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쑥을 첨가한 곤약국수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njac Noodle-added Mugwort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5, 2013년, pp.613 - 619  

김석지 (경남정보대학교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저칼로리 식품으로 알려져 있는 곤약과 약리작용이 뛰어난 쑥을 첨가한 곤약국수를 제조하고자 쑥의 건조방법에 따른 색도 변화와 곤약분말 농도, pH, 응고제의 종류에 따른 곤약 겔의 제조조건과 쑥의 첨가량에 따른 최적의 곤약국수의 제조방법을 조사하였다. 곤약국수에 사용할 쑥의 건조방법별 색도 변화 조사 결과, 1% $NaHCO_3$ 용액에 데친 후 건조한 방법(HADB, FDB)은 데치지 않은 방법(HAD, FD)에 비하여 쑥의 녹색유지에 효과적이었고 데친 후 동결건조한 방법(FDB)은 데친 후 열풍건조한 방법(HADB)에 비하여 선명한 녹색을 띄고 있었다. 따라서 쑥 가공처리에 있어서 1% $NaHCO_3$ 알칼리 용액에 데친 후, 동결건조방법이 쑥의 녹색을 유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곤약 겔의 최적의 제조조건을 조사하고자 곤약분말의 농도, pH, 응고제의 종류에 따른 곤약 겔의 물성(견고성,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분말농도는 9%, pH는 12, 응고제는 $Na_3PO_4$를 사용했을 때 물성치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쑥의 첨가량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곤약분말에 대하여 1.5% 첨가가 색, 향, 맛 등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나, 1.5%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시한 곤약의 제조 방법과 적절한 농도의 쑥을 첨가한 곤약국수를 제조하여 영양적, 물성적, 관능적으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는 제품이 제조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njac gel is known as a low calorie food, because the main component is water. Mugwort has been used for food and medicine for a long time due to itsfunctional property, which contains a lot of vitamins and minerals. Therefore, konjac noodle-added mugwort was prepared. The konjac gel was made by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쑥을 첨가한 곤약국수의 상품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쑥의 전처리 조건과 곤약 겔의 제조 과정 중 물성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최적의 곤약 겔의 제조 조건을 바탕으로 쑥을 첨가한 곤약국수를 제조하여 관능적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토대로 쑥을 첨가한 곤약국수의 전반적인 제조 조건을 제안하여 표준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따라서 쑥을 첨가한 곤약국수의 상품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쑥의 전처리 조건과 곤약 겔의 제조 과정 중 물성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최적의 곤약 겔의 제조 조건을 바탕으로 쑥을 첨가한 곤약국수를 제조하여 관능적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토대로 쑥을 첨가한 곤약국수의 전반적인 제조 조건을 제안하여 표준화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곤약의 어떤 질병들을 사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가? 곤약은 약 97%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저칼로리 식이섬유 식품으로 열량이 거의 없고 섭취 시 포만감을 유지하여 음식물의 과잉 섭취를 억제한다. 또한 정장, 배변작용 등의 촉진으로 예로부터 ‘위청소부’, ‘장청소부’ 등으로 불리었으며, 현대성인병의 근본원인인 비만을 방지함으로써 고혈압, 당뇨병, 위암, 대장암, 담석증, 뇌출혈, 고지혈증, 변비 등의 사전 예방에 크게 작용한다. 또한 쑥은 민간요법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약초 중 하나로 약용으로는 줄기, 식용으로는 어린잎이 사용된다.
곤약은 무엇인가? 최근 식생활의 변화에 따른 성인병의 증가로 건강식의 개발과 기능성 식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 재료를 첨가한 국수와 관련된 연구로 홍화씨 추출물(Kwak & Km 2002), 상황버섯(Kim et al 2005), 송화(Kim ML 2005), 솔잎(Jeon et al 2005), 치자 추출물(Kim ML 2006), 쑥(Park & Kim 2006) 등을 첨가한 국수에 대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곤약은 토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양질의 수용성 식이섬유 소재인 글루코만난(glucomannan)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글루코만난은 특유의 겔 형성력, 다른 검류 및 전분류와의 상승작용, 유동성 등을 가지고 있어 식품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Yoo & Lee 1997). 곤약은 약 97%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저칼로리 식이섬유 식품으로 열량이 거의 없고 섭취 시 포만감을 유지하여 음식물의 과잉 섭취를 억제한다.
곤약에 다량 함유된 글루코만난은 어떤 특성을 갖고있는가? 최근 식생활의 변화에 따른 성인병의 증가로 건강식의 개발과 기능성 식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 재료를 첨가한 국수와 관련된 연구로 홍화씨 추출물(Kwak & Km 2002), 상황버섯(Kim et al 2005), 송화(Kim ML 2005), 솔잎(Jeon et al 2005), 치자 추출물(Kim ML 2006), 쑥(Park & Kim 2006) 등을 첨가한 국수에 대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곤약은 토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양질의 수용성 식이섬유 소재인 글루코만난(glucomannan)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글루코만난은 특유의 겔 형성력, 다른 검류 및 전분류와의 상승작용, 유동성 등을 가지고 있어 식품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Yoo & Lee 1997). 곤약은 약 97%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저칼로리 식이섬유 식품으로 열량이 거의 없고 섭취 시 포만감을 유지하여 음식물의 과잉 섭취를 억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e HJ, Lee SH, Jeong HS, Kim WJ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mpinella brachycarpa Nakai with treatments methods. Korean J Food & Nutr 26: 125-131. 

