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ensitiv ImagoTM 측정 환아의 BMI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Measurement Results Using Sensitiv ImagoTM in Pediatric Patients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8 no.4, 2014년, pp.138 - 146  

윤상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임상한의학과 소아과학교실) ,  김덕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임상한의학과 소아과학교실) ,  이진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임상한의학과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the Sensitiv $Imago^{TM}$ in pediatric patient.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79 children, who were 5 to 18 years old. They were tested using Sensitiv $Imago^{TM}$. The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O한방병원 한방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한 만 5-18세의 소아 청소년 환아 79명을 대상으로 신장, 체중, Sensitiv ImagoTM 측정검사를 시행하여 BMI와 SI측정값의 상관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본 연구에서 Sensitiv ImagoTM를 이용하여 측정한 다양한 질환군의 환아 79명의 Sensitiv ImagoTM 측정값과 체질량지수 (BMI)의 상관관계에 대해 관찰한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과 양의 상관성을 보이는 요인은? 비만으로 인한 대사 및 심혈관계 이상은 소아기 부터 나타나고, 성인기의 인슐린 저항 및 제2형 당뇨병 발생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비만은 당대사 변화와 간 지방 침윤 등을 초래하며, 고콜레스테롤증, 고혈압 등 심혈관계 위험요인과 양의 상관성을 보이며, 나아가 동맥경화과정을 가속화시킨다20-22). 또한 비만아동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다23).
WHO가 정의한 비만에 해당하는 체질량지수는? 소아청소년의 비만 진단에 대한 기준은 논란이 되고 있으나 소아청소년의 경우 신체지방량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간단하고용이한 방법으로 체질량지수 (BMI)를 권고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BMI는 아동과 성인에 있어 신체지방량과 상관성이 높기 때문에 WHO는 BMI가 25.0 kg/m2이상일 경우를 비만으로 분류하였으며, 아시아지역에서는 과체중의 기준을 BMI 23.0 kg/m2이상, 비만은 25.0 kg/m2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8-9). 1999년 대한소아과학회 영양위원회 및 보건 통계위원회에서도 BMI 지수가 85-94 백분위수면 추적 관찰할 대상인 비만 위험군 (과체중)으로 분류하였고, 2-18세 소아청소년의 비만의 기준은 해당 연령의 체질량지수 (BMI) 의 95백분위수 이상으로 정의하고 단, 체질량지수 25 kg/m2 이상인 경우는 연령별 백분위수 분포와 무관하게 비만으로 정의한다10).
체질량지수은 어떤 지표인가? 비만의 기준으로 체질량지수 (BMI)를 사용하는데 체질량지수는 체지방률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질병이환 및 사망률과의 관련성이 입증되어 있는 비만지표이다5-7). 소아청소년의 비만 진단에 대한 기준은 논란이 되고 있으나 소아청소년의 경우 신체지방량을 직접 측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간단하고용이한 방법으로 체질량지수 (BMI)를 권고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jou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depth Analyses of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Health Examinati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65-100. 

  2. Hedley AA, Ogden CL, Johnson CL, Carroll MD, Curtin LR, Flegal KM.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US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1999-2002. JAMA. 2004;291(23):2847-50. 

  3. Oh KW, Jang MJ, Lee NY, Moon JS, Lee CG, Yoo MH, Kim YT.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1997 and 2005. Korean J Pediatr. 2008;51(9):950-5. 

  4. Barness LA, Dallman PR, Anderson H. Nutritional aspect of obesity in infancy and childhood. Pediatrics. 1981;68(6):880-6. 

  5. Pietrobelli A, Faith MS, Allison DB, Gallagher D, Chiumello G, Heymsfield SB. Body mass index as a measure of adipo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 validation study. J Pediatr 1998;132(2):204-10. 

  6. Jo GB, Park SB, Park SC, Lee DH, Lee SJ, Seo SJ. The prevalence and trend of obesl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Pediatr. 1989;32(5):597-605. 

  7. Pinhas-Hamiel O, Dolan LM, Daniels SR, Standiford D, Khoury PR, Zeitler P. Increased incidence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J Pediatr. 1996;128(5):608-15. 

  8. Freedman DS, Khan LK, Serdula MK, Dietz WH, Srinivasan SR, Berenson GS. Inter-relationships among childhood BMI, childhood height, and adult obesity: the Bogalusa Heart Study. Int J Obes. 2004;28:10-6. 

