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테러네트워크에 관한 고찰
Review on the Terror Network in Smart Media Era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3 no.2, 2013년, pp.85 - 93  

임유석 (선문대학교 경찰행정법학과) ,  김상진 (백석문화대학교 경찰경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테러조직의 구조는 복잡 다양한 네트워크 형태로 진화하고 있지만, 이는 무작위로 결합하여 생성된 네트워크가 아니라 선호도 결합 형태를 띠는 네트워크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법집행기관의 효과적인 대테러 대책을 위해서는 테러네트워크의 특성과 유형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스마트미디어 시대에 적합한 기술 정보적 전략들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자생테러리즘은 전통적인 테러리즘과는 달리 국가와 지역의 경계 없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정치 이념 종교 등 다양한 목적의 폭력행위를 일삼는 새로운 형태의 위험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스마트미디어 시대에서 극단적인 자생테러네트워크의 구성원들은 특유한 형태의 급진화 과정을 겪으면서 성장하고 있으며 활동영역 또한 추상적이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의 법집행기관들이 치밀하게 테러네트워크를 파악해야만 한다. 아울러 온라인 공간에서 은밀하게 형성되고 진화되는 급진적이고 자생적인 테러조직 네트워크 형성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미디어 매체들의 부정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테러네트워크에 대한 추적과 차단에 정보공동체들이 활용해야만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the structure of terrorist organizations in the form of a variety of network complexity are evolving. However, terrorist organization not combining randomly generated network but preferential attachment a network. So, it's research should be preceded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charac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세계인들의 일상생활이 되어버린 SNS의 사용현황과 이면의 부정적 측면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SNS를 이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테러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테러리즘의 발생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한다. 아울러 온라인 공간에서 진행될 수 있는 테러리즘의 단계와 특징 그리고 구조에 대해 살펴본 후에 법집행기관의 대응전략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세계인들의 일상생활이 되어버린 SNS의 사용현황과 이면의 부정적 측면과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SNS를 이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테러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테러리즘의 발생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한다. 아울러 온라인 공간에서 진행될 수 있는 테러리즘의 단계와 특징 그리고 구조에 대해 살펴본 후에 법집행기관의 대응전략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란 무엇인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 vice)란 사회구성원의 사회적 관계 형성 개념을 실제 공간이 아닌 인터넷 공간으로 가져온 것으로서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다수의 타인 및 개인이나 친구와 특정한 관계를 맺고, 정보를 공유하여 지속적으로 의사소통(communication)을 확대해 나가는 일련의 공동체(community) 구성활동을 지칭하는 말이다.[11]
스마트미디어 시대에서 새로운 정보의 검색 기술과 환경변화의 특징은? 첫째, 스마트폰 등의 이동형 스마트 기기의 보편화와 무선 인터넷 확산에 따라 사용자의 인터넷 접근이 용이해졌다. 이는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인터넷 접속 환경이 장소와 시간의 구애 없이 개인 사용자에게 쉽게 제공되고 노출될 수가 있는 것이다. 둘째, 다양한 형태의 소셜네트워킹 플랫폼의 등장과 소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정보 및 콘텐츠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정보검색 시스템은 보다 우수한 검색 성능을 요구 받고 있다. 셋째, 최근 스마트미디어 환경과 사용자 수가 급격히 확산됨에 따라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기본적 개인정보에서부터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은 사용자의 선호와 상황에 맞는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가 있다. 넷째, 온라인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검색 시스템에 새로운 도전 과제와 기회를 동시에 주고 있다. 이러한 검색 시스템은 방대한 정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른바 빅데이터 분석(big data analysis) 기술은 방대한 데이터의 상호 연결과 의미를 분석하여 숨겨져 있는 정보를 발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올바른 의사결정과 문제 해결을 도울 수가 있다. 다섯째, 스마트미디어 시대는 새로운 기술의 도래, 새로운 미디어 환경의 확산,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 형태를 등장시켰고, 정보검색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기대를 변화시키며 그 수준을 높이고 있다. 사용자는 확장된 맞춤화, 개인화, 지능화 등 자신들의 검색 경험과 검색 결과의 유용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특성들을 검색 시스템에 기대하고 있다.
스마트미디어란? 스마트미디어(smart media)란 “공동체 사회 구성원들 간의 소통 도구로 스마트기기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시간적ㆍ공간적 제약 없이 융합콘텐츠를 제공하는 똑똑한 매체(네트워크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로 정의할 수가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박철현, "국내 자생테러 발생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슬람 자생테러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제21권, 제4호, pp. 61-89, 2010. 

  2. 윤민우, "소셜 네트워크 접근을 통한 테러네트워크 이해와 분석 및 전략적 접근방안: 탈레반, 알카에다 등의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제22권, 제1호, pp. 201-230, 2011. 

  3. 윤장우, "스마트미디어 시대의 도래 및 발전방향," 방송공학회지, 제18권, 제1호, pp. 10-22, 2013. 

  4. 조준면, 김명은, 홍진우, "스마트미디어 검색기술동향 및 전망," 한국통신학회논문지, 제29권, 제10호, pp. 37-43, 2012. 

  5. 최응렬, "자생테러리즘의 발생가능성과 지역사회에서의 대응방안," 대테러연구, 제34집, pp. 215-242, 2012. 

  6. 최응렬,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사용현황 및 테러발생 가능성 진단," 대테러연구, 제35집, 2013. 

  7. 최진혁,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위험성 및 Policing(경찰활동)에 미칠 영향에 대한 시론적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9호, pp. 301-336, 2011. 

  8. 한국인터넷진흥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현황," 2010. 

  9. Bakier, A. H., "The New Issue of Technical Mujahid, a Training Manual for Jihadis," Terrorism Monitor, Vol. 5, No. 6, The Jamestown Foundation. 2007. 

  10. Berkowitz, B., 'The new face of war: how war will be fought in the 21st century,' New York: The Free Press. 2003. 

  11. Boyd, D. M. and Ellison, N. B.,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3. 2007. 

  12. Citron, D. K. and Norton, H., "Intermediaries and hate speech: Fostering digital citizenship for our information age," Boston University Law Review, Vol. 91, p. 1438-39, 2011. 

  13. Conway, M., "Terrorist use of the Internet and Fighting Back," Information & Securi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19, p. 11, 2006. 

  14. Geoff, D., Peter, B. and Newman, J., "The Dark Side of Social Media: Review of Online Terrorism," Pakistan Journal of Criminology, Vol. 3, No. 3, pp. 103-122, 2012. 

  15. Precht, T., 'Homegrown Terrorism and Islamist Radicalization in Europe', Research Report, Danish Ministry of Justice. 2007. 

  16. Sageman, Marc,' Understanding terror networks,' Philadelphia, P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4. 

  17. Scott, H., 'Edges of Radicalization: Individuals, Networks and Ideas in Violent Extremism,' The Combating Terrorism Center at West Point, 2012. 

  18. Weimann, G., "Terror on Facebook, Twitter, and Youtube," The Brown Journal of World Affairs, Vol. 16, No. 2, pp. 45-54,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