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서조절, 정서적 자기개방 및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중·고등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4 no.5, 2013년, pp.61 - 77  

김소아 (육아정책연구소) ,  강민주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adolescent depres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280 middle school students and 287 high school students in Gyung Gi Province, Korea. The result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서적 자기개방은 타인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드러나는 것이 특징이어서 그 자체가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의미를 포함하며, 타인이 누구냐에 따라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라는 환경적 요인과 인지적 정서조절이라는 개인적 요인간의 상호작용만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정신건강에 있어 정서적 자기개방의 의미가 큼에도 불구하고 정서적 자기개방과 우울간의 관계는 국외에서 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을 뿐이며 국내에서도 연구된 바가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정서 특히, 정서적 불쾌감을 타인에게 드러내는 정서적 자기개방이 청소년의 우울을 설명할 수 있을지 살피고자 한다.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그리고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정서적 자기개방은 우울이라는 개인의 정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즉, 중 · 고등학생 모두가 발달시기상 같은 청소년기에 분류되지만 완전한 동일집단으로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 · 고등 학생 두 집단에서 나타나는 각 변인의 수준 차이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인지적 정서조절 및 정서적 자기개방이 우울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에게서 우울, 인지적 정서조절, 정서적 자기개방 및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피고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또한 각 변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통제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는지 함께 살폈다. 모든 분석은 연령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그리고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정서적 자기개방은 우울이라는 개인의 정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각 변인이 청소년의 우울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 그리고 개인이 가진 정서조절 수준이 주어지는 심리적 통제라는 부정적인 영향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을지 살피고자 한다. 정서적 자기개방은 타인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드러나는 것이 특징이어서 그 자체가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의미를 포함하며, 타인이 누구냐에 따라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 우울을 설명해 줄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하며, 양육적 돌봄의 주체로 어머니의 역할이 여전히 크다는 점에서(Ahn & Shin, 2012)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만을 살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관심을 갖고, 중 · 고등학생 56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에게서 우울, 인지적 정서조절, 정서적 자기개방 및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피고 변인들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또한 각 변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통제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는지 함께 살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의 예측 요인을 두 가지로 나누면? 더욱이 우울은 우울한 감정을 느끼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살 생각(Anthony & Christianne, 2006; Chun, 2001; Woo, Park, & Jeong, 2010), 불안, 낮은 자존감 및 스트레스 (Caldwell, Zimmerman, Bernat, Sellers, & Norato, 2002) 등 여러 부분에서 꼬리를 물며 악영향을 미치며, 우울감이 지속될 경우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Kim & Cho, 2000) 관련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크게 우울의 예측 요인은 환경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으로 나뉜다(Kim & Kim, 2006). 먼저, 환경적 요인 중 청소년 우울과 관련하여 살펴야 할 것으로 부모-자녀관계를 들 수 있다.
청소년기에 겪게 되는 다양한 변화 가운데 공통으로 제시되는 것은? 청소년기에 겪게 되는 다양한 변화 가운데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정서적 취약성과 불안정이며, 가장 흔하고 대표적인 정서적 문제중 하나가 우울이다(Chung, 1998). 실제로 최근 12개월 동안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의 슬픔이나 절망감을 느낀 여부를 의미하는‘우울감 경험률’을 조사한 결과, 전국의 32.
청소년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청소년 학교 폭력, 성적 비관, 비행, 자살 등의 기사가 하루를 마다하고 언론에 오르내린다. 전국 청소년 상담내용 및 대상별 현황 집계라는 주제 하에 실시된 조사에서는(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a) 조사 결과가 공개된 2004년 이래로 가정, 비행, 학업, 인터넷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담을 원하는 청소년이 매년 증가해왔다고 보고되었다. 인생의 모든 시기에 고난과 역경은 있게 마련이지만,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M. H. (2010). Maternal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control : mediating role of emotion and sense of competenc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5(4), 691-710. 

  2. Ahn, M. H. & Shin, H. S(2012).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 depression : A mediation model.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2), 227-253. 

  3. Aiken, L. S., & West, S. G. (1996). Multiple regression :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 Sage. 

  4. Anthony, S., & Christianne, E. S. (2006). Attempted and completed suicide in adolescence.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2, 237-266. 

  5.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 3296-3319. 

