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Sb_3$ with it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Seebeck coefficient and rather low thermal conductivity is quite a promising material for thermoelectric conversion applications. A potentially high figure of merit (ZT) can be achieved by a nanostructure evolution of thermoelectric mater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또한 포정반응 특성상 CoSb3의 느린 상 변태 거동으로 인하여 단일상을 갖기 힘들고 단상의 CoSb3를 합성한다 해도 균일한 사이즈의 나노분말을 합성하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2-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 합성법에 quantum dot 합성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hot injection15-17) 방법을 도입하여 핵 생성 과정과 입장성장 과정을 분리 제어하여 단일상의 CoSb3 나노 분말을 합성하였다.
  • CoSb3의 합성을 위하여 CoOl, SbOl 두 metal oleate를 사용하였고 1-octadecene(C18H36, Sigma Aldrich)을 용매로 하여 250 ml의 3구 플라스크에 CoOl와 SbOl를 각각1 : 3 mol의 비율로 넣고 2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잔류할 수 있는 불순물을 제거한 뒤 반응 온도인 320℃까지 승온시켜 10분간 합성 한 후 공냉하였다.
  • Hot injection 방법이 도입된 열분해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300℃-10 min 조건 하에서 결정성이 우수한 26.5 nm의 CoSb3 나노분말을 합성하였으며 합성온도에 따른 합성분말의 입도변화와 결정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는 열 분석 결과 서로 열분해 온도가 다른 Precursor을 이용하여 합성함에 있어 hot injection법을 도입 다수의 metal ion이 동시에 핵 형성에 참여 함으로서 균일한 입도와 단일상을 가진 CoSb3가 합성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 Precursor로 사용된 CoOl와 SbOl는 열분해 거동을 확인 하여 합성조건을 선정하기 위하여 TG-DTA(DTG-60H, Shimadzu, Japan)를 분석 하였고, 합성된 CoSb3 나노분말의 결정상 분석을 위하여 XRD(X-Ray Diffraction, Rigaku, Japan)를 사용하였다. 또한 분말의 입도 및 형상 분석을 위하여 FE-SEM(JSM-6700F, Jeol, Japan)을 분석하였다.
  • 이는 Sb+3에 충분히 결합된 3개의 carboxylic acid (RCOO− )가 상대적으로 안정한 결합상태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때문에 CoSb3의 합성에서 SbOl은 1 : 3 mol%조성을 활용하여 합성에 사용하였고 hot injection법에서 non-coordination solvent로 사용된 1-octadecene의 끓는점이 315℃이며 1 : 3 mol%의 SbOl의 최종 분해온도가 309℃ 인 것을 감안하여 Co와 Sb의 반응을 통해 CoSb3가 충분히 합성될 수 있도록 hot injection 온도를 320℃로 설정하였다. 상기 실험결과(Fig.
  • 나노분말의 결정상 분석을 위하여 XRD(X-Ray Diffraction, Rigaku, Japan)를 사용하였다. 또한 분말의 입도 및 형상 분석을 위하여 FE-SEM(JSM-6700F, Jeol, Japan)을 분석하였다. 합성된 CoSb3 분말의 입도는 linear intercept(ASTM E112-96) 법을 이용하였고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1,000개 이상의 결정립의 크기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 때문에 CoSb3의 합성에서 SbOl은 1 : 3 mol%조성을 활용하여 합성에 사용하였고 hot injection법에서 non-coordination solvent로 사용된 1-octadecene의 끓는점이 315℃이며 1 : 3 mol%의 SbOl의 최종 분해온도가 309℃ 인 것을 감안하여 Co와 Sb의 반응을 통해 CoSb3가 충분히 합성될 수 있도록 hot injection 온도를 320℃로 설정하였다. 상기 실험결과(Fig. 2)를 토대로 hot injection 방법을 사용하여 SbOl의 주입온도를 320℃로 고정하고 합성온도를 250, 300, 320℃로 하여 10분간 합성하였다.
  • Hot injection법은 고온의 용매에 용질을 빠르게 주입하는 방법으로 본 실험 에서는 320℃로 가열된 CoOl과 1- octadecene에 상온의 SbOl를 주입하고 250, 300, 320℃에서10분간 유지 후 공냉하였다. 합성이 완료된 CoSb3는 용매를 충분히 제거하기 위하여 원심분리기에서 세척액(hexane, acetone, ethanol)을 이용하여 3~5회 진행하였다(Fig. 1).

