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물장오리오름 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및 서식 환경 분석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fauna and habitat environment of Muljangori-oreum wetland in Jeju Island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40 no.4, 2022년, pp.363 - 373  

한중수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안채희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임정철 (국립생태원 습지센터) ,  조광진 (국립생태원 습지센터) ,  이황구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21년 4월부터 8월까지 3차례에 걸쳐 제주도 봉개동에 위치한 물장오리오름 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지점은 물장오리오름 습지를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접근이 가능한 3개 구역(1 area~3 area)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물장오리오름 습지의 서식지 환경을 분석한 결과, 월 평균기온은 7~8월에 가장 높고, 12~2월에 가장 낮은 양상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반복되었다. 월 강수량은 2017년을 제외하고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장마철인 6월부터 9월에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식생면적과 수 면적의 변동을 분석한 결과, NDVI는 2월부터 7월까지 증가하고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NDWI는 반비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2문 3강 8목 17과 26종이 출현하였으며, 정성조사 시 13과 21종, 정량조사 시 15과 24종 412개체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깔따구류(Chronomidae spp.)가 132개체(32.04%)로 확인되었으며, 자색물방개(Noterus japonicus)가 71개체(17.23%)로 아우점하였다. 본 연구와 문헌에서 확인된 출현종을 비교·분석한 결과, 딱정벌레목과 잠자리목의 종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요 섭식기능군은 Predators, 서식기능군은 Swimmers로 분석되었다. OHC-group은 2021년에 17종(73.91%)이 확인되었으며, 2016년에는 23종(79.31%), 2018년에 26종(86.67%), 2019년에 19종(79.17%)이 출현하였다.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물방개(Cybister japonicus)가 문헌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2021년에도 10개체(2.43%)가 조사되었다. 따라서 물장오리오름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물방개의 서식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와 서식지 보호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April 29, 2021 (1st), June 2 (2nd), and August 17 (3rd), we surveyed benthic macroinvertebrates fauna at Muljangori-oreum wetland in Bonggae-dong, Jeju Island, Korea. Muljangori-oreum wetland was divided into four area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ree accessible areas (areas 1-3). As a result ...

주제어

참고문헌 (32)

  1. Ahn JB and HJ Kim. 2010. Characteristics of monsoon climate in?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Clim. Res. 5(2):91-99. 

  2. Choi JY, JM Oh and SD Lee. 2021. The evaluation of carbon storage and economic value assessment of wetlands in the ciry?of Seoul. Korean J. Ecol. Infrastr. Eng. 8:120-132. https://doi.org/10.17820/eri.2021.8.2.120 

  3. Han JS, CH An, JK Choi and HG Lee. 2019. Changes in benthic?macroinvertebrates communities in response to biological?mosquito larvae control techniques. Korean. J. Environ. Biol.?37:600-606. https://doi.org/10.11626/KJEB.2019.37.4.600 

  4. Hong SJ and SW Cheong. 2020. A study on the community?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the conservation area of the Shinbulsan wetland. J. Environ.?Sci. Int. 29:1079-1088. https://doi.org/10.5322/JESI.2020.29.11.1079 

  5. Hwang YS and JS Um. 2015. Monitoring the desiccation of inland?wetland by combining MNDWI and NDVI: A case study of?Upo Wetland in south Korea. J. Korean Soc. Geospatial Inform.?Sci. 23:31-41. https://doi.org/10.12672/ksis.2015.23.6.031 

  6. Jeong SB, HS Oh, HS Jeon, KS Yang and WT Kim. 2010. Aquatic?insects fauna and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n Jeju island?wetlands. J. Wet. Res. 12:35-45. 

  7. Katayama N, T Goto, F Narushima, T Amano, H Kobori and T Miyashita. 2013. Indirect positive effects of argricultural modernization on the abundance of Japanese tree tadpoles in rice?fileds through the release from predators. Aquat. Ecol.?47:225-234. https://doi.org/10.1007/s10452-021-09916-8 

  8. Kim JY. 2013. Development of Korean thermality index using?benthic macroinvertebrates. MS Thesis, Kyonggi University.?Suwon, 

  9. Kim TH. 2009.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1100 highland, and?Mulyeongari-oreum, wetlands in JeJu island. Korean J. Geomorphol. Assoc. 16:35-45. 

  10. Koroiva R and M Pepinelli. 2019. Distribution and habitats of?aquatic insects. pp. 11-13. In: Aquatic Insect-Behavior and?Ecology (Del-Claro K and R Guillermo, eds.). Springer Cham.?Switzerland. https://doi.org/10.1007/978-3-030-16327-3_2 

  11. Kwon OK. 1990.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Korea. Mollusca (I). Ministry of Education Press. Seoul, Korea. 

  12. Lee JH, SK Yang, WY Jung and WS Yang. 2015. Estimation of?design rainfall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in Jeju island.?Korean J. Environ. Sci. Int. 24:383-391. https://doi.org/10.5322/JESI.2015.24.4.383 

  13.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3:36-71. 

  14. Matsushima R and T Yokoi. 2020. Flight capacities of three species of diving beetles (Coleoptera: Dytiscidae) estimated in?a flight mill. J. Aquat. Insects 41:332-338. https://doi.org/10.1080/01650424.2020.1804065 

  15. McCafferty WP. 1981. Aquatic Entomology: The Fisherman's and Ecologist's Illustrated Guide to Insects and Their Relatives. Science Book International. Boston, MA, USA. 

  16. McFeeters SK. 1996. The use of the normalized difference water?index (NDWI) in the delineation of open water features. Int. J.?Remote Sens. 17:1425-1432. 

  17.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168-169. 

  18. Merritt RW, KW Cummins and MB Berg. 2008. An Introduction?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4th Ed). Kendall?Hunt Publishing. Dubuque, IA. p. 1158.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Protected Areas.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pp. 493-500.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Jeju Wetland Protected Areas Monitoring.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pp. 79-81. 

  21. National Wetlands Center. 2013. General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Press. Incheon, 

  22.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Press.?New York, USA. 

  23.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16. An Introduction to the?Convention on Wetlands.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Gland, Switzerland. 

  24. Ro TH and DJ Chun. 2004. Functional feeding group categorization of Korean immature aquatic insects and community?stability analysis. Korean J. Limnol. 37:137-148. 

  25. Rouse JW, RH Hass, JA Schell and DW Deering.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pp.?309-317. In: Proceedings of the 3rd Earth Resources Technology Satellite - 1 Symposium. NASA SP-351. 

  26. Sareein N, C Phalaraksh, P Rahong, C Techakijvej, S Seok and YJ?Bae. 2019. Relationships between predatory aquatic insects?and mosquito larvae in residential areas in northern Thailand.?J. Vector Ecol. 44:223-232. https://doi.org/10.1111/jvec.12353 

  27.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IL, USA. 

  28. Shin YH, SH Kim and SJ Park. 2005. The geochemical roles and?properties of Mounyain wetland in Sinbulsan (Mt.). Korean J.?Geomorphol. Assoc. 12:133-149. 

  29. Song GR. 1995. Systematics of the Hirudinea (Annelida) in Korea.?Korea University Press. Seoul, 

  30. Song SH and KJ Choi. 2012. An appropriate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of Jeju Island with climate change(I). J.?Soil Groundwater Environ. 17:62-70. https://doi.org/10.7857/JSGE.2012.17.2.062 

  31. Wetlands Research Team. 2021. Intensive Survey on National?Inland Wetland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Korea. 

  32. Won DH, SJ Kown and YC Jun. 2005. Aquatic Insects of Korea.?Korea Ecosystem Service Co., Ltd.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