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안 청어 (Clupea pallasii) 자망의 망목선택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ize selectivity of a gillnet for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in the eastern sea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49 no.4, 2013년, pp.360 - 367  

안희춘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배재현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김성훈 (국립수산과학원 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esh selectivity of the gillnet for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was examined in field experiments with four different mesh sizes (63, 69, 75 and 81mm) from June to July, 2013 in the coastal areas of Imwon in Gangwon province. The fishing performance tests were conducted with a commercial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청어자망에 있어서 적정망목을 추정하기 위해 4가지 망목크기의 시험어구를 사용하여 선택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최근 유령어업저감과 해양환경보호를 위하여 시범적으로 보급하고 있는 생분해성 자망을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자망어구와 동일한 구조 (mesh size:63mm)로 제작하여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다.
  • 또한 최근 유령어업저감과 해양환경보호를 위하여 시범적으로 보급하고 있는 생분해성 자망을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자망어구와 동일한 구조 (mesh size:63mm)로 제작하여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청어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고, 자원관리를 위한 적정 어구설계의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Kitahara 망목선택성곡선 추정법은 Baranov가 가정한 기하학적인 상사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식 (1)에 표현한 것과 같이 망목의 크기가 k배 증가하면 어획되는 어류의 체장 또한 k배가 된다는 가정이다. Kitahara는 이러한 가정을 기본을 하여 체장 l을 망목크기 m으로 표준화한 상대체장 l/m을 변수로 하여 선택성 곡선 S(lj/mj)을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Kitahara, 196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어가 주로 어획되는 방법은? 청어는 주로 선망, 정치망, 저인망 그리고 연근해자망에 의해 어획되며, 이 중에서 선망에서 어획된 어획량이 2012년 기준으로 전체 어획량의 약 63.46%를 차지하며, 정치망이 9.
2008~2012년 청어의 생산량 추이는? 최근 5년간 청어의 생산량 추이는 2008년에는 45,472M/T (25,501,097천원)이 생산되었으나, 2009년에는 37,514M/T (24,963,381천원)이 생산되었으며 2010년 25,005M/T (23,831,376천원)으로 2008년도에 비해 약 18% 감소하였다. 2012년에는 다소 생산량이 증가하여 28,013M/T이 생산되었으나, 생산금액은 22,409,428천원으로 2010년도에 비해 생산량 증가에 비해 생산금액은 약 6%정도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KOSIS, 2012).
우리나라에서 청어가 주로 분포하는 곳은? 청어는 대게, 오징어와 더불어 우리나라 동해안의 대표적인 어종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어족자원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예전부터 동서남해안에 회유경로를 따라 폭넓게 분포하였고, 최근에는 동해안의 주요어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ranov FI. 1914. The capture of fish by gillnets. Mater. Poznoniyu Russ Rybolov 3, 56-99. 

  2. Fujimori Y, Tokai T, Hiyama S and Matuda K. 1996. Selectivity and gear efficiency of trammel nets for kuruma prawn (Penaeus japonicus). Fish Res 26, 113-124. 

  3. Ishida T. 1962. On the gill net mesh selectivity. Bull Hokkaido Reg Lab 25, 20-25. 

  4. Kim IO, Park CD, Cho SK, Kim HY and Cha BJ. 2010. Mesh selectivity of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nylon gillnet for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western sea of Korea. J Kor Soc Fish Tech 46, 281-291. 

  5. Kim SH and Lee JH. 2002. Mesh selectivity in trammel net for flat fish. J Kor Soc Fish Tech 38, 91-100. 

  6. Kim SH, Park SW, Bae JH and Kim YH. 2009. Mesh selectivity of Drift gill net for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the coastal sea of gageodo. Kor J Fish Aquat Sci 42, 518-522. 

  7. Kim SH, Park SW, Lee KH and Yang YS. 2012. The estimation of the optimum mesh size selectivity of a drift net for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using by the SELECT model. J Kor Soc Fish Tech 48, 10-19. 

  8. Kitahara T. 1968. On sweeping trammel net (Kogisasiami) fishery along coast of the San in distric-III. Mesh selectivity curve of sweeping trammel net for Branquillos. Bull Japan Soc Fish Tech 34, 759-763. 

  9. KOSIS. 2012. Accessed 15 Sep 201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Fishery production survey. Retrieved for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 tIdF on 2009 to 2012. 

  10.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NFRDI). 2000. Ecology and fishing ground of main fisheries resource in exclusive economic zone. 1-232. 

  11. Park CD, An HC, Cho SK and Baik CI. 2003. Size selectivity of gill net for male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J Kor Soc Fish Tech 39, 143-151. 

  12. Park HH, Jeong EC, Bae BS, Yang JH, Choi SH and Lee SI. 2007. Mesh selectivity of gill net for female Japanese sandfish (Arctoscopus japonnicus) in spawning season. J Kor Soc Fish Tech 43, 274-2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