  2. Choi SH, Kim SM (2012) Quality properties of giant squid (Dosidicus gigas) surimi-based product manufactured with amorphophallus konjac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22-427. 

  3. Jeon JR, Kim HH, Park G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and extrac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685-692. 

  4. Joung HS (1993) A study on the sensory quality of ssooksulgis added with mugwor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3: 175-180. 

  5. Jung IC (2006) Rheolog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added mugwor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332-343. 

  6. Kim JS, Cho SY, Ha JH, Lee EH (1995) Effect of gelation condit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yellowfin sole skin gelatin prepared by ethanol fractional precipi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83-486. 

  7. Kim YA. (2002)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J Korean Food Cookery Sci 18: 632-636. 

  8. Kim TY, Park MS, Choi JY, Yang JH, Cho SY (2003) Effect of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gelation agent in chitosan gelation process.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9: 2010-2013. 

  9.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2005)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n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79-583. 

  10. Kim ML (2005)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s with pine polle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ine pollen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717-724. 

  11. Kim ML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ia jasminoid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Gardenia jasminoide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237-243. 

  12. Kim CH, Park SO (2006) Influence of day methods on qualities of Artemisia sp.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2: 108-118. 

  13. Kim CH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temisia sp. with different heat treatment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5: 128-138. 

  14. Kwak DY, Km JH (2002) Effect of hot water extract powder from safflower seed on quality of nood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460-464. 

  15. Lee HJ (2010) Evaluati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containing mugwor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95-102. 

  16. Park JH (2003)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21-1025. 

  17. Park SI, Cho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with chlorella extract. J Korean Food & Nutr 17: 120-127. 

  18. Park CS, Kim ML (2006) Functional properties of mugwort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mugwort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161-167. 

  19. Park SJ, Joung YM, Choi MK, Kim YK, Kim JG, Kim KH, Kang MH (2008) 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0-65. 

  20. Shim K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Korean paprik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779-784. 

  21. Sim YJ, Park JE, Chun HJ (1991) A study on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ssooksulgis affected by mugworts. Korean J Soc Food Sci 7: 35-43. 

  22. Tye RJ (1991) Konjac flour, properties, and applications. Food Technol 45: 87-92. 

  23. Yoo MH, Lee HG (1997)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s prepared with glucomannan extracted from Amorphophallus konjac.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255-26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