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교육시설 및 공원 내 토양 중 분원성대장균군 오염실태
Survey of fecal coliform contamination in sand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parks in Seoul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7 no.4, 2014년, pp.307 - 312  

김혜라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김능희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박형숙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김두환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  이주형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cal coliform bacteria are indicators of fecal contamination and of the potential presence of pathogens associated with animal excreta, wastewater, sludge. This study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fecal coliform in sand of the playground at educational facilities and parks in Seoul. Fecal coliform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조사에서는 교육시설 및 공원 내 토양 중에 존재하는 분원성대장균군의 오염 실태를 조사함과 동시에 분원성대장균군에 대해서는 균종별 분포 및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실시하여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원성 대장균군에는 속하는 균은 무엇인가? 5oC에서 유당을 분해하여 가스 또는 산을 발생시키는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균을 말한다. 분원성 대장균군에는 Escherichia (E) coli와 Klebsiella (K) pneumoniae 등이 있다. 한편 분원성 대장균군은 내열성 대장균군이라고도 하며 사람의 분변에서는 E.
대장균이 분변오염의 지표로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환경부에서도 2002년부터 먹는 물의 분변오염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종전에 검출하던 총대장균군 외에도 분원성대장균군 또는 대장균을 검출하도록 관계법규를 강화하였다(Park 등, 2006; 환경부, 2013). 대장균은 분변에 특이적으로 존재하지만 외부 환경에서도 발견되는데 이것은 사람과 다른 온혈 동물의 분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배출된 대장균은 외부환경에 생존은 하지만 증식되지는 않는다. 이런 이유로 대장균은 분변오염의 지표로 사용되며 식품과 물의 위생학적 측면에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Percival 등, 2004).
분원성대장균군이란 무엇인가? 실제로 어린이들이 놀이터와 공원 등에서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섭취 또는 흡입하는 오염 물질의 양은 평균 40∼200 mg으로 대부분토양과의 접촉이 원인이 된다(환경부, 2003). 분원성대장균군이라 함은 온혈동물의 배설물에서 발견되는 그람음성, 무아포성 간균으로 44.5oC에서 유당을 분해하여 가스 또는 산을 발생시키는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균을 말한다. 분원성 대장균군에는 Escherichia (E) coli와 Klebsiella (K) pneumoniae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환경부. 2003. 토지 이용 용도별 토양오염기준 및 복원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2. 환경부. 2008. 어린이 놀이터 바닥재 환경유해인자 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 

  3. 환경부. 2013. 먹는물 수질공정 시험법. 환경부고시제2013-30호 

  4. 환경부. 2014.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등에 관한 규칙. 환경부령-제553호. 

  5. Badura A, Luxner J, Feiefl G, Reinthaler FF, Zarfel G, Galler H, Pregartner G, Riedl R, Grisoid AJ. 2014. Prevalence, antibiotic resistance oatterns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Escherichia coli from Austrian sandpit. Envion Pollut 194: 24-30. 

  6. Bowen AB, Braden CR. 2006. Invasive Enterobacter sakazakii disease in infants. Emerg Infect Dis 12: 1185-1189. 

  7. Chandra M, Cheng P, Rondeau G, Porwollik S, MaClelland M. 2013. A single step multiplex PCR for identification of six diarrheagenic E. coli pathotypes and Salmonella. Int J Med Microbiol 303: 210-216. 

  8. CLSI.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2012.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twenty-second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S22. Wayne, PA, USA. 

  9. Hwang KH, Hong CK, Kim JA, Lee H, Jin YH, Sung-hee Han, Yook DH, Lee SD, Park NW, Choi BH. 2005. Contaminaion status on fecal coliforms of drinking water in seoul. Report of SIHE. 41: 266-271. 

  10. Jason W, Carolyn R. Morris, David A, Rasko. 2013. Comparative genomics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Academic press. 21-43. 

  11. Johnson JR, Stell AL, Delavari P, Murray AC, Kuskowski M, Gaastra W. 2001. Phylogenetic and pathotypic similarities between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urinary tract infections in dogs and extraintestinal infections in humans. J Infect Dis 183: 897-906. 

