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용 CBCT를 이용한 상악 정중치의 3차원 분석 및 정중치와 정중이개와의 관계분석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Maxillary Mesiodens Using Dental CBCT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Mesiodens and Diastema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40 no.4, 2013년, pp.260 - 267  

강은주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최남기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  김선미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를 이용하여 상악 정중치의 크기, 형태, 위치 등의 3차원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이 영구치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2006년 6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내원하여 CBCT를 촬영한 환자 중 15세 이하의 환자,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정중이개를 보이는 43명을 대상으로 정중치의 크기, 위치와 정중이개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중치는 남성에서 약 3.9배 많이 발견되었고 7세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평균 길이는 13.0 mm, 폭경은 6.8 mm이였으며, 원추형이 59.2%로 가장 많았다. 정중치는 순측보다 구개측에 다수 존재하였고 수직적으로는 영구치의 치관부위에 근접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정중치의 63.0%가 역위 형태였으며 정중치에 의해 유발된 병발증은 맹출지연이 39.0%, 정중이개 23.6%, 치아회전이 15.9%를 차지하였다. 이 중 정중이개량은 정중치의 크기와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중치의 근원심 위치도 정중이개량과 통계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정중치의 3차원 분석을 통해 정중치의 크기, 위치, 병발증의 발생분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 중 정중이개량은 정중치의 크기, 근원심 위치와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hre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ize, shape and location of mesiodens and their effect on permanent teeth arrangement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 191 patients under 15 years old who had visited the hospital between June 2006 and Decem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중치 발거와 함께 병발증에 대한 치료적 역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정중치에 의한 병발증 중 특히 정중이개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정중이개란 인접한 치아 간 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의 영상으로 촬영된 CBCT 영상을 이용하여 정중치의 위치, 크기, 형태 등의 특성과 병발증을 파악하고 특히 정중이개와 정중치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정중치를 가지고 있으면서 정중이개를 보이는 아동의 정중이개량을 정상아동과 비교해 보았다. 정중치를 가지고 있는 총 191명의 환자 중 43명의 아동에게서 정중이개가 관찰되었으며 5세 평균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잉치란 무엇인가? 과잉치란 정상 치아의 수보다 증가하여 나타나는 치아로서 유치에서 20개 이상, 영구치에서 32개 이상인 경우에 해당된다1). 그리고 Alberti 등2)은 이러한 과잉치 중 가장 흔한 형태를 정중 과잉치라고 하였다.
과잉치 발생의 원인으로 언급되는 3가지 주된 이론은 무엇인가? 과잉치의 발생 원인은 이미 많은 문헌에서 보고되었으나 아직 명백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에는 3가지 주된 이론, 격세유전설(Phylogenetic reversion), 이분설(Dichotomy) 그리고 과 활성이론(Hyperactivity theory)이 과잉치 발생의 원인으로 언급되고 있다. 격세유전설은 3개의 중절치를 가졌던 원시 생물의 치아 형태가 유전적으로 남아 정중치 형태의 치아로 발생하는 것이라고 하였다3).
Phylogenetic reversion이란 무엇인가? 현재에는 3가지 주된 이론, 격세유전설(Phylogenetic reversion), 이분설(Dichotomy) 그리고 과 활성이론(Hyperactivity theory)이 과잉치 발생의 원인으로 언급되고 있다. 격세유전설은 3개의 중절치를 가졌던 원시 생물의 치아 형태가 유전적으로 남아 정중치 형태의 치아로 발생하는 것이라고 하였다3). 그리고 이분설은 한 개의 치배가 두 개의 치아를 형성하기 위해 나뉘고 이 중 하나가 정중치가 된다고 하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Leco-Berrocal MI, Martin-Morales JF, Martlnez-Gonzalez JM : An observational study of the frequency of supernumerary teeth in a population of 2000 patients.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12:134-138, 2007. 

  2. Alberti G, Mondani PM, Parodi V : Eruption of supernumerary permanent teeth in a sample of urban primary school population in Genoa, Italy. Eur J Paediatr Dent, 7:89-92, 2006. 

  3. Thomas VA : Anterior maxillary supernumerary teeth: a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Aust Dent J, 37:189-195, 1992. 

  4. Sedano HO, Gorlin RJ : Familial occurrence of mesiode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27:360-361, 1969. 

  5. Primosch RE : Anterior supernumerary teethassessment and surgical intervention in children. Pediatr Dent, 3:204-215, 1981. 

  6. McKibden DR, Brearley LJ : Radiographic determination of the prevalence of selected dental anomalies in children. ASDC J Dent Child, 28:390-398, 1971. 

