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매방 살풀이춤[중요무형문화재 제 97호] 복식 연구
A Study on the Yi Mae-Bang's Salpurichum Costume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3 no.7, 2013년, pp.31 - 48  

정예희 (난사전통복식문화재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Yi Mae-Bang, as the sole owner of two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cluding No. 27 Seungmu in 1987 and No. 97 Salpuri Chum, is a top-notch Korean traditional dancer. Moreover, in regards to traditional clothing, he is also known as the only traditional dancer who d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용의 기원설에는 무엇이 있는가? 무용의 기원에 관해서는, 인간의 감정이 인간의 신체적 조건과 기능에 따라 기쁨과 슬픔, 그리고 성냄의 감정이 인간의 신체적 운동으로 표현되고 반복되어 리드미컬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본능설에서부터, 최초의 인류가 본능적인 리듬을 동물의 움직임에서 모방하여 점점 무용의 동작과 관련된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것이 발전되었다는 모방설, 혹은 원시 종교적 제의에서 비롯되어 순수한 예술이 되었다고 설명되고 있는 종교 기원설 등이 있다.1) 이렇게 본능적으로 그리고 모방에 의해 또는 종교적 동기에서 비롯된 무용은 인간의 역사 속에서 그 시대를 반영하며 한 시대의 특수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발전되어 왔다.
이매방은 한국 전통춤에서 어떤 사람인가? 이매방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중요무형문화재 제 27호 승무와(1987년) 제 97호 살풀이춤(1990년) 2종목의 무형문화재 보유자로서 자타가 공인하는 한국 전통춤의 일인자라고 할 수 있다. 그뿐 아니라 전통 복식과 관련하여서는 무대에서 춤을 직접 연행하는 무용인으로서 전통 복식을 분석하고 이를 자신의 춤사위에 부합되는 무용 의상에 투영하여 직접 디자인하고 제작하여 자신의 예술정신에 맞게 발전시켜 오고 있는 유일한 전통적 춤꾼이기도 하다.
이매방류 민속춤의 복식의 구성과 구도의 변화 파악을 위해서는 이수자들의 의상보다는 이매방 본인이 직접 입고 공연했던 의상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런데 이매방류 민속춤의 복식의 구성과 구도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수자들의 의상보다는 이매방 본인이 직접 입고 공연했던 본인 자신의 의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아야만 한다. 왜냐하면 이매방은 춤의 직접적 연행자 이면서 의상을 직접 디자인하여 만들었는데, 움직임에 방해되는 것을 끊임없이 연구하여 개선시키고여러 번의 수정을 통하여 자신만의 디자인을 완성 시켜가면서 직접 착장하였기 때문이다.3) 따라서 이수자들의 의상은 이매방 본인의 의상 착장 시점보다 시간적으로 뒤에 이루어지게 마련이고 구성과 구도의 변화 또한 시간적으로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은 물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경희, 이순홍 (1999), 무용 예술 의상에 관한 연구, 무용, 47, p. 126. 

  2. 김지원 (2008), 이매방류 민속춤에 표현된 복식의 조형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송수남 (1989), 한국무용사, 서울: 금광, p. 291. 

  4.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서울: 신유문화사, pp. 46-47. 

  5. 김영희 (2006), 2005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67 이매방,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p. 235-236. 

  6. 김문애 (1996), 3인의 살풀이춤 탐구, 서울: 홍경, p. 23. 

  7. 이미영 (2007), 한국 춤 연구, 서울: 민속원, p. 226. 

  8. 김영희 (2006), 2005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67 이매방,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p. 142-143. 

  9. 김영희 (2006), 2005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67 이매방,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 263. 

  10. 정승희 (2007), 한성준 - 한영숙류 전통춤: 살풀이춤, 서울: 민속원, 부록. 

  11. 양길순 (2006), 구술로 본 김숙자 연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2. 

  12. 곽은경 (2004), 김숙자 도살풀이춤의 무대화 전이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오혜경 (2006), 조선시대 무동복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14.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2005), 명선 하, p. 124. 

  15.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편(2005), 명선 하, p. 121. 

  16. 경기도박물관 편 (2007),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p. 17. 

  17. 김영희 (2006), 2005년도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67 이매방,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 143. 

  18.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 60. 

  19. 조효순 (1989), 한국복식풍속사 연구, 서울: 일지사, pp. 349-350. 

  20. "조선왕조실록: 영조 39년 3월 8일" 자료검색일: 2012년 12월 5일,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Tree0&idkua 

  21. "조선왕조실록: 영조 43년 6월 27일" 자료검색일: 2012년 12월 5일,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ection.jsp?mTree0&idkua 

  22. 박경자 (1983), 한국복식논고, 서울: 신구문화사, p. 164. 

  23. 박성실 (1996), 조선조 치마 재고-16세기 출토 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30, p. 295. 

  24. 박성실 (2006), 출토복식을 통해보는 조선시대 여성복식의 시대별 특징, 한국의 복식 문화사, 서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139. 

  25. 고부자, 우리나라 혼례복의 민속학적 연구 남한을 중심으로. 한국복식, 7, p. 102. 

  26. 박경자 (1983), 한국복식논고, 서울: 신구문화사, p. 151. 

  27. 국립민속박물관 (2009), 엽서속의 기생읽기, p. 151. 

  28. 국립민속박물관 (2009), 엽서속의 기생읽기, p. 149. 

  29. 권혁희 (2005),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 서울: 민음사, p. 245. 

  30. 박수영 (1995), 한영숙류 살풀이춤과 이매방류 살풀이춤의 비교 연구, 조선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명선 하, p. 40. 

  32.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명선 하, p. 41. 

  33. 홍나영 (2006),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여성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3집, p. 87. 

  34. 장인숙 (1994), 무용의상의 역사적 변천과 특이성에 관한 연구 : 한국 무용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5. 

  35. 이은영 (1986), 복식 의장학, 서울: 교문각, p. 162. 

  36.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2006), 다시 태어난 우리옷 환생, p. 13. 

  37. 박경자 (1983), 한국복식논고, 서울: 신구문화사, pp. 37-38. 

  38.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 16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