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둔촌동 습지에서 미지형이 식물 군락 구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topography on Vegetation Pattern in Dunchon-dong Wetland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4, 2014년, pp.353 - 362  

남종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전승혜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최호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둔촌동 습지에서 미지형이 식물 군락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2007~2008년에 걸쳐 지형에 따른 수위 변화와 식물 군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을 지대가 낮은 지형부터 높은 지형까지 4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각각의 구역은 조사 지역 면적 대비 약 11%, 10%, 18%, 24%의 면적을 가지고 있었다. 조사 기간동안 수환경의 pH는 6.10(${\pm}0.13$), 전기전도도$51.5({\pm}6.0){\mu}s/cm$이었으며, $PO_4$-P, $NO_3$-N, $NH_4$-N은 각각 $0.04({\pm}0.02)mg/L$, $0.14({\pm}0.07)mg/L$ 그리고 0.01mg/L 이하로 유지되었다. 2008년 3~4월 누적 강수량이 2007년 대비 약 56%로 적었던 것이 지대가 낮은 지형에서 수위 환경 차이를 유발하여 식물 군락 형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형의 높이에 따라 해당 구역을 우점하는 식물 길드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종자로부터 생활사가 시작되는 1년생 식물 종들이 조사 지역을 전체적으로 우점하였기 때문이며, 다양한 길드의 식물들이 혼재하기 위해서는 높이 구배가 있는 미지형이 조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cro-topography to vegetation pattern in Dunchon-dong wetland. To characterize the effect of micro-topography, changes in water level and vegetation pattern were monitored from 2007 to 2008. Depending on the relative elevation, the study s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둔촌동 습지에서 2년에 걸쳐 모니터링 되었으며, 미지형에 따른 시기별 수위 변화와 둔촌동 습지 내 우점종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미지형에 따른 수위 차이가 식물 군락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미지형 구성에 따른 수위 변화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도심지 내 단절된 습지 생태계에서 효율적인 수위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둔촌동 습지에서 2년에 걸쳐 모니터링 되었으며, 미지형에 따른 시기별 수위 변화와 둔촌동 습지 내 우점종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미지형에 따른 수위 차이가 식물 군락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미지형 구성에 따른 수위 변화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도심지 내 단절된 습지 생태계에서 효율적인 수위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I) A종이 우점종일 때 A종 피도의 50%이상인 다른 종이 없는 격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의 정착 및 생육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식물 군락 변화에 관한 여러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환경 조건에 따라 도태되거나 유입 및 유지되는 길드가 결정되기 때문에 식물 길드가 다양하게 유지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이 필요하다(Coops and Van der velde, 1995; Keddy, 1992; Keddy and Ellis, 1995; Moore and Keddy, 1988). 식물의 정착 및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인자로는 물, 빛, 양분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미지형은 상대적 높이 차에 의해 수위에 영향을 미친다(Park et al., 2013).
둔촌동 습지는 2003년 복원 및 조성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나?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는 생물다양성이 높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인위적 훼손 및 개발로부터 보호하고 있으며, 둔촌동 습지는 2000년부터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The Seoul Metropolis, 2000; The Seoul Metropolis, 2003). 둔촌동 습지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도심 속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습지로, 2003년에 습지 복원 및 조성 작업이 있었으며, 그로 인해 다양한 지형이 형성되어 좁은 면적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다양한 종들이 서식하고 있다(Jeon et al., 2008).
습지의 보전 또는 복원을 위해 서울시에서는 무엇을 행하였는가? 따라서 습지의 보전 또는 복원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는 생물다양성이 높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다양한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지역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인위적 훼손 및 개발로부터 보호하고 있으며, 둔촌동 습지는 2000년부터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The Seoul Metropolis, 2000; The Seoul Metropolis, 2003). 둔촌동 습지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도심 속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습지로, 2003년에 습지 복원 및 조성 작업이 있었으며, 그로 인해 다양한 지형이 형성되어 좁은 면적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다양한 종들이 서식하고 있다(Je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oops, H and Van der velde, G (1995). Seed dispersal,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ix helophyte species in relation to water-level zonation, Freshwater Biology, 34(1), pp. 13-20. 

  2. Cronk, JK and Fennessy, MS (2001). Wetlands Plants: Biology and Ecology, Lewis Publishers, Boca Raton. 

  3. Cronk, QCB and Fuller, JL (1995). Plant Invaders: the Threat to Natural Ecosystems, Chapman & Hall, New York, p. 241. 

  4. Ehara, K (1995).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hop (Humulus lupulus L.) and the Japanese hop (H. japonicus Sieb. et Zucc.), J.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10(4), pp. 209-237. 

  5. Faulkner, SP, Patrick, WH and Gambrell RP (1989). Field techniques for measuring wetland soil parameter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 53(3), pp. 883-890. 

  6. Han, BH, Kim, JH and Hong, SH (2003). The monitoring and ecological restoration concepts of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 Dunchon, Seoul, Korean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17(3), pp. 242-257. [Korean Literature] 

  7. Hong, SG, Gang, HJ, Kim, ES, Kim, JG, Kim, CH, Lee, EJ, Lee, JC, Lee, JS, Ihm, BS, Choung, YS, Choung, HL and Zhao, X (2005). Restoration Ecology and Engineeri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Habitats and Ecotope, Life Science. [Korean Literature] 

  8. Hong, MG, Heo, YJ and Kim, JG (2014).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rtificial wetland using emergent macrophytes for high biomass production, J. of Wetlands Research, 16(1), pp. 61-72. 

