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가정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 가족자원경영학회지에 실린 논문 분석을 중심으로 -
The Trends and Beyond of the Research on the Healthy Families - Focused on a Review of the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8 no.4, 2014년, pp.53 - 68  

박정윤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이선형 (호서대학교 노인복지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creasing interest in family problems caused by social environment changes has elevated the importance of strong family policy. That is why Framework Act on Healthy Families has enacted in 2004 in Korea and it marked the 10th anniversary of establishing the law. This study finds out the meaning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술지에서는 건강가정사업(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관련 영역의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시군구에 본격적으로 설치되면서 센터별로 실시되는 각종 건강가정사업에 대한 성과와 평가를 통해서 사업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기타 영역에서는 인식이나 건강성, 척도개발 등의 연구가 포함되었는데 이러한 영역의 연구들은 소수에 불과했다.
  • 본 연구는 건가가정기본법 제정 10주년을 맞이하여 가족자원경영학 분야에서 최근 10여년간 수행되었던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가족자원경영학적 관점의 건강가정관련 연구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수행과정에서 자료수집이 건강가정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연구주제, 방법, 대상과 같은 학술적 측면을 일차원적으로 분석하는 수준이었고, 현재의 가족정책이나 건강가정기본 계획 등을 토대로 한 실천적 측면의 분석을 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내용분석이 충분하지 못하였음으로 추후에 관련연구들을 다양한 기준으로 적용하는 심층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10주년을 맞이하여 지금까지 수행된 건강가정관련 연구를 가족자원경영학적 관점에서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을 연도별 분류를 통해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몇 가지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강가정영역에 대한 가장 많은 논의와 연구가 이루어져왔던 한국 가족자원경영학회지를 중심으로 논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학회지에 따라 학문의 접근방식이 달라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에 차이가 있을 수있어 가족자원경영학이라는 학문에서의 건강가정에 대한 접근으로 한정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사회에서 가족해체가 이어지는 상황에 처한 사유는? 한국사회가 맞벌이 가족의 증가, 돌봄의 공백, 지속적인 저출산과 인구고령화 등 소위 신사회적 위험에 직면하고 IMF와 국제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가정생활이 위협을 받으면서 가정은 스스로를 유지시키는 힘이 약화되고 이는 가족해체로 이어지는 상황에 처하면서 그동안의 가족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가족에 대한 통합적 지원정책을 위한 근간으로 2004년 2월 9일 건강가정기본법 제정되었다.
가족에 대한 통합적 지원정책을 위한 근간으로 제정된 법은? 한국사회가 맞벌이 가족의 증가, 돌봄의 공백, 지속적인 저출산과 인구고령화 등 소위 신사회적 위험에 직면하고 IMF와 국제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가정생활이 위협을 받으면서 가정은 스스로를 유지시키는 힘이 약화되고 이는 가족해체로 이어지는 상황에 처하면서 그동안의 가족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가족에 대한 통합적 지원정책을 위한 근간으로 2004년 2월 9일 건강가정기본법 제정되었다. 건강가정기본법이 제정되면서 가족문제에 대한 국가책임을 명시하게 되었고, 기존의 잔여적이고 보충적, 사후처리적인 복지접근의 방식에서 문제발생을 예방하고, 다양한 가정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확대하였으며, 가정단위의 통합적 접근의 가족정책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결정적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한국의 2014년의 상황을 살펴봤을 때, 사회변화는 가정의 중요성과 역할을 어떤 방식으로 강조하고 있는가? 한편 법 제정 10년을 맞이하는 2014년의 상황을 살펴보면 여전히 사회변화는 가정의 중요성과 역할을 다른 방식으로 강조하고 있다. 즉, 저출산 · 고령화 사회에 한국의 가정은 사회적 자본을 창출하는 중요 자원으로 인식되며 가정의 안정성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근간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 일-가정 양립과 균형을 추구하는 사회분위기 속에 일-가정 양립 정책이 요구되며 다양한 가족 유형의 안녕과 행복을 추구하는 가족관계를 강화하는 전문적인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으며, 개별 가정 스스로가 문제해결과 복원능력을 갖추는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0)

  1. 강기정(2007). 건강가정사 양성교육에서 액션러닝(Action Learning) 활용에 관한 탐색.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3), 67-79. 