  12. Jung MK, Park JH. 2006. Prevalence and thermal stability of Enterobacter sakazakii from unprocessed ready-to-eat agricultural products and powdered infant formulas. Food sci biotecnol 15: 152-157. 

  13. Jung SK, Song HM, Yoon SH, Lee JC, Kim YH, Park KJ, Park JT, Kim DS. 2009. A study on the soil pollution in the children's playground of Gwangju area. Kor Soc Waste Manag 26: 168-174. 

  14. Kasia PK, Nevers MB, Breitenbach C, Whitman RL. Recretional water quality response to filtering barrier at a great lake beach. J Environ manage 129: 635-641. 

  15. Kim HT, Lee WW, Jung KT, Lee SM, Son EJ, Lee GR, Kim GH, Lee DS, Lee KW. 2007a. Study on antimicrobial resistances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domestic beef on sale. Kor J Vet Serv 31: 17-29. 

  16. Kim KA, Lee BO, Kim OM, Hur MJ, Kim KT, Ro JI, Choe CS, Go JM, Kim YH. 2007b. A study on pollution of spring in Incheon area. Kor J Sani 22: 35-50. 

  17. Kuzina LV, Peloquin JJ, Vacek DC, Miller TA. 200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associated with adult laboratory mexican fruit flies, Anastrepha ludens (Diptera: Tephritidae). Curr Microbiol 42: 290-294. 

  18. Lee YO, Cho JR, Kim SH, Kim SD, Huh SN, Lee HJ. 2006a. Comparative studies on detecting methods for fecal indicators. J Korean Soc on water environment & water wastewater. 414-419. 

  19. Lee JB, Kim GB, Jung K, Kim MY. 2006b. The Evaluation on the pollution level of playgrounds for children in Seoul metropolitan. Kor Soc Environ health 32: 249-253. 

  20. Lim SK, Lee JY, Park SY, Jung SC. 2007. Antimicrobial resistance of commensal bacteria isolated from food-producing animals II. Antimicrobial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and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pig fecal samples. Kor J Vet Pub Health 31: 31-39. 

  21. Luna GM, Vignaroli C, Rinaldi C, Pusceddu A, Nicoletti L, Gabellini M, Danovaro R, Biavasco F. 2010. Extraintestinal Escherichia coli Carrying Virulence Genes in Coastal Marine Sediments. App Environ Microbiol 76: 5659-5668. 

  22. Matsuo J, Nakashio S. 2005. Prevalence of fecal contamination in sandfits in public parks in Sapporo city, Japan. Vet Parasitol 128: 115-119. 

  23. Mudryk Z, Perlinski P, Skorcaewski P. 2010. Detection of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inhabiting the sand of non-recreational marine beach. Marine pollution Bulletin. 60: 207-214. 

  24. Muytijens HL, Kollee LAA. 1990. Enterobacter sakazakii meningitis in neonates causative role of fomula. Pediatr Infect. Dis J 9: 372-373. 

  25. Park HK, Shin KD, Kim JY, Kong DS. 2009. Distribution of coliform and fecal coliform bacteria in lake paldang. J Korean Soc on Water Environment & Water Wastewater. 661-663. 

  26. Park JE, Kim SD, Cho JR, Kim SH, Lee HJ, Lee YO. 2006. Comparative studies on detecting methods of fecal indicators (coliforms) in surface water. J Kor Soc Water Qual 22: 1052-1059. 

  27. Percival SL, Chalmer RM, Embrey M. 2004. Microbiology of Water-borne Diseases. ELSEVIER. press 2nd edt.: 71-90. 

  28. Sengur G, Oner YA. The examination of intestinal flora and parasites in dogs and the role of the contamination of the playgrounds sand with feces. 2005. Turk Mikrobiyol Cem Derg 35: 57-66. 

  29. Smith JL, Fratamico PM, Gunther NW. 2007. Extraintestinal pathogenic Escherichia coli. Foodborne Pathog Dis 4: 134-163. 

  30. Whitman RL, Harwood VJ, Edge TA, Nevers MB. 2014. Microbes in beach sands:integrating environment, ecology and public health. Rev Environ Sci Biotecnol 13: 329-3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