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 유산균 Starter를 이용한 김치의 발효 특성 및 기능성 증진 효과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1, 2013년, pp.1717 - 1726  

봉연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지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김치 유산균 starter의 사용이 김치의 품질특성과 건강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single starter 김치(Lb. plantarum pnuK, Lb. plantarum 3099K, Leu. mesenteroides pnuK), mixed starter 김치(Lb. plantarum pnu/Leu. mesenteroides pnuK, Lb. plantarum 3099/Leu. mesenteroides pnuK), 자연 발효 김치(NK)를 제조하여 $15^{\circ}C$에서 6일간 발효하며 실험하였다. pH 및 산도는 발효 초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발효 2일부터 starter 접종 김치에서 빠른 변화를 보였다. 총호기성 세균과 Lactobacillus sp.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비슷하게 증가하였으나 Leuconostoc sp.는 Leu. mesenteroides를 starter로 접종한 김치에서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starter를 첨가한 김치에서 관능적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 starter 김치에서 만족도가 더 높았다. DPPH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starter를 첨가한 김치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MTT assay 결과, HCT-116 및 HT-29 세포에서 NK는 각각 63.4, 51.9%를 나타내었고 Lb. plantarum pnuK는 각각 77.1, 68.8%의 암세포 성장 저해율을 보였다. 따라서 starter 첨가 시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증가되며, 단일 starter 김치가 혼합 starter 김치보다 높은 기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새로 분리 동정된 Lb. plantarum pnu를 이용한 김치에서의 높은 대장암 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Apoptosis 유도에 관련된 Bcl-2Bax, 종양 억제에 관련된 p53p21, 염증에 관련된 iNOSCOX-2 유전자 발현은 starter 첨가 김치에서 자연발효 김치보다 모두 apoptosis 유도 작용과 염증 및 종양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가장 높은 효과를 보인 것은 Lb. plantarum pnuK이었으며 단일 starter 김치에서 혼합 starter 김치보다 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starter를 이용해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고 기능성이 증진된 김치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health functionalities of kimchi by inoculating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B) starters were studied. We manufactured single LAB starter kimchi (Lactobacillus plantarum pnuK, Lactobacillus plantarum 3099K, Leuconostoc mesenteroides pnuK), mixed LAB starter kimch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김치 유산균 starter의 사용이 김치의 품질 특성과 건강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single starter 김치(Lb. plantarum pnuK, Lb. plantarum 3099K, Leu. mesenteroides pnuK), mixed starter 김치(Lb. plantarum pnu/Leu. mesenteroides pnuK, Lb. plantarum 3099/Leu. mesenteroides pnuK), 자연 발효 김치(NK)를 제조하여 15℃에서 6일간 발효하며 실험하였다. pH 및 산도는 발효 초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발효 2일부터 starter 접종 김치에서 빠른 변화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유산균종을 김치 starter로 선발하여 품질 및 건강기능성이 향상된 김치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김치 유래 유산균으로 기능적 우수성이 알려진 Lactobacillus plantarum(KCTC 3099)과 본 연구실에서 분리 동정한 Lactobacillus plantarum(KCCM 11352P), Leuconostoc mesenteroides(KCCM 11353P) 총 3종을 선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 발효에 참여하는 유산균은? 김치는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Leuconostoc 속, Lactobacillus 속, Streptococcus 속, Pediococcus 속, Weissella 속 등의 유산균을 비롯한 여러 미생물들에 의해 발효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을 통해 특유의 맛과 향미를 갖게 된다(1). 김치 발효 과정의 초기에 나타나는 유산균은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우세균종으로 김치 내용물을 산성화하여 혐기 상태로 유지하며 호기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나 그 이후에는 Lactobacillus plantarum 균종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김치 발효 과정 초기에 나타나는 유산균들의 건강기능성은? 김치 발효 과정의 초기에 나타나는 유산균은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우세균종으로 김치 내용물을 산성화하여 혐기 상태로 유지하며 호기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나 그 이후에는 Lactobacillus plantarum 균종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들 유산균은 발효과정에 관여할 뿐 아니라, 혈장 지질 저하 효과 및 간 기능 보호 작용(3), 정장작용(4), 면역기능 강화(5,6), 항돌연변이 효과(6), 항산화활성(7), 항암작용(6,8,9) 등의 다양한 건강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도 보고되어 있다.
김치 발효 과정 초기에 나타나는 유산균은? 김치는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Leuconostoc 속, Lactobacillus 속, Streptococcus 속, Pediococcus 속, Weissella 속 등의 유산균을 비롯한 여러 미생물들에 의해 발효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을 통해 특유의 맛과 향미를 갖게 된다(1). 김치 발효 과정의 초기에 나타나는 유산균은 Leuconostoc mesenteroides가 우세균종으로 김치 내용물을 산성화하여 혐기 상태로 유지하며 호기성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나 그 이후에는 Lactobacillus plantarum 균종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들 유산균은 발효과정에 관여할 뿐 아니라, 혈장 지질 저하 효과 및 간 기능 보호 작용(3), 정장작용(4), 면역기능 강화(5,6), 항돌연변이 효과(6), 항산화활성(7), 항암작용(6,8,9) 등의 다양한 건강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도 보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 Crit Rev Food Sci Nutr 34: 175-203. 

  2.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3. Kwon JY, Cheigh HS, Song YO. 2004.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powder in rats fed high fat di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014-1019. 