  2. 강기정.박수선(2013). 가족중심 사례관리의 지역사회 체계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3), 125-144. 

  3. 고선강(2005). 건강가정사 양성을 위한 가족자원경영학 교과개편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33-144. 

  4. 구혜령(2004). 건강가정 생활진단 척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35-39. 

  5. 구혜령.김선미(2010). 가족친화 사회조성을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83-189. 

  6. 김경신.이승미(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실천을 위한 건강가정 사업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57-370. 

  7. 김경신.정민자.송혜림.성미애.박정윤(2008). 가정정책 방향모색을 위한 전문가 조사연구 : 통합적 가정정책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167-179. 

  8. 김명자.계선자.박미석.장진경.김연화(2004).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현황 및 활성화 방안-2004년 용산구.숙명여대 가정생활문화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34. 

  9. 김명자.계선자.박미석.장진경.김연화.유진아.한은주(2005).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운영에 대한 전반적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43(8), 123-139. 

  10. 김미정(2005).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사례.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5-61. 

  11. 김선주.박정윤(2013). 신혼기 부부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3), 19-37. 

  12. 김성희(2004).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을 위한 실천적 전략 모색.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9-73. 

  13. 김성희(2009). 여주군건강가정지원센터의 녹색성장운동-재활용악기를 이용한 가족봉사단.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73-184. 

  14. 김성희.양정선(2007). 건강한 가정 만들기를 위한 자가진단 척도 개발의 기초연구-감마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4), 55-71. 

  15. 김성희.양정선(2011). 건강가정지원센터 위상 재정립을 위한 정책 제안 연구-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43-64. 

  16. 김승권(2003). 건강가정육성기본법(안) 제정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29. 

  17. 김진희(2008).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2), 25-37. 

  18. 김혜연.곽인숙.홍성희.김성희(2009).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라이프코칭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209-225. 

  19. 김혜연.서종선(2007). 건강가정 및 건강가정실천방안에 대한 인식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3), 81-105. 

  20. 도미향(2009).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Developing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for Empowering Family Welfare Service in Korean Local Communities. 한국가족복지학, 14(2), 51-70. 

  21. 박경애(2011). 가족봉사단의 봉사활동 경험의 효과 연구-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79-105. 

  22. 박미금.이미선.이영호.최보아(2005a). 건강가정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9-152. 

  23. 박미금.이미선.이영호.최보아(2005b). 건강가정기본법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3), 97-112. 

  24. 박미석(2004). 건강가정지원센터와 건강가정사의 역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31. 

  25. 박미석.김경아(2006). 가족생활건강성 향상을 위한 가정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건강가정 구현을 위한 가정 CEO-.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3), 113-130. 

  26. 박정윤(2008). 건강가정지원센터 건강가정문화 사업평가에 관한 연구.l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3), 25-36. 

  27. 박정윤(2010). 건강가정지원센터 내 한부모가 정 관련 사업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67-178. 

  28. 박정윤.윤소영(2010).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봉사단 및 건강가정캠페인 사업 운영 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59-77. 

  29. 배은숙.강기정(2006). 시설청소년의 가족 인식 및 건강가정 형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요구-시설청소년과 퇴소자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2), 107-125. 

  30. 손여경.이송이(2009). 건강가정현장실습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247-280. 

  31. 손주영(2005). 고려대학교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 사례-2005년 고려대학교 청소년을 위한 건강가정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9-83. 

  32. 송혜림.장진경(2004).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과 운영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03-318. 

  33. 송혜림(2005a). 연구측면에서 본 가족자원경영학의 과제-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을 위한 공공가정경영연구의 활성화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7-31. 

  34. 송혜림(2005b).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주부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모형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1), 17-39. 

  35. 송혜림(2006).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노년기 생활설계프로그램-실태와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25-240. 

  36. 송혜림(2009). 공공가정의 인적자원 관리방안-건강가정사 직무분석에의 적용.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23-39. 

  37. 송혜림(2010).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찾아가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혼 취업여성 대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1-17. 

  38. 송혜림.권혜진.기은광.김선우.김소영. 채화영(2004). 초기 건강가정사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3), 65-93. 

  39. 송혜림.김소영(2006).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자원개발의 가능성-주민조직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2), 1-18. 

  40. 송혜림.김소영(2007).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네트워크 구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2), 95-110. 

