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능형 굴삭 로봇의 개발을 위한 로컬영역 3차원 모델링 센서 선정 및 현장 적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Applicability Analysis of 3D Terrain Modeling Sensor for Intelligent Excavation Robot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6, 2013년, pp.2551 - 2562  

유현석 (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 ,  권순욱 (성균관대학교 건축토목학부) ,  김영석 (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6년부터 국내에서는 운전자의 개입 없이 완전 자동화 방식으로 동작하는 지능형 굴삭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굴삭 로봇을 개발함에 있어 주변(로컬영역) 작업환경의 지형이나 이동 경로상의 장애물, 굴삭기에 접근하는 상차트럭 등의 객체를 정확하게 탐지하는 기술은 작업품질과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핵심기술이다. 선진 외국에서는 토공 자동화 장비의 로컬영역 3차원 모델링을 위하여 광대역 3D 레이저 스캐너나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와 같은 센서를 사용하여 주변 지형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센싱 시스템 구축에 지나치게 높은 비용이 소요되거나 모델링 결과에 노이즈가 다수 발생하여 모델링 속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지능형 굴삭 로봇의 로컬영역 3차원 모델링을 위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3차원 작업환경 모델링 센서의 기술 사양과 장단점을 분석하고, AHP 분석을 통하여 센서별 적용가능성을 분석한다. 또한 실제 토공사 작업현장의 현장실험을 통해 해당 센서의 3차원 모델링 품질과 정확성을 분석하고 지능형 굴삭 로봇의 로컬영역 3차원 모델링에 가장 적합한 센서 선정 및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2006, an Intelligent Excavation Robot which automatically performs the earth-work without operator has been developed in Korea. The technologies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terrain of work environment and detecting the objects such as obstacles or dump trucks are essential for its work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본 연구에서는 선행 개발된 완전 자동화 방식의 굴삭 로봇 개발현황 및 3차원 지형 모델링 센서 기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에서 개발된 CMU의 완전 자동화 굴삭기는 고가의 3D 레이저 스캐너 가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일본 PWRI의 완전 자동화 굴삭 로봇은 토공사 작업지형 1회 촬영마다 21초의 3D 모델링 연산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본 연구는 현재까지 개발된 3차원 작업환경 센싱 기술 분석을 통해 지능형 굴삭로봇의 3차원 지형 모델링에 적합한 센서를 선정하고 실제 토공사 작업환경의 3차원 모델링 현장실험을 통해 선정 센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로써,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개발된 완전 자동화 방식의 굴삭 로봇 개발현황 및 3차원 지형 모델링 센서 기술을 분석하고, 선행 개발된 기술의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로컬영역 3차원 모델링 센서 선정을 위한 고려요소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토공사 작업현장의 3차원 지형 모델링을 위하여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와 2D 레이저 센서의 3차원 지형 데이터를 획득하였으며, 각 센서의 로우(raw) 데이터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고 모델링 품질 측면과 모델링 정확성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먼저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를 이용하여 토공사 작업지형을 3차원 모델링한 결과, 실내의 인공 구조물을 대상으로 촬영한 모델링 결과보다는 비교적 우수하였으나, 전반적으로 크고 작은 노이즈가 발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선호지수 분석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산정된 2D 레이저 센서와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 센서 가운데 먼저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를 대상으로 실제 토공사 작업현장에서 최종 센서 선정을 위한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의 현장 실험은 수도권 소재 실제 토공현장에서 수행되었으며, 스테레오 비전 카메라를 굴삭기의 운전석 상단에 설치하고 수평선을 기준으로 30도 내려다보는 방향으로 설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조사된 4개의 대안(광대역 3D 레이저 스캐너(3DS), 2D 레이저 스캐너(2DS), 스테레오 비전(S.V), 레이저 방식 구조광(L.S)) 중 실시간 지반 3차원 모델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최적 대안을 찾기 위해 Table 4와 같이 각 고려요소별 세부 고려요소에 대하여 각 대안의 해당여부를 검토하였다. Table 5의 각 대안에 대한 선호지수(preference index)는 Table 3에서 도출한 고려요소별 가중치와 Table 4에서 도출한 요소기술별 세부 고려요소의 해당비율을 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굴삭로봇을 개발함에 있어 로컬영역 3차원 모델링 기술의 역할과 필요성을 분석하고, 토공사 작업환경의 3차원 지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능형 굴삭로봇에 응용될 수 있는 기술을 분석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개발된 3차원 작업환경 센서의 기술 사양과 장단점을 분석을 통해 지능형 굴삭로봇의 로컬영역 3차원 모델링에 적합한 센서를 선정하고, 현장실험을 통해 실제 토공사 작업환경을 3차원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선정 센서의 성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작업환경 모델링 센서는 추후 토공사 작업환경 관련 건설 자동화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적용범위가 매우 넓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의 범위는 지능형 굴삭로봇에서 사용되는 건설 자동화 장비를 개발함에 있어 주변 지형과 장애물을 정확하게 3차원으로 탐지하기 위한 센서를 선정하고, 현장실험을 통해 기술적 타당성 및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며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완전 자동화 방식의 지능형 굴삭 로봇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핵심 요소기술은 무엇인가? 완전 자동화 방식의 지능형 굴삭 로봇은 운전자의 개입 없이 자율 주행, 지형 3차원 모델링, 자동 굴삭, 트럭의 인식 및 상차 작업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독립적이고 지능적으로 수행하는 신개념의 굴삭 로봇을 의미한다. 이러한 완전 자동화 굴삭 로봇의 개발에 있어 굴삭기 주변 작업환경의 지형이나, 이동 경로상의 장애물, 굴삭기에 접근하는 상차 트럭 등의 굴삭로봇 주변 객체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기술은 작업 품질과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핵심 요소기술이라 할 수 있다. 미국, 일본 등의 선진 외국에서도 3D 레이저 센서나 스테레오 비전 등의 작업환경 인식 센서를 사용하여 토공사 작업환경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 왔으나, 고가의 시스템 구축비가 소요되거나 노이즈가 다수 발생하여 모델링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객체인식 기술은 무엇인가? 로컬영역 3차원 모델링 기술은 토공 자동화 장비의 주변에 존재하는 지형과 고정 또는 이동하는 물체의 형상정보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객체인식 기술은 지능형 굴삭 로봇의 전방위 영역의 3차원 모델을 상시 생성하여 지능형 굴삭 로봇에 접근하는 사람이나 상차트럭, 장애물 등의 정보를 탐지·인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로컬 영역 가운데 전방 작업영역의 지형은 굴삭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형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변화된 지형을 일정 주기로 3차원 모델링하여 그 결과를 원격 스테이션으로 전송함으로써 3차원 가상환경의 전체 지형을 갱신한다.
로컬영역 3차원 모델링 기술은 무엇인가? 로컬영역 3차원 모델링 기술은 토공 자동화 장비의 주변에 존재하는 지형과 고정 또는 이동하는 물체의 형상정보를 3차원으로 모델링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객체인식 기술은 지능형 굴삭 로봇의 전방위 영역의 3차원 모델을 상시 생성하여 지능형 굴삭 로봇에 접근하는 사람이나 상차트럭, 장애물 등의 정보를 탐지·인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annon, H. (1999). Extended earthmoving with an autonomous excavator, Masters Dissertation, Carnegie Mellon Robotics Institute, CMU-RI-TR-99-10, USA. 