  7. Brook AH : A unifying aetiological explanation for anomalies of human tooth number and size. Arch Oral Biol, 29:373-378, 1984. 

  8. Tyrologou S, Koch G, Kurol J : Location, complications and treatment of mesiodentes-a retrospective study in children. Swed Dent J, 29:1-9, 2005. 

  9. Giancotti A, Grazzini F, Arcuri C, et al. : Multi-disciplinary evaluation and clinical management of mesiodens. J Clin Pediatr Dent, 26:233-237, 2002. 

  10. J Lustmann, L Bodner : Dentigerous cysts associated with supernumerary teeth. Int J Oral Maxillofac Surg, 17:100-102, 1988. 

  11. Nastri AL, Smith AC : The nasal tooth : case report. Aust Dent J, 41:176-177, 1996. 

  12. Jung YH, Nah KS, Cho BH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mesiodens and complications.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38:103-107, 2008. 

  13. Hyun HK, Lee SJ, Kim JW, et al. :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mesiodentes. J Oral Maxillofac Surg, 67:2639-2643, 2009. 

  14. Noh JJ, Choi BR, Choi SC, et al. : Diagnostic imaging analysis of the impacted mesiodens.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40:69-74, 2010. 

  15. Kim SH, Kim YJ, Kim S, Jeong TS : Accuracy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predicting the diameter of unerupted teeth. J Korean Acad Pediatr Dent, 39:139-144, 2012. 

  16. Rajab LD, Hamdan MA : Supernumerary teeth: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survey of 152 cases. Int J Paediatr Dent, 12:244-254, 2002. 

  17. Brook AH : Dental anomalies of number, form and size: their prevalence in British schoolchildren. J Int Assoc Dent Child, 5:37-53, 1974. 

  18. Kinirons MJ : Unerupted premaxillary supernumerary teeth. A study of their occurrence in males and females. Br Dent J, 153:110-118, 1982. 

  19. Lee DH, Lee JS, Yoon SJ, Kang BC : Three dimensional evaluation of impacted mesiodens using dental cone beam CT.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40:109-114, 2010. 

  20. Asaumi JI, Shilbata Y, Kishi K, et al. : Radiographic examination of mesiodens and their associated complications. Dentomaxillofacial Radiology, 33:125-127, 2004. 

  21. Garvey MT, Barry HJ, Blake M : Supernumerary teeth-an overview of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J Can Dent Assoc, 65:612-616, 1999. 

  22. Profitt WR, Fields HW, Sarver DM : Contemporary orthodontics. 4th ed. St Louis: CN Mosby Co: 1986. p.138-243 

  23. Tay F, Pang A, Yuen S : Unerupted maxillary anterior supernumerary teeth: report of 204 cases. ASDC J Dent Child, 51:289-298, 1984. 

  24. Solares R : The complications of late diagnosis of anterior supernumerary teeth: case report. ASDC J Dent Child, 57:209-211, 1990. 

  25. Witsenburg B, Boering G : Eruption of impacted permanent upper incisors after removal of supernumerary teeth. Int J Oral Surg, 10:423-431, 1981. 

  26. Yague-Garcia J, Berini-Aytes L, Gay-Escoda C : Multiple supernumerary teeth not associated with complex syndromes: a retrospective study.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14:331-336, 2009. 

  27. Keene HJ : Distribution of diastemas in the dentition of man. Am J Phys Anthropol, 21:437-441, 1963. 

  28. Broadbent BH : Ontogenic development of occlusion. Angle Orthod, 11:223-241, 1941. 

  29. Koora K, Muthu MS, Rathna PV : Spontaneous closure of midline diastema following frenectomy.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25:23-26, 2007. 

  30. Lee SJ : The Statistical Study of Maxillary Median Diastema. J Korean Acad Pediatr Dent, 115-122, 1983. 

  31. Richardson ER, Malhotra SK, Coleman HT, et al. : Biracial study of the maxillary midline diastema. Angle Orthod, 43:438-43, 1973. 

  32. Hahn SH : A study on the maxillary median diastema(III). Korean Dental Association, 22:699-703, 1984. 

  33. Taylor JE : Clinical observations relating to the normal and abnormal frenulum labii superians. Am J Ortho And Oral Surg, 25:646-660, 1939. 

  34. Gardiner JH : Midline space, Dental Practice (Bristol). 17:276-278, 1967. 

  35. Munshi A, Munshi AK : Midline space closure in the mixed dentition: a case report.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19:57-60, 2001. 

  36. Follin ME : Orthodontic movement of maxillary incisor into the midline. A case report. Swed Dent J, 9:9-13, 1985. 

  37. Putter H, Huberman A, Scherer W : Diastema closure: A case report. J Esthet Dent, 4:9-11,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