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생용 사회성 기술 훈련 '사또(사이좋은 또래)'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Robot-Mediated Social Skills Training 'Friendly Friends'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8, 2022년, pp.44 - 53  

임보령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  백예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  박지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생용 사회성 기술 훈련 콘텐츠를 기획하고 개발하였다. 훈련 콘텐츠 내에 로봇이 담당할 수 있는 기능을 분석하여 7가지 기능(활동 안내, 강화 제공, 행동지도, 팀 설정, 팀 순서 안내, 타이머 설정, 점수 확인)을 선정한 후, 초등학교 학령기 학생들의 학업성취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요구되는 사회성 기술을 바탕으로 총 8회기의 사회성 기술 훈련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콘텐츠 현장적용을 위한 수업은 사회성 기술 훈련을 위한 증거기반 전략을 활용하여 긍정적 예시 및 부정적 예시 제공, 모델링, 역할극, 수행 피드백, 일반화 단계로 구성하였다.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활용 사회성 기술 훈련 콘텐츠, 즉 '사또(사이좋은 또래)' 콘텐츠를 개발한 후, 수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콘텐츠 현장적용 및 참여학생과 현장교사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참여학생과 현장교사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또' 콘텐츠 개발의 의미와 기대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로봇활용 사회성 기술 훈련 콘텐츠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and develop contents for training social skills using robo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ven functions (guiding activity, providing reinforcement, guiding students behavior, team setting, presenting team order, timer setting, and checking scores) were devel...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사또' 콘텐츠는 학생들이 또래 및 교사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필요한 학생에게 필요한 사회성 기술을 습득하고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로봇이 초등학교 교실에서 소그룹으로 진행되는 수업의 교사보조 및 본 게임을 주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로봇을 보조교사로 활용한 사회성 기술 훈련 사또 콘텐츠를 기획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성 기술 훈련의 일부로 실시되는 게임을 로봇이 주도적으로 이끌게 하고 훈련 중 발생하는 학생의 행동에 대해서도 로봇을 활용하여 안내하도록 설계한 콘텐츠를 개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활용 사회성 기술 훈련 콘텐츠, 즉 사또 콘텐츠를 개발하고 수용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콘텐츠 현장적용 및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 N. Elliott and F. M. Gresham,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children," Behavior Modification, Vol.17, No.3, pp.287-313, 1993. 

  2. S. N. Elliott, C. K. Malecki, and M. K. Demaray, "New directions in social skill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xceptionality, Vol.9, No.1-2, pp.19-32, 2001. 

  3. F. M. Gresham, M. B. Van, and C. R. Cook, "Social skills training for teaching replacement behaviors: Remediating acquisition deficits in at-risk students," Behavioral Disorders, Vol.31, pp.363-377, 2006. 

  4. 정미, 또래상담 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교유관계와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75, 2004. 

  5. 윤청하, 유형근, 남순임, "초등학교 저학년의 친사회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아동교육, 제25권, 제2호, pp.275-292, 2016. 

  6. 김현진, 김미숙, 이선영, 김정아, 김민성, 김준엽, 조윤정, OECD ESP 사회정서역량조사 국제공동연구(IV): 본조사 결과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20. 

  7. M. Davies, G. Cooper, R. J. Kettler, and S. N. Elliott, "Developing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additional needs within the context of the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asi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39, No.1, pp.37-55, 2015. 

  8. M. Welsh, R. D. Parke, K. Widaman, and R. O'Neil, "Linkages between children's social and academic competence: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39, No.6, pp.463-482, 2001. 

  9. 손지영, 임장현, 구정아, 조민균, 장애학생 교육용 디지털 콘텐츠 수업 활용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20. 

  10. 이연승, 정정희, 임수진, "R-러닝에서 유아의 다면적 능력 평가도구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기관 R-러닝 적용과 한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pp.399-417, 2015. 

  11. 배인자, "교육용 로봇 사용경험에 따른 유아의 로봇 그림 이미지와 로봇특성 인식," 변형영유아교육연구, 제4권, pp.5-25, 2010 

  12. 현은자, 이하원, 연혜민, "지능형 로봇 아이로비큐(IrobiQ)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455-466, 2013. 

  13. 장현진, "초등 실과교육에서 인공지능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초등교육, 제31권, pp.33-48, 2020. 

  14. J. Park, Y. E. Baek, B. L. Lim, and H. Go, "Robot-mediated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36, No.1, pp.99-112, 2021. 

  15. N. B. Meadows, Evidence-based practices for educating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nd ed.), Pearson, 2013. 

  16. E. McGinnis and A. P. Goldstein, Skillstreaming the elementary school child: New strategies and perspectives for teaching prosocial skills, Research Press, 1997. 

  17. 안동현, 김세실, 한은선, 주의력결핍 장애아동의 사회기술훈련, 학지사, 2004. 

  18. H. M. Walker, B. Todis, S. McConnell, J. Walker, D. Holmes, and N. Golden, The Walker social skills curriculum: The ACCEPTS Program, Pro-Ed., 1988. 

  19. 임보령, 백예은, 박지연, "로봇활용 사회성 훈련의 사회적 타당도," 한국특수아동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자료, pp.147-148, 2022. 

  20. B. R. Duffy, "Anthropomorphism and the social robot.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 Vol.42, No.3-4, pp.177-190, 2003. 

  21. 하상집, 이은주, 유인진, 박도형. "소비자 시선 분석을 통한 소셜로봇 태도 형성 메커니즘 연구: 로봇의 얼굴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9권, 제2호, pp.409-414, 2021. 

  22. S. Jang and H. K. Cho, "Analysis of user's eye gaze distribution while interacting with a robotic character," Journal of Korea Robotics Society, Vol.14, No.1, pp.74-79, 2019. 

  23. 김진우, 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 (UX innovation을 위한 원리와 방법), 안그라픽스,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