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압처리가 발아벼의 항산화 성분과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Pressure Treatment on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y of Germinated Rough Rice (Oryza sativa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1, 2013년, pp.1783 - 1791  

김민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상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장귀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혜진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신제 ((주)에프엔피) ,  이연리 (대전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항산화 활성을 조사함으로써 발아벼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고압처리공정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발아기간은 6일까지로 하였고, 기간별로 발아된 벼는 30 MPa의 압력 하에서 24시간 및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48시간 고압처리를 실시한 6일차 발아벼가 5.15 mg/g으로 고압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6일차 발아벼의 1.11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15종의 페놀산gallic acid 외 6종의 페놀산과 총 페놀산함량이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DPPH 라디칼 소거능은 대조구의 경우 발아 4일차에서 최대 값을 나타내었으며, 고압처리 24시간 처리구와 48시간 처리구 모두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환원력과 이온킬레이팅 효과는 총 폴리페놀, 페놀산 함량과 유사하게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발아와 가압을 병행처리 하였을 때 일반벼 및 발아벼에 비해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발아벼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압처리공정의 적용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nhancement of antioxidant compound and activity of rough rice with different germination periods and high pressure treatment. The subject was germinated at $37^{\circ}C$ for 6 days (HP0), and then the germinated rough rice were subjected to 30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벼를 발아시킨 후 30 MPa의 압력 하에서 24시간 및 48시간 동안 고압처리를 실시하고, 발아 일수와 고압처리시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발아벼의 기능성증대에 미치는 고압 처리공정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발아기간 및 고압처리 시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함으로써 발아벼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고압처리공정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발아기간은 6일까지로 하였고, 기간별로 발아된 벼는 30 MPa의 압력 하에서 24시간 및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 종자의 씨눈 부분이 발아할 때 나타나는 변화는? 식물 종자가 발아하면 씨눈과 배젖에 있는 비활성상태의 DNA 유전정보가 활성화가 되고 각종 효소의 활성 및 영양소가 증가하여 최대의 영양상태가 갖추어지게 된다(6). 씨눈 부분이 발아되면서 단백질과 아미노산, 지방산,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등이 변화하며, γ-oryzanol이나 arabinoxylan, GABA 및 vitamin E 등의 생리활성 성분들도 증가하고 발아 중에 효소가 활성화됨으로써 영양성분들의 체내 흡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따라서 조조, 기장, 수수(8), 메밀(9), 들깨(10), 대두(11) 등의 다양한 종자에 대한 발아에 따른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벼 전곡을 발아시킨 연구는 발아기간에 따른 벼의 화학성분 변화(12), 발아기간과 부위에 따른 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변화(13) 그리고 한국산 발아 벼 추출물의 여러 가지 암세포 주의 증식억제(14)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왕겨 및 미강의 외피에 함유된 항산화력이 우수한 물질은 무엇인가? 벼는 현미 80%, 왕겨 20%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미는 과피, 종피 및 호분층으로 구성된 미강과 배아 및 배유로 이루어져 있다(3). 그 중 왕겨 및 미강은 외피의 주요성분인 식이섬유가 대부분이며, 최근 연구에서는 항산화효과, 혈중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혈압상승 억제효과가 우수하고(4), 특히 항산화력이 우수한 tocopherol, phytic acid, phenolic acid, γ-oryzanol, GABA 및 feru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보고되었다(5).
발아 벼의 고압처리시간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관찰한 결과, 발아와 가압처리를 병행하였을 때 총 폴리페놀함량이 증가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또한 돼지감자를 고압처리할 경우 열수추출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나며, 고압처리공정은 항산화 성분의 추출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공정이라고 제시하고 있다(24). 일반적으로 곡류를 발아시키면 가수분해효소의 활성화에 따라 6'-O-feruloyl sucrose, 6'-O-sinapoyl sucrose, ferulic acid 및 sinapinic acid와 같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3), 본 연구결과 발아와 가압처리를 병행하였을 때 세포벽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추출 시 6'-O-feruloyl sucrose, 6'- O-sinapoyl sucrose, ferulic acid 및 sinapinic acid와 같은 페놀성화합물의 용출이 용이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Lim CS, Li CY, Kim YM, Lee WY, Rhee HI. 2005. The inhibitory effect of Cornus walteri extract against $\alpha$ -amylas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03-108. 

  2. Kang MY, Lee YR, Nam SH. 2003. Characterization of the germinated rices to examine an application potentials as functional rice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96-701. 

  3. Kim LS, Son YK, Son JR, Hur HS. 2001.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46:221-228. 

  4. Saunder RM. 1990. The properties of rice bran as a food stuff. CFW 35: 632-636. 

  5. Andreason MF, Christensen LP, Meyer AS, Hansen A. 1999. Release of hydroxycinnamic and hydroxybenzoic acids in rye by commercial plant cell wall degrading enzyme preparations. J Sci Food Agric 79: 411-413. 

  6. Bartnick M, Szafranska I. 1987. Changes in phytate content and phytase activity during the germination of some cereals. J Cereal Sci 5: 23-28. 

  7. Lee YR, Kim JY, Woo KS, Hwang IG, Kim KH, Kim KJ, Kim JH, Jeong HS. 2007.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ood Sci Biotechnol 16: 1006-1010. 

  8.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Seo MC, Oh BG, Kwak DY, Nam MH, Jeong HS, Woo KS. 2011.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germin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28-1135. 