대상 데이터

  • 합성을 위한 출발원료로는 hexammine cobalt(III) chloride([Co(NH3)6]Cl3, Sigma Aldrich)와 antimony(III) chlo- ride(SbCl3, Junsei)을 사용하였고 surfactant로는 oleic acid (C17H33COOH, Samchun)와 Na-oleate(C18H33NaO2, Junsei)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cobalt precursor는 cobalt oleate(C54H99CoO6, 이하 CoOl으로 표현함)의 형태로 수용액과 오일의 계면에서 이온 교환반응에 의하여 나타나는 생성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비교적 간편하고 독성이 없는 합성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론/모형

  • 또한 분말의 입도 및 형상 분석을 위하여 FE-SEM(JSM-6700F, Jeol, Japan)을 분석하였다. 합성된 CoSb3 분말의 입도는 linear intercept(ASTM E112-96) 법을 이용하였고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1,000개 이상의 결정립의 크기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전소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skutterudite 구조를 갖는 CoSb3가 주목받는 이유는? 열전소재는 저온에서 고온까지 다양한 온도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중 고온 영역 (약 600 ~ 900 K)의 경우 Pb-Te계 소재에 대한 많은 연구와 검토가 이루어져 왔지만 Pb 사용에 따른 환경적인 문제로 인하여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skutterudite 구조를 갖는 CoSb3가 매우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는 CoSb3가 중 고온 영역에서 안정적이면서도 우수한 열전성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핑원소에 따라 n형과 p형의 열전반도체 제조가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이다.1-5)
열전소자란? 열전소자는 전기냉각 및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 최근에 환경문제와 석유자원의 고갈과 맞물리면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열전소재는 저온에서 고온까지 다양한 온도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중 고온 영역 (약 600 ~ 900 K)의 경우 Pb-Te계 소재에 대한 많은 연구와 검토가 이루어져 왔지만 Pb 사용에 따른 환경적인 문제로 인하여 제약이 따른다.
CoSb3의 합성방법은? 이러한 CoSb3를 열전소재로 활용함에 있어 나노사이즈의 분말은 열전성능지수(ZT)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7) CoSb3의 합성방법으로는 결정성장법, 용해법, 분말야금법, 방전소결법, 복합제조법 등8-11)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보고에 따르면 단상의 δ-CoSb3의 합성은 복잡한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고, 특히 이들 공정에서 γ-CoSb2상의 출현 및 고온에서의 antimony의 증발이 문제시 되고 있다. 또한 포정반응 특성상 CoSb3의 느린 상 변태 거동으로 인하여 단일상을 갖기 힘들고 단상의 CoSb3를 합성한다 해도 균일한 사이즈의 나노분말을 합성하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 C. Sales, D. Mandrus, and R. K. Williams, "Filled Skutterudite Antimonides: A New Class of Thermoelectric Materials," Science, 272 [5266] 1325-25 (1999). 

  2. G. S. Nolas, J. L. Cohn, and G. A. Slack, "Effect of Partial Void Filling on the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of Skutterudites," Phys. Rev. B, 58 [1] 164-70 (1998). 

  3. X. F. Tang, L. M. Zhang, R. Z. Yuan, L. D. Chen, T. Goto, T. Hirai, W. Chen, and C. Uher, "High Temperature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n-type $BayNi_xCO4_{-x}Sb_{12}$ ," J. Mater. Res., 16 [12] 3343-46 (2001). 

  4. M. Puyet, B. Lenoir, A. Dauscher, M. Dehmas, C. Stiewe, and E. Muller, "High Temperature Transport Properties of Partially Filled $Ca_xCO_4Sb_{12}$ Skutterudites," J. Appl. Phys., 95 [9] 4852-55 (2004). 