  9. Huh, MK, Choi, JS and Moon, SG (2006). Plant succession and changes on community at flooding area, J. of Life Science, 16(7), pp. 1097-1103. [Korean Literature] 

  10. Jeon, SH, Nam JM, Choi, H, Ju, EJ, Yoon, JH and Kim JG (2008). Monitoring for wetlands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Urban -A case study at Dunchon-dong wetland-, Korean J. of Nature Conservation, 6(3), pp. 127-142. [Korean Literature] 

  11. Ju, EJ and Kim, JG (2009). The Analysis of Soil Seed Bank at Major Wetlands in Nakdong River Basin and Central Korea,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5), pp. 77-91. [Korean Literature] 

  12. Kamphake, LJ, Hannah, SA and Cohen, JM (1967). Automated analysis for nitrate by hydrazine reduction, Water Research, 1(3), pp. 205-216. 

  13. Keddy, PA (1992). Assembly and response rules: two goals for predictive community ecology, J. of Vegetation Science, 3(2), pp. 157-164. 

  14. Keddy, PA and Ellis, TH (1985). Seedling recruitment if 11 wetland plant species along a water level gradient: shared or distinct response?, Canadian J. of Botany, 63(10), pp. 1876-1879. 

  15. Kim, JG and Ju, EJ (2005). Soil seed banks at three ecological preservation areas in Seoul, The Korean J. of Ecology, 28(5), pp. 271-279. [Korean Literature]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09). http://www.kma.go.kr/. 

  17. Kwon, GJ, Lee, BA, Byun, CH, Nam, JM and Kim JG (2006). The optimal environmental ranges for wetland plants: I. Zizania latifolia and Typha angustifolia,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9(1), pp. 72-88. [Korean Literature] 

  18. Lee, BA, Kwon, GJ and Kim, JG (2005). The relationship of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Wangsuk stream and Gwarim reservoir: I. water environments, The Korean J. of Ecology, 28(6), pp. 365-374. 

  19. Lee, BA, Kwon, GJ and Kim, JG (2007). The optimal environmental ranges for wetland plants: II. Scirpus tabernaemontani and Typha latifolia, J.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0(2), pp. 151-159. 

  20. Lee, C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Korean Literature] 

  21. Lee, HJ (2007). Study on local governance for ecosystem conservation are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22. Mitsch, WJ and Gosselink, JG (2000). Wetlands (Third ed.),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23. Moore, DRJ and Keddy, PA (1988). Effects of a water depth gradient on the germination of lakeshore plants, Canadian J. of Botany, 66(3), pp. 548-553. 

  24. Moser, K, Ahn, C and Noe, G (2007). Characterization of microtopography and its influence on vegetation patterns in created wetlands, Wetlands, 27(4), pp. 1081-1097. 

  25. Murphy, WJ and Riley, JP (1962). A modified single solution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osphate in natural waters, Analytica Chimica Acta, 27(1), pp. 31-36. 

  26. Park, J, Hong, MG and Kim, JG (2013). Relationship between early development of plant commun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 in abandoned paddy terraces at mountainous valleys in Korea, J. of Ecology and Environment, 36(2), 131-140. 

  27. Patrick, WH, Gambrell, RP, Jr. and Faulkner, SP (1996). Redox measurements of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and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28. Reddy, KR and Angelo, EMD (1994). Soil Processes Regulating Water Quality in Wetlands, Elsevier science, USA. 

  29. Reed, PB (1988). National list of plant species that occur in wetlands, Intermountain (Region 8),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Research and Development, Washington, DC. 

  30. Samways, MJ (1989). Insect conservation and the disturbance landscape. Agriculture, Ecosystem and Environment, 27(1-4), pp. 183-194. 

  31. Solorzano, L (1969). Determination of ammonia in natural waters by the phenolhypochlorite method, Limnology and Oceanography, 14(5), pp. 799-801. 

  32. Swerhone, GDW, Lawrence, JR, Richards, JG and Hendry, MJ (1999). Construction and testing of a durable platinum wire Eh electrode for in situ redox measurements in the subsurface, Ground Water Monitoring and Remediation, 19(2), pp. 132-136. 

  33. The Seoul Matropolis (2000). Management Master Plan of Ecological Preservation Areas in Dunchon. [Korean Literature] 

  34. The Seoul Metropolis (2003). Management Measures and Ecological Monitoring of Ecological Preservation Areas in Dunchon. [Korean Literature] 

  35. Vepraskas, MJ and Faulkner, SP (2001). Redox Chemistry of Hydric Soils, Lewis Publishers, New York. 

  36. Yoon, J, Kim, H, Nam, JM and Kim, JG (2011). Optimal environmental range for Juncus effuses, an important plant species in an endangered insect species (Nannopya pygmaea) habitat in Korea. J.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2), pp. 223-2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