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예비초등교사 로봇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Robot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sing Educational Robot and its Appli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4 no.3, 2013년, pp.333 - 341  

송의성 (부산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로봇 교육은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방과후 학교와 경진대회를 통해 초등학생과 학부모, 교사에게 인식과 기대가 보편화 되어있다. 그러나 교육대학의 로봇 교육은 체계적인 로봇교육프로그램의 부재로 아직 활성화되어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문제중심학습(PBL)교육용 로봇을 활용하는 예비초등교사 로봇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로봇 교육과 로봇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의 장단점과 개선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로봇 교육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고 로봇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효과성에 긍정적임을 보여주었으며 예비교사의 로봇 교육에 대한 교육 의지를 크게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bot education has the favorable influence 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Therefore, it is commonly know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parents and teacher through robot education for after school and contests. However, it has not been actively taught at university of...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예비교사를 위한 로봇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는 것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로봇교육 및 활성화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를 위한 로봇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설문과 상담을 통해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향후 효과적으로 초등학교에서 로봇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로봇교육과정 개발이나 교육프로그램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예비초등교사 로봇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학습자들의 로봇 교육과 로봇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 면담을 통해 장단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비교사에게 가르칠 양질의 로봇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첫째, 예비교사들에게 로봇교육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고 둘째, 교육대학과 교사연수 교육기관에서 서로 다른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는 로봇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내용 구성 및 교육과정에 대한 체계성 확립에 일조할 수 있으며 셋째, 향후 다른 로봇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연구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본 연구결과를 질적 개선을 위한 비교 연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예비교사를 위한 로봇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는 것은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로봇교육 및 활성화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는 어떤 인재를 필요로 하는가?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는 창의적이고 문제해결력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은 우수한 인적 자원의 양성을 국가적인 과제로 삼아 과학적이고 체계적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로봇 교육은 어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로봇 교육은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방과후 학교와 경진대회를 통해 초등학생과 학부모, 교사에게 인식과 기대가 보편화 되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H. Park and C. Kim, "The Effects of the Robot Based Art Instruction on the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5, No.2, pp.277-285, 2011. 

  2. Y. Bae and J. Nam, "Impact of Robot Programming Education in Application of Web 2.0 on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0, No.11, pp.468-475, 2010. 

  3. I. -H. Yoo and T. -W. Kim, "The Effects of MINDST ORMS Programming Instruction on the Creativ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9, No.1, pp.1-11, 2006. 

  4. J. Lindh and T. Holgersson, "Does lego training stimulate pupils' ability to solve logical problems?," Computers & Education, Vol.49, No.4, pp.1097-1111, 2007. 

  5. N. Shin and S. Kim, "What do robots have to do with student 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13, No.3, pp.79-99, 2007. 

  6. C. Kim,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 and Educational Effects in Relation to Robot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6, No.2, pp.233-243, 2012. 

  7. D. -Y. Kwon, K. Hur, and W. -G. Lee, "A Development of PBL based Linetracer Robot Programming Instructional Method at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3, No.3, pp.13-23, 2010. 

  8. W. -S. Moon, "A C-Programming Learning Model Using a Line Tracer in Discretionary Activity Hours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5, No.4, pp.603-612, 2011. 

  9. K. Hur, "Development of PBL based Elementary Robot Programming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5, No.4, pp.543-550, 2011. 

  10. K. -C. Hong, "A Study of Programming Language Class with Lego NXT Robot for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 Centered on Maze Proble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3, No.1, pp.71-78, 2009. 

  11. M. U. Bers, I. Ponte, C. Juelich, A. Viera, and J. Schenker, "Teachers as Designers: Integrating Robot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in Childhood Education Annual, Vol.2002, No.1, pp.123-146, 2002. 

  12. N. Rusk, M. Resnick, R. Berg, and M. Pezalla-Granlund, "New Pathways into Robotics: Strategies for Broadening Particip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Vol.17, No.1, pp.59-69, 2008. 

  13. S. P. Wagner, "Robotics and Children: Science Achievement and Problem Solving," Journal of Computing in Childhood Education, Vol.9, No.2, pp.149-192, 1998. 

  14. J. Jung, J. Choi, and J. Han, "Analysis on Children's Response Depending on Teaching Assistant Robots' Styl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1, No.2, pp.195-203, 2007. 

  15. O. -J. Kim and J. -H. Han, "Quantitative Analysis on Children's Perception for Designing Tutoring Robots' Head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ol.10, No.1, pp.769-775, 2006. 

  16.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Theory of Information Education", Kyoyookbook, 2012. 

  17. S. M. Kim,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Educational Robots for Enhancing Creativity," KERIS Research Report KR 2008-14, 2009. 

  18. Y. Bae, "Robot Programming Education Model in Ubiquitous Environment for Enhanc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PhD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6. 

  19. M. A. Albanese and S. Mitchell, "Problem-based learning: A review of literature on its outcomes and implementation issues," Academic Medicine, Vol.68, No.1, pp.52-81, 1993. 

  20. H. S. Barrows, "Practic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2nd ed.)," Springfield, IL:Southern Illinois University, 1994. 

  21. Y. Cho, J. Chae, E. Baek, and H. Lim, "A theoretic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problem-based learning(PBL)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The Korea Journal of Education Methodology Studies, Vol.16, No.2, pp.1-28, 2004. 

  22. Keol Lim,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real-time microblogging activities in offline lecture environment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12, No.2, pp.195-203,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