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분포형 홍수유출 모델링을 통한 레이더 강우자료의 효과분석
Discussion for the Effectiveness of Radar Data through Distributed Storm Runoff Modeling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5 no.6, 2013년, pp.19 - 30  

안소라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장철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김상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한명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김진훈 (한강홍수통제소 강우레이더 통합운영센터)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 of dual-polarization radar data for storm runoff modeling in Namgang dam (2,293 $km^2$) watershed using KIMSTORM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The Bisl dual-polarization radar data for 3 typhoons (Khanun, Bolaven, Sanba) and 1 heavy ra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적용결과는 시계열 공간 유출분포로 생성이 되므로, 집중형 강우-유출모형에서는 파악할 수 없는 유역 내에서의 홍수진행상황을 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와 분포형 모형을 연계하여 강우자료의 효과분석 및 분포형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어 2010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한 비슬산 이중편파 레이더를 이용하여, 레이더 강우자료와 지상 강우관측소의 지점 강우자료를 비교분석하고 강우특성을 파악하여 그 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레이더와 지점 강우자료를 국내에서 개발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IMSTORM에 적용하여 유역 내에서의 홍수진행상황을 공간적으로 파악하고 레이더 강우의 활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어 2010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한 비슬산 이중편파 레이더를 이용하여, 레이더 강우자료와 지상 강우관측소의 지점 강우자료를 비교분석하고 강우특성을 파악하여 그 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레이더와 지점 강우자료를 국내에서 개발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IMSTORM에 적용하여 유역 내에서의 홍수진행상황을 공간적으로 파악하고 레이더 강우의 활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 활용된 비슬산 이중편파 레이더자료는 강우의 오차분석과 유출량 비교 및 모형효율 평가에 따른 결과로 보았을 때 레이더 강우의 공간적 분포와 규모의 활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레이더 강우와 분포형 모형에 의한 공간유출 및 첨두유출의 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지점 강우 관측소의 강우량과 레이더 강우량, 분포형 모형이 함께 고려되어 홍수예측에 활용된다면 유역 내 보다 정확한 홍수진행상황의 공간적인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상 강우관측소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강우의 시간적, 공간적인 특성의 파악 및 신속하고 정확한 홍수예보가 중요하다. 강우-유출 해석에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상 강우관측소는 유역 내 한정된 지점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국지적으로 발생되는 집중호우의 경우 강우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정확히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우 조밀하게 관측된 우량 자료가 필요한데, 유역 내에 많은 우량관측소를 설치하여 조밀한 우량관측을 실시하는 것은 관측소의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측면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전병국 등, 2012).
레이더 강우자료에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적용 시 어떤 장점이 있는가? 레이더 강우자료는 격자기반의 분포형 시계열 자료이므로, 레이더 자료의 정보극대화를 위해서는 격자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야 한다.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적용결과는 시계열 공간 유출분포로 생성이 되므로, 집중형 강우-유출모형에서는 파악할 수 없는 유역 내에서의 홍수진행상황을 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와 분포형 모형을 연계하여 강우자료의 효과분석 및 분포형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레이더 강우자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강우-유출 해석에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상 강우관측소는 유역 내 한정된 지점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국지적으로 발생되는 집중호우의 경우 강우의 시공간적인 분포를 정확히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홍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우 조밀하게 관측된 우량 자료가 필요한데, 유역 내에 많은 우량관측소를 설치하여 조밀한 우량관측을 실시하는 것은 관측소의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측면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전병국 등, 2012).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보완책으로 레이더 강우자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강우-유출과 같은 수문학적인 해석에 레이더 강우를 활용함으로써 강우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고 또한 홍수예측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Y. H., B. S. Kim, and H. S. Kim, 2010. The study on flood runoff simulation using runoff model with gauge-adjusted radar data. Journal of the Korean Wetlands Society 12(1): 51-61 (in Korean). 

  2. Bedient, P. B., Hoblit, B. C., Gladwell, D. C., and Vieux, B. E., 2000. NEXRAD radar for flood prediction in Houston. Jou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5(3): 269-277. 

  3. Choi, K. H., K. Y. Han, S. H. Kim, and C. H. Lee, 2006. Development of a flood runoff and inundation analysis system associated with 2-D rainfall data generated using radar: III. 2-D flood inundation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4): 347-362 (in Korean). 