  9. WHO/IASO/IOTF.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Australia: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56. 

  10. Lee SY, Nam CM, Kim JH, Oh KW, Kim YN, Kang YJ, Kim SJ, Jang MJ. Development of growth curves and the criteria of obes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7:124-5. 

  11. Weiss R, Dziura J, Burgert TS, Tamborlane WV, Taksali SE, Yeckel CW, Allen K, Lopes M, Savoye M, Morrison J, Sherwin RS, Caprio S.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 Engl J Med. 2004;350(23):2362-74. 

  12. Shin C, Joo SJ, Kim JK, Kim T.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habitual snoring in high school students. Chest. 2003;124(5):1709-15. 

  13. Redline S, Tishler PV, Schluchter M, Aylor J, Clark K, Graham G. Risk factors for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Associations with obesity, race, and respiratory problems.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9;159(5):1527-32. 

  14. Sandhu J, Ben-Shlomo Y, Cole TJ, Holly J, Smith DG. The impact of childhood body mass index on timing of puberty, adult stature and obesity: a follow-up study based on adolescent anthropometry recorded at Christ's Hospital (1936-1964). Int J Obes. 2006;30(1):14-22. 

  15. August GP, Caprio S, Fennoy I, Freemark M, Kaufman FR, Lustig RH, Silverstein JH, Speiser PW, Styne DM, Montori VM.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ediatric obesity: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based on expert opinion. J Clin Endocrinol Metab. 2008;93(12):4576-99. 

  16. Sensitiv Imago. Sensitiv Imago Technology Official EU Office. Praque. 2014. available from http://sensitivimago.com (accessed October 20 2014). 

  17. Han JH, Kim DG, Lee JY. The measurement results of duchenne muscular dystrophy patient using Sensitiv ImagoTM and Ryodoraku. J Pediatr Korean Med. 2014;28(3):74-84. 

  18. Kim MJ, Kim DG, Lee JY. Report of Sensitiv ImagoTM test results in tic disorder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2014;28(3):85-101. 

  19. The Sensitivimago Technology Europe. available from: http://www.sensitivimago.eu/ (accessed October 20 2014). 

  20. Feedman DS, Srinivasan SR, Berensen GS. Risk of cardiovascular complication: Burniat W, Cole TJ, Lissau I, Poskitt EME. Child and adolescent obesity: causes and consequences, prevention and manage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221-39. 

  21. Figueroa-Colon R, Franklin FA, Lee JY, Aldridge R, Alexander L. Prevalence of obesity with increased blood pressure in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South Med J. 1997;90(8):806-13. 

  22. Weiss R, Caprio S. The metabolic consequences of childhood obesity. Best Pract Clin Endocrinol Metab. 2005;19(3):405-19. 

  23. Speiser PW, Rudolf MJ, Anhalt H, Camacho-Hubner C, Chiarelli F, Eliakim A, Freemark M, Gruters A, Hershkovitz E, Lughetti L, Krude H, Latzer Y, Lustig RH, Pescovitz OH, Pinhas-Hamiel O, Rogol AD, Shalitin S, Sultan C, Stein D, Vardi P, Werther GA, Zadik Z, Zuckerman-Levin N, Hochberg Z. Childhood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5:90(3):1871-87. 

  24. Guo SS, Roche AF, Chumlea WC, Gardner JD, Siervogel RM. The predictive value of childhood body mass index values for overweight at age 35 years. Am J Clin Nutr. 1994;59(4):810-9. 

  25. Nieto JF, Szklo M, Comstock GW. Childhood weight and growth rate as predictors of adult mortality. Am J Epidemiol. 1992;136(2):201-13. 

  26. Must A, Jacques PF, Dallal GE, Bajema CJ, Dietz WH. Long-term morbidity and mortality of overweight adolescents: a follow-up of the Harvard Growth Study of 1922 to 1935. N Engl J Med. 1992;327(19):1350-5. 

  27. Huh-Joon. Donguibogam. Seoul: Donguibogamchulpansa. 2005:986-7. 

  28. Sensitiv Imago, Alpha-Med Ukraine presents, Ukraine, Kiev, 2013. available from http://www.aur-um.com.ua/eng/metod.htm (accessed October 20 2014).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bmi/index.jsp?introPageintro_3.html(accessed online May 2014). 

  30. Oh SW. Diagnostic criteria for childhood obesity. J Korean Obes. 2008;17(4):188-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