  4. Lee KE, Choi UH, Ji GE. 1996. Effect of kimchi intake on the composition of human large intestinal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81-986. 

  5. Chae OH, Shin KS, Chung HW, Choe TB. 1998. Immunostimulation effects of mice fed with cell lysate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Biotechnol Bioeng 13: 424-430. 

  6. Park KY, Kim BK. 2012. Lactic acid bacteria in vegetable fermentations. In Lactic acid bacteria: Microbi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Lathinen S, Ouwehand A, Salminen S, Wright A, ed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195-202. 

  7. Kim HS, Ham JS. 2003.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186-192. 

  8. Shin KS, Chae OH, Park IC, Hong SI, Choe TB. 1998. Antitumor effects of mice fed with cell lysate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Biotechnol Bioeng 13: 357-363. 

  9. Park KY, Kim SH, Son TJ. 1998. Antimutagenic activities of cell wall and cytosol fra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Food Sci Nutr 3: 329-333. 

  10. Chang JY, Chang HC. 2010. Improvements in the quality and shelf life of kimchi by fermentation with the induced bacteriocin-producing strain, Leuconostoc citreum GJ7 as a starter. J Food Sci 75: 103-108. 

  11. Han GJ, Choi HS, Lee SM, Lee EJ, Park SE, Park KY. 2011. Addition of starters in pasteurized brined baechu cabbage increased kimchi quality and health function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0-115. 

  12. Jin HS, Kim JB, Yun YJ, Lee KJ. 2008. Selection of kimchi starters based on the microbial composition of kimchi and their effe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71-675. 

  13. Lee JM, Hwang KT, Heo MS, Lee JH, Park KY. 2005. Resistance of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099 from kimchi to oxidative stress. J Med Food 8: 299-304. 

  14. Kim ER, Jung BM, Kim JY, Kim SY, Jung HK, Lee HJ, Chun HN. 2003. Basic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ifidobacterium infantis Maeil-K9 and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099 selected by anticarcinogenic activiti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1: 348-354. 

  15. Kil JH. 2004. Studies on development of cancer preventive and anticancer kimchi and its anticancer mechanism. PhD Disse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6.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ry, Washington, DC, USA. p 79. 

  17. Lee CW, Ko CY, Ha DM.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18. Jung JK, Park SE, Lee SM, Choi HS, Kim SH, Park KY. 2011. Quality changes of brined baechu cabbage prepared with low temperature stored baechu cabb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5-479. 

  19. Ha JH. 2002.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kimchi absorbed in SPME by GC-AED and GC-MS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543-545. 

  20. Song JL. 2012. Anticancer effects of fermented sesame sauce.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2. Halliwell B, Gutteridge JM, Aruoma OI. 1987. The deoxyribose method: a simple "test-tube" assay for determination of rate constants for reactions of hydroxyl radicals. Anal Biochem 165: 215-219. 

  23. So MH, Shin MY, Kim YB. 1996. Effects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l starter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806-816. 

  24. Rhee HS, Lee CH, Lee GJ. 1987.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during salting. Korean J Soc Food Sci 3: 64-70. 

  25. Kim YH, Kim HJ, Kim JY, Choi TB, Kang SM. 2005. Strain improvemen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s a acid-resistant mutant and effect of Kimchi fermentation as a starter. Kor J Microbiol Biotechnol 33: 41-50. 

  26. Ancerewicz J, Migliavacca E, Carrupt PA, Testa B, Bree F, Zini R, Tillement JP, Labidalle S, Guyot D, Chauvet-Monges AM, Crevat A, Le Ridant A. 1998.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of trimetazidine derivatives and model compounds as potential antioxidants. Free Radic Bio Med 25: 113-120. 

  27. Emerit J, Beaumount C, Trivin F. 2001. Iron metabolism, free radicals, and oxidative injury. Biomed Pharmacother 55: 333-339. 

  28. Reed JC. 1994. Bcl-2 and the regulation of programmed cell death. J Cell Biol 124: 1-6. 

  29. Nam MK, Kang KJ. 2013. The effect of red cabbage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f. rubra) extract on the apoptosis in huma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8-16. 

  30. Park JK, Kim YC. 2012. Pro-apoptotic effects of Sanguisorbae Radix ethanol-extracts on two cholangiocarcinoma cell lines, SNU-1079 and SNU-1196. Korean J Orient Int Med 33: 465-475. 

  31. Kim DH, Kwang EY, Son JH. 2013.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rthamus tinctorious seed extracts in Raw 264.7 cells. J Life Sci 23: 55-62. 

  32. Kim TH, Ko SS, Park C, Park SE, Hong SH, Kim BW, Choi YH. 2010. Anti-inflammatiry effects of Nerium indicum ethanol extracts through suppression of NF-kappaB activation. J Life Sci 20: 1221-1229. 

  33. Zhang Y, Kensler TW, Cho CG, Posner GH, Talalay P. 1994.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sulforaphane and structurally related synthetic norbornyl isothiocyanates. Proc Natl Acad Sci U S A 91: 3147-3150. 

  34. Hwang ES, Hong EY, Kim GH. 2012. Determinati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cancer effect from extracts of Korean cabbage and cabbage. Korean J Food & Nutr 25:259-265. 

  35. Jin JY, Cho KK, Choi IS. 2013. Effects of butyrate on colorectal cancer. J Life Sci 23: 143-1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