  5. K. H. Kim, J. S. Park, and J. P. Ahn, "Joining and Properities of Electrode for $CoSb_3$ Thermoelectric Materials Prepared by a Spark Plasma Sintering Method," J. Kor. Crystal Growth Tech., 20 [1] 30-34 (2010). 

  6. R. J. Buist, "CRC Handbook of Thermoelectrics," pp. 143-155, Ed. by D. M. Rowe, CRC Press, New York, 2005. 

  7. M. S. Toprak, C. Stiewe, D. Platzek, S. Williams, L. Bertini, E. Mller, C. Gatti, Y. Zhang, M. Rowe, and M. Muhammed, "The Impact of Nanostructuring o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rmoelectric $CoSb_3$ ," Adv. Funct. Mater., 14 [12] 1189-96 (2004). 

  8. M. J. Kim, H. M. Choi, S. C. Ur, and I. H. Kim,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Co_{1-x}Ni_xSb_3$ Prepared by Encapsulated Induction Melting," Kor. J. Mater. Res., 16 [6] 377-81 (2006). 

  9. T. Caillat, A. Borschchevsky, and J. P. Fleurial, "Properties of Single Crystalline Semiconducting $CoSb_3$ ," J. Appl. Phys., 80 [8] 4442-49 (1996). 

  10. Y. Kawaharada, K. Kurosaki, M. Uno, and S. Yamanaka,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CoSb_3$ ," J. Alloys Compd., 315 [1-2] 193-97 (2001). 

  11. J. X. Zhang, Q. M. Lu, K. G. Liu, L. Zhang, and M. L. Zhou, "Synthesis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CoSb_3$ Compounds by Spark Plasma Sintering," Mater. Lett., 58 [14] 1981-84 (2004). 

  12. J. W. Sharp, E. C. Jones, R. K. Williams, P. M. Martin, and B. C. Sales,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CoSb_3$ and Related Alloys," J. Appl. Phys., 78 [2] 1013-18 (1995). 

  13. J. Yang, Y. C. Chen, J. Peng, X. Song, W. Zhu, J. Su, and R. Chen, "Synthesis of $CoSb_3$ Skutterudite by Mechanical Alloying," J. Alloys Compd., 375 [1-2] 229-32 (2004). 

  14. S. C. Ur, I. H. Kim, and P. Nash, "Solid-State Syntheses and Properties of $Zn_4Sb_3$ Thermoelectric Materials," J. Alloys Compd., 361 [1-2] 84-91 (2003). 

  15. S. G. Kwon and T. Hyeon, "Colloidal Chemical Synthesis and Formation Kinetics of Uniformly Sized Nanocrystals of Metals, Oxides, and Chalcogenides," Acc. Chem. Res., 41 [12] 1696-709 (2008). 

  16. C. M. Donega, P. Liljeroth, and D. Vanmaekelbergh, "Physicochemical Evaluation of the Hot-Injection Method, a Synthesis Route for Monodisperse Nanocrystals," Small, 12 [1] 1152-62 (2005). 

  17. S. G. Kwon, Y. Piao, J. Park, S. Angappane, Y. Jo, Nong-Moon Hwang, Je-Geun Park, and Taeghwan, "Kinetics of Monodisperse Iron Oxide Nanocrystal Formation by 'Heating-Up' Process," J. Am. Chem. Soc., 129 [41] 12571-84 (2007). 

  18. J. Park, K. J. An, Y. S. Hwang, J. G. Park, H. J. Noh, J. Y. Kim, J. H. Park, N. M. Hwang, and T. Hyeon, "Ultra-Large-Scale Syntheses of Monodisperse Nanocrystals," Nat. Mater., 3 [12] 891-95 (2004). 

  19. P. Mousaw, K. Saranteas, and B. Prytko, "Crystallization Improvements of A Diastereomeric Kinetic Resolution through Understanding of Secondary Nucleation," Am. Chem. Soc., 12 [2] 243-48 (2008). 

  20. L. M. Bronstein, X. Huang, J. Retrum, A. Schmucker, M. Pink, B. D. Stein, and B. Dragnea, "Influence of Iron Oleate Complex Structure on Iron Oxide Nanoparticle Formation," Chem. Mater., 19 [15] 3624-3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