  41. 송혜림.김유경(2011). 녹색성장 관점에서 본건강가정 : 과제와 실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17. 

  42. 송혜림.김유경.조영희(2012). 2011 건강가정지원센터 조손가정 지원 시범사업의 성과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83-107. 

  43. 송혜림.라휘문(2009). 광역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기능 및 건강가정지원센터 평가 기능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16. 

  44. 송혜림.정영금(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업에 대한 평가와 발전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1-20. 

  45. 양정선.김성희(2010). 건강가정지원센터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213-237. 

  46. 오윤자(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장애아가족 통합지원서비스 사업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6), 167-179. 

  47. 윤경자(2008). 건강가족을 위한 한국가족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 건강가정기본법과 건강가정지원센터를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4), 85-101. 

  48. 윤종희(2006). 건강가정 사업에서 가족-중심개입을 위한 개념 모형. 생태학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44(3), 115-126. 

  49. 원소연.장진경(2006).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사업 및 홍보 활성화 방안. 대한가정학회지, 44(8), 101-116. 

  50. 이선형(2004).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보편적 서비스의 관점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7-52. 

  51. 이승미(2003). 건강가정육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67-90. 

  52. 이승미.김선미(2005). 저소득 한부모가정, 사례에 비추어 본 지원방안 연구 : 건강가정지원센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95-112. 

  53. 이승미.송혜림.라휘문.박정윤(2012). 가족복지전달체계 통합을 위한 기초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5), 1-15. 

  54. 이영호(2004). 생활설계프로그램의 활용-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5-66. 

  55. 이영호(2005). 자취생의 생활설계 프로그램-건강가정지원센터 활용 프로그램-.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03-113. 

  56. 이윤정(2008).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업 담당 건강가정사의 직무와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4), 79-100. 

  57. 이은주.전미경(2013).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정헌법 만들기' 사업의 '가정헌법' 분석과 발전방향- 서울지역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93-108. 

  58. 이지원.박정윤.김양희(2008). 가족자원봉사 활동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6), 89-100. 

  59. 임춘희(2007). 건강가정사가 지각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상담업무와 근무환경.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83-105. 

  60. 장진경.오제은.한은주.류진아.원소연(2006a). 건강가정지원센터 홍보 및 시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2), 127-149. 

  61. 장진경.오제은.한은주.류진아.원소연(2006b).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한 전문가 및 실무자의 역할인식 조사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10), 21-34. 

  62. 정민자(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실천을 위한 정책적 지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19-329. 

  63. 정선희.김윤선.손주영.이연숙.이윤정(2006). 청소년을 위한 건강가정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1), 127-147. 

  64. 정여주.이기숙(2013). 건강가정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8(4), 461-484. 

  65. 정영금.강기정.박정윤.정지영.조성은(2009).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브랜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83-98. 

  66. 정영금.송혜림(2007). 건강가정 주부 CEO의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4), 37-53. 

  67. 정영금.조성은.안재희.김지수(2013). 가족친화지원사업의 시행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83-96. 

  68. 정지영.정영금.조성은(2007).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4), 93-114. 

  69. 정지영.조성은(2009). 녹색가족성장을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3-69. 

  70. 조성은.정지영.이윤정(2010).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9-153. 

  71. 조희금(2003). 가족자원경영 측면에서 본 건강가정육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3-56. 

  72. 조희금.박미석(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이념과 체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31-344. 

  73. 조희금(2005).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과 가족자원경영학의 역할.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7-14. 

  74. 조희금.고선강.박정윤.성미애.송혜림.이승미.이현아.장진경.정민자(2014). 건강가정백서. 서울 : 대한가정학회. 

  75. 진미정.유재언(2012). 지리적 접근성이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50(7), 13-20. 

  76. 차성란(2012a).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품앗이사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안-지역화폐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67-82. 

  77. 차성란(2012b).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사업운영 전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87-2010. 

  78. 채옥희.홍달아기(2006).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건강가정을 위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력 향상 교육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3), 63-88. 

  79. 최연실.송명숙.권희경.조은숙.남영주(2012). 가족서비스 실천과정에서의 건강가정사의 관점에 대한 질적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50(7), 21-35. 

  80. 최옥자.박현식(2013).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네트워크 특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85-1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