  9. Lee EH, Kim CJ. 2008. Nutritional change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Culture 23: 121-129. 

  10. Ghung DS, Kim HK. 1998. Changes of protein and lipid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Perilla frutescens seeds. Korean J Life Science 8: 318-325. 

  11. Kim JS, Kim JG, Kim WJ. 2004. Changes in isoflavone and oligosaccharides of soybeans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94-298. 

  12. Kim HY, Hwang IG, Kim TM, Park DS, Kim JK, Kim DJ, Lee YR, Lee JS, Jeong HS. 2011.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according to germination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265-1270. 

  13. Kim HY, Hwang IG, Kim TM, Park DS, Kim JH, Kim DJ, Lee JS, Jeong HS. 2011.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inhibitory activity on different parts of germinated rough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775-780. 

  14. Kim HY, Hwang IG, Joung EM, Kim TM, Kim DJ, Park DS, JS Lee, Jeong HS. 2010.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germinated-Korean rough rice extract o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25-330. 

  15. Kwon SM, Kim CM, Kim YH. 2007.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stant rice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Food Science and Industry 40(3): 31-35. 

  16. San Martin MF, Barbosa-Canovas GV, Swanson BG. 2002. Food processing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Crit Rev Food Sci Nutr 42: 627-645. 

  17. Kim SO, Park CW, Moom S, Lee HA, Kim B, Lee DU, Lee JH, Park J. 2007. Effects of high-hydrostatic pressure on ginsenoside concentrations in Korean red ginseng. Food Sci Biotechnol 16: 848-853. 

  18. Corrales M, Toepfl S, Butz P, Knorr D, Tauscher B. 2008. Extraction of anthocyanins from grape by-products assisted by ultrasonics, high hydrostatic pressure or pulsed electric fields: A comparison. Innovative Food Sci Emerging Technol 9: 85-91. 

  19. Kim D, Han GD. 2012.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combined with enzymes increase the extractability and bioactivity of fermented rice bran. Innovative Food Sci Emerging Technol 16: 191-197. 

  20. Park SJ, Park DS, Lee SB, He X, Ahn JH, Woon WB,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98-1902. 

  21. Northrop DB. 2002. Effects of high pressure on enzymatic activity. Biochim Biophys Acta 1595: 71-79. 

  22. Real V, Alfaia AJ, Calado ART, Ribeiro MHL. 2007. High pressure-temperature effects on enxymatic activity: Naringin bioconversion. Food Chem 102: 565-570. 

  23. Liu W, Liu J, Liu C, Zhong Y, Liu W, Wan J. 2009. Activation and conformational changes of mushroom polyphenoloxidase by high pressure microfluidization treatment. Innovative Food Sci Emerging Technol 10: 142-147. 

  24. Kim D, Fan JP, Chung HC, Han GD. 2010. Changes in extrac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tubers by various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s. Food Sci Biotechnol 19: 1365-1371. 

  25.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26. Seo MC,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Kwak DY, Oh BG, Yoon YN, Nam MH, Jeong HS, Woo KS. 2011.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foxtail millet, 93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different pulveriz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90-797. 

  27. Jung KH, Hong HD, Cho CW, Lee MY, Choi UK, Kim YC. 2012. Phenolic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ed ginseng prepared by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process. Korean J Food & Nutr 25: 827-832. 

  28.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29. 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42-347. 

  30.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31. Singh N, Rajini PS. 2004.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of potato pell. Food Chem 85: 611-616. 

  32. Kim HY, Lee SH, Hwang IG, Jeong HS.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effects of rough rice (Oryza sativa L.) by germination peri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4-19. 

  33. Tian S, Nakamura K, Cui T, Kayahara H. 2005.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rice. J Chromatogr A 1063: 121-128. 

  34. Rice-Evans C, Miller N,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in Plant Sci 2:152-159. 

  35. Middleton E,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115-119. 

  36. Yang F, Basu TK, Ooraikul B. 2001. Studies on germination conditions and antioxidant contents of wheat grain. Int J Food Sci Nutr 52: 319-330. 

  37. Hung PV, Hatcher DW, Barker W. 2011. Phenolic acid composition of sprouted wheats b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od Chem 126: 1896-1901. 

  38. Xi J, Shen D, Zhao S, Lu B, Li Y, Zhang R. 2009.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s from green tea leaves using a high hydrostatic pressure extraction. Int J Pharm 382: 139-143. 

  39. Kang MY, Kim S, Koh HJ, Nam SH.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from germinated giant embryonic ric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93-299. 

  40. Xi J, Shen D, Li Y, Zhang R. 2011. Ultrahigh pressure extraction as a tool to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s. Food Res Int 44: 2783-2787. 

  41. Gordon MF. 1990.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In Food Antioxidants. Hudson BJF, ed.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UK. p 1-18. 

  42. Lee YR, Woo KS, Kim JY, Son JR, Jeong HS.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specialty rough rice. Food Sci Biotechnol 16: 765-770. 

  43. Hsu CL, Chen W, Weng YM, Tseng CY. 2003.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m flours a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Food Chem 83: 85-92. 

  44. Elmastas M, Gulcin I, Isildak O, Kufrevioglu OI, Ibaoglu K, Aboul-Enein HY. 2006.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capacity of bay leaf extracts. J Iran Chem Soc 3: 258-2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