의 주요 연구 분야는 무엇인가? 사회적기업이 우리나라에 도입된지는 얼마되지 않았지만 최근들어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사회적기업은 정부의 전략육성사업으로 지정되어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입법된 이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활발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경영학적인 접근(지속가능성, 성과측정, 성공모델, 성장전략), 사회복지적인 접근들(노동통합, 일자리창출을 통한 빈곤탈출, 자활사업과 사회적기업과의 관계), 사회적기업 육성방안(민간기금조성, 금융지원활성화, 인증현황, 민관협력 및 제도개선방안)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그러나 실제 사회적기업을 필요로 하는 낙후 지역 또는 농촌 지역의 사회적기업 육성방안이나 성공 전략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사회적기업 개념을 표준화하여 정의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사회적기업의 개념정의에 대한 논쟁은 많지만 사회적기업 개념을 표준화하여 정의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사회적기업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국가나 연구자들이 처한 사회 문화적 풍토안에서 각국의 다양한 경험에 기반을 두어 사회적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 형성되고 논의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2]. OECD에서는 사회적기업을 ‘기업적 방식으로 조직되는 일반 활동 및 공익활동을 아우르며, 이윤극대화에 두지 않고 특정한 경제 및 사회적 목적, 그리고 재화와 용역의 생산이나 사회적 배제 및 실업문제에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는 기업’이라고 정의내리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리스트, 2013. 

  2. 남승연, 조창현, 정무권, "사회적기업의 개념화와 유형화 논쟁: 사회적기업의 다양성과 역동성의 이해를 위하여", 창조와 혁신, 제3권, 제2호, pp.129-173, 2010. 

  3. OECD, Social Enterprises, 1999. 

  4. DTI, Social Enterprise Strategy for Sucess. DTI : London, 2002. 

  5. http://www.sbs.gov.uk/sbsgov/ 

  6. Social Enterprise Coalition, There's More to Business Than You Think: A Guide to Social Enterprise, London: Social Enterprise Coalition, 2003. 

  7. Roberts Enterprise Development Fund, Measuring Impact: REDF Workforce Development Outcome Measuremen, 2003. 

  8. M. Auteri, "The Entrepreneurial Establishment of a Nonprofit Organization," Public Organization Review, Vol.3, No.2, pp.171-189, 2003. 

  9. S. Campbell, "Social Entrepreneurship: How to Develop New Social Purpose Business Venture," Health Care Strategic Management, Vol.16, No.5, pp.17-18, 1998. 

  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적 일자리 활성화 및 사회적 기업 발전방안 연구, 2005. 

  11. 김봉화, 김배호, 세계 사회적 기업의 현황과 전략, 한국학술정보(주), 2010. 

  12. 김정원, 사회적기업이란 무엇인가?, 아르케, 2009. 

  13. 임혁백,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한국형 사회적 일자리와 사회 서비스 모색, 서울:송정문화사, 2007. 

  14. 이윤재, 사회적 기업 경제, 탑북스, 2010. 

  15. J. Defourny, "Introduction, Form Third Sector to Social Enterprise," Carlo Borzaga and Jacques Defourny, eds.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routledge, 2001. 

  16. 최혁진,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의 관계 및 발전 방안,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2. 

  17. 김기한, 사회적기업과 지역경제와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8. 한국노동연구원, 사회적일자리 창출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고용노동부, 2004. 

  19. J. Defourny and M. Nyssens, Defining social enterprise, 2006. 

  20. A. Evers and M. Schulze-Boing, "Germany: Social Enterprises and Transitional Employment,"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2004. 

  21. OECD, Social Enterprises, 1999. 

  22. J. Defourny, "From Third Sector to Social Enterprise,"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2004. 

  23. 홍현미라, "사회적기업의 지역사회 접근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지역사회자본 재구조화", 사회과학논총, 제23권, 제2호,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종 합연구소, pp.135-155,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