  2. Kim, J. H. and Seo, J. W. (2011). "BIM based intelligent excavation system." Korean J. of BIM, KIBIM, Vol. 1, No. 1, pp. 1-5 (in Korean). 

  3. MOCT (2011). Statistics of specialty contractor constr-uction, Avaslable at: http://stat.mltm.go.kr/portal/cate/viewChk.do?hRsId 39, (Accessed: April 16, 2013) (in Korean). 

  4. Seo. J. W., Park, C. W. and Jang, D. S. (2007). "Development of intelligent excavating system - Introduction of research center." 2007 Proc. of KICEM, pp. 197-204 (in Korean). 

  5. Stentz, A., Bares, J., Singh, S. and Rowe, P. (1999). "A robotic excavator for autonomous truck loading." Autonomous Robots, Kluwer Academic Publishers, Vol. 7, No. 2, pp. 175-186. 

  6. Yamamoto, H., Uesaka, K., Ishimaisu, Y., Yamaguchi, T., Aritomi, K. and Tanaka, Y. (2006b). "Introduction to the general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dvanced execution technology by remote control robot and information technology." 2006 Proc. of ISARC, pp. 24-29. 

  7. Yamamoto, H., Ishimatsu, Y., Ageishi, S., Ikeda, N., Endo, K., Masuda, M., Uchida, M. and Yamaguchi, H. (2006a). "Example of experimental use of 3D measur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robot based on component design concept." 2006 Proc. of ISARC, pp. 252-257. 

  8. Yamamoto, H., Moteki, M., Shao, H., Ootuki, T., Kanazawa, H. and Tanaka, Y. (2009). "Basic technology toward autonomous hydraulic excavator." 2009 Proc. of ISARC, pp. 288-295. 

  9. Yoo, H. S., Kim, Y. S. and Han, S. W. (2009). "Development of the noise elimination algorithm of stereo-vision images for 3D terrain modeling." Korean J. of Cons. Eng. and Mgmt., KICEM, Vol. 10, No. 2, pp. 145-154 (in Korean). 

  10. Yu, B. I., Yoo, H. S., Kim, Y. S., Seo, J. W. and Han, S. W. (2009). "Applic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ies to 3D local terrain modeling in real-time for intelligent excavating system (IES)." 2009 Proc. of ISARC, pp. 357-3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