  6. Barber, B. K. (2002). Intrusive parenting. Washington D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 Caldwell, C. H., Zimmerman, M. A., Bernat, D. H., Sellers, R. M., & Norato, P. (2002). Racial identity, mater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African-American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73(4), 1322-1336. 

  8. Cicchetti, D., Ackerman, B. P., & Izard, C. E. (1995).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in developmental psychology. Development and Psychology, 7, 1-10. 

  9. Chon, K. K., Cho, S. C., & Yang, B. C.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6. 

  10. Chun, Y. J. (2001). Path model for the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 affecting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mediated by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 151-167. 

  11. Chung, O. B. (1998). Understanding of adolescent development. Seoul : Hakjisa. 

  12. Darling, N., & Steinberg, L. (1993). Parenting style as context : An integrative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13, 487-496. 

  13. Erikson, E. K. (1968). Identity : Youth and Crisis. New York : W. W. Norton. 

  14. Felsten, G. (2004). Stress reactivity and vulnerability to depressed mood i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4), 789-800. 

  15. Fredrickson, B. L. (1998).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 300-319. 

  16.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rble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30, 1311-1327. 

  17. Garnefski, N., Teerds, J., Kraaij, V., Legerstee, J., & van den Kommer, T. (2004).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depressive symptoms :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 267-276. 

  18. Gross, J. J. (1999). Emotion regulation : Past, present, future. Cognitive and Emotion, 13(5), 551-573. 

  19. Han, J. Y., & Park, K. (2011). The mediating effects of shame and cognitive coping strategies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9), 169-188. 

  20. Han, S. C. (2004). Studies of adolescence : Understanding and guiding adolescents. Seoul : Hakjisa. 

  21. Horowitz, J. L., & Garber, J. (2006). The prevention of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meta-analysi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 401-415. 

  22. Jourard, S. M., & Lasakow, P. (1958). Some factors in self-disclosure.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6(1), 91-98. 

  23. Jung, J. Y., & Kim, J. N. (2011).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parental behavio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ehavioral inhibition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2), 227-254. 

  24. Jung, M. S., Sohn, Y. S., Yang. H. Y., & Jung, H. H. (2000). Behavior disorders of childhood. Seoul : Sigmapress. 

  25. Kahn, J. H., & Hessling, R. M. (2001). Measuring the tendency to conceal versus disclose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 41-65. 

  26. Kennedy-Moore, E., & Watson, J. C. (2001). How and when does emotional expression help?.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5, 18-212. 

  27. Kim, B. M., & Oh, O. H. (1997). Relation of counselor self-disclosure & client trait-anxiety in counseling process. Journal of student guidance, 16, 1-14. 

  28. Kim, B. N., & Cho. S. C. (2000). Treatment strategies for the child & adolescent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1(3), 216-231. 

  29. Kim, S. H., & Kim, C. K. (2006). Depression in adolescence : Path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and cognitive variabl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7(6), 249-261. 

  30. Ko, S. K., & Ko, Y. K. (2009).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older adults compared with younger adults.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9(2), 65-85. 

  31. Kwon, S. M. (2003). Modern Abnormal Psychology. Seoul : Hakjisa. 

  32. Larson, D. G., & Chastain, R. L. (1990). Selfconcealment :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health implication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9, 439-455. 

  3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a). Book of adolescents and statistical analyses of adolescent counseling by Korean youth counseling institute. Seoul : Ministry of Health & Welfare. 

  3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b). Online survey on adolescents' health status. Seoul : Ministry of Health & Welfare. 

  35.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04). Adolescent Psychology. Seoul : Kyoyookbook. 

  36. Peterson, A. C. (1988). Adolescent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9, 583-607. 

  37.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38. Seo, Y. S. (2010). Testing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 Conceptual distinction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2(4), 1147-1168. 

  39. Shin, A. Y., & Chae, J. H. (2011).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patients with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1(1), 1147-1168. 

  40. Statistics Korea (2012). 2012 Youth Statistic. Seoul : Statistics Korea. 

  41. Stoltz, H., Barber, B. K., & Olsen, J. (2005). Toward disentangling fathering and mothering : An assessment of relative importan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 1026-1092. 

  42. Woo, C. Y., Park. A. C., & Jeong, H. H. (2010).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uman relations,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by genders and level of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4(1), 19-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