  4. Hellweger, F. L,. 1997. AGREE-DEM Surface Reconditioning System. University of Texas, http:// www.ce.utexas.edu/prof/maidment/gishydro/ferdi/resea rch/agree/agree.html. 

  5. Hunter S., Vieux B., Ogden, F., Niedzialek J., Downer, C., Addiego, J., Daraio, J., 2003. A test of two distributed hydrologic models with WSR-88D radar precipitation data input in Arizona. 31st Intl. Conf. on Radar Meteorology, 6-12 Aug. 2003, Seattle, Washington. 

  6. Jeon, B. K., C. K. Lee, and Y. S. Kim, 2012. Evaluation of rainfall measurement capability of dual polarization radar 12(2): 215-224 (in Korean). 

  7. Jinkang D, Shunping X, Youpeng X, Chong-yu X, Singh VP, 2007.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simple physically-based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for storm runoff simulation in humid forested basins. Journal of Hydrology 336: 334-346. 

  8. Johnson, D., Smith, M, Koren, V., and Finnerty, B. 1999. Comparing mean areal precipitation estimates from NEXRAD and rain gauge networks. Jou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117-124. 

  9. Jung I. K., and S. J. Kim. 2003. Comparison of DEM preprocessing method for efficient watershed and stream network ext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3(3D): 393-400 (in Korean). 

  10. Jung I. K., H. J. Shin, J. H. Park and S. J. Kim, 2008. A Modified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ModKIMSTORM) (II) - application and analysi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6B): 709-721 (in Korean). 

  11. Jung I. K., J. Y. Park, M. J. Park, H. J. Shin, H. K. Jung, and S. J. Kim, 2010. Application of a grid-based rainfall-runoff model using SRTM D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4): 157-169 (in Korean). 

  12. Jung I. K., M. S. Lee, J. Y. Park, and S. J. Kim, 2008. A Modified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ModKIMSTORM) (I) - theory and mode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6B): 697-707 (in Korean). 

  13. Kim Y. S., K. H. Jang, B. S. Kim, and H. S. Kim, 2011. Decision of GIS optimum grid on applying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with radar resolution. Journal of the Korean Wetlands Society 13(1): 105-116 (in Korean). 

  14. Kim, B. S., Y. H. Bae, J. S. Park, and K. T. Kim, 2008. Flood runoff simulation using radar rainfall an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in un-gauged basin; Imjin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3): 52-67 (in Korean). 

  15. Kim, S, J., 1998. Grid-Based KlneMatic Wave STOrmRunoff Model (KIMSTORM)(I) - theory and model -.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1(3): 303-308 (in Korean). 

  16. Kim, S. J., Y. S. Kwon, K. H. Lee, and H. S. Kim, 2010. Radar rainfall adjustment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runoff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0(2B): 159-167 (in Korean). 

  17. Kim, W. I., K. D. Oh, W. S. Ahn, and B. H. Jun, 2008. Study on flood prediction system based on radar rainfall data.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1(11): 1153-1162 (in Korean). 

  18. Noh, H. S., N. R. Kang, B. S. Kim and H. S. Kim, 2012. Flood simulation using Vflo and radar rainfall adjustment data by statistical objectiv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Wetlands Society 14(2): 243-254 (in Korean). 

  19. Park, J. H., B. S. Kang, and G. S. Lee, 2008. Application analysis of GIS based distributed model using radar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6(1): 23-32 (in Korean). 

  20. Smith, J. A., M. L. Baeck, K. L. Meierdiercks, A. J. Miller, and W. F. Krajewski, 2007. Radar rainfall estimation for flash flood forecasting in small urban watershed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30: 2087-2097. 

  21. Sun, S., R. G. Mein, T. D. Keenan, and J. F. Elliott, 2000. Flood Estimation using radar and raingage data. Journal of Hydrology 239: 4-18. 

  22. Winchell, M., H. V. Gupta, and S. Sorooshian, 1998. On the simulation of infiltration and saturation excess runoff using radar based estimations: Effects of algorithm uncertainty and pixel aggreg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34(10): 2655-26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