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언론사연구와 안재홍의 "조선신문소사(朝鮮新聞小史)"
A Study on the History of the Press during the Japanese Ooccupation Period and "Josun Shinmun Sosa" by Ahn Jae-Hong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no.64 = no.64, 2013년, pp.85 - 108  

김영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초록

이 연구는 안재홍의 신문사 연구에 대해, 그가 1935년 발표한 "조선신문소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사의 연구사적 시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언론사를 주제로 한 주요 논의들을 살펴본 결과, 안재홍의 연구는 비교사적 방법과 사회사적 접근방법으로 고찰한 것으로 일제강점기 언론사 연구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조선신문소사"는 신문의 기원으로 인행조보와 긔별(저보)을 먼저 설명하고, 구한말 주요 신문에 참여한 인물, 신문의 논조, 주요 기사에 대한 평가를 통한 신문의 성격 분석, 신문체제, 신문광고, 친일신문, 일본인 경영 신문, 해외 교포 신문 등 구한말 신문현상의 다양한 주제를 설명했다. 신문에 기고한 글의 성격상 정밀한 연구라기보다는 개괄적으로 언급한 부분들이 있고, 객관적인 분석과 주관적인 감상이 혼합되어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안재홍의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발표된 신문사 논의 가운데 연구대상의 여러 문제를 가장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고, 해석의 시각과 방향에서 이 시기 신문현상에 대한 선구적인 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동시대의 신문사연구와 해방이후 언론사 연구의 시기구분과 서술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review Ahn Jae-Hong's studies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ess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history focussing his "Josun Shinmun Sosa(A Short History of the Korean Press)" published in 1935. For this purpose major discussions with respect to journalistic history during the J...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신문소사에는 어떤 내용이 많이 차지하고 있는가? 1920년대는 한국사 연구에서 사회사 연구의 기틀이 마련된 시기로 평가된다(김수태, 2003). 3⋅1운동으로 한국사회의 다양한 국면에 주목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안재홍도 자신의 역사 연구에서 역사 사회학적 접근과 사회사적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뒤에서 살펴보듯이 “조선신문소사”는 신문발행의 정치사회적 배경, 신문논조, 주요 신문기사에 나타난 당시 사회상을 서술하는 내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문의 사회사 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신문소사는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 신문의 기원으로서 안재홍은 긔별(저보)과 인행조보를 설명했다. 이런 설명은 안재홍이 밝혔듯이 최남선의 글을 참고한 것이지만, 조선학 운동을 주도하여 조선의 자주적 근대 국가수립의 내재적 역량을 주목했던 안재홍이 근대 신문의 자생가능성을 언급하려는 시도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안재홍은 일제강점이후에 대해 1910년에서 1919년 3⋅1운동까지의 기간을 제외하고 그 후의 시기를 제4기신시대라고 표현했다. 안재홍은 신문의 기원에 대해서는 비교사적으로 접근했고, 그 이후의 시기에 대해서는 정치사회사적 배경을 설명하면서 당시의 신문현상과 신문기사에 나타난 사회현 상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서술하여, “조선신문소사”는 구한말 신문의 사회사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점에서 안재홍을 지사주의적 전통을 이어 받은 대표적인 언론인 유형이라고 할 수 있는가? 이런 활동으로 초기 언론 인의 지사주의적 전통이 형성되었다고 평가된다(박용규, 2004, 214쪽). 안재홍은 일제강점기와 미군정기에 신문사의 논설위원, 부사장, 사장 등으로 언론현장에서 활동한 언론인이면서, 대표 적인 비타협적 민족주의 운동가로서 신간회운동 등 사회운동에 참여하는 한편, 자신의 전문을 역사라고 밝힐 정도로 역사에 특히 관심을 가져(����삼천리����. 1949. 2. ����선집 5����, 1999, 100∼101쪽), 역사관련 논저를 다수 집필한 역사학자였다. 1) 이 시기 안재홍은 민족운동을 위한 수단으로서 언론의 역할을 강조하고, 신문기자는 일개 지식직공(知識職工) 이상의 지도자적 혹은 국사(國 士)적 기풍을 지녀야한다고 인식했다(����철필����, 1930. ����선집 4����, 322∼323쪽).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