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ensitiv ImagoTM 측정에 의한 야뇨증 환아의 검사 결과 보고
The Measurement Results of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Using Sensitiv ImagoTM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8 no.4, 2014년, pp.125 - 137  

최원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덕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진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using Sensitiv $Imago^{TM}$. Methods Twenty nocturnal enuresis children were tested using Sensitiv $Imago^{TM}$. Results 10 cases showed the lowest score at filter $#5^*$ and 7 ca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저자는 SI기계를 이용하여 20명의 夜尿症환아들을 측정한 결과들을 보고하는 바이다.
  • 야뇨증 환아 20례의 SI기계를 이용한 검사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차성 아뇨란? 야뇨를 분류해보자면 소변을 가린 적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일차성과 이차성 야뇨로 구분한다. 일차성 아뇨 (primary nocturnal enuresis)란 최소한 6개월동안 한번도 소변을 가려본 적이 없는 경우를, 이차성 야뇨 (secondary nocturnal enuresis)란 이 기간동안에는 소변을 가린 적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최근에는 방광의 기능장애 여부에 따라서 단일 증상성 야뇨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와 비단일 증상성 야뇨 (non-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로도 분류한다.
야뇨는 어떤 의미로 여겨져왔는가? 현재까지 야뇨의 연구는 야뇨와 유뇨가 혼합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즉, 야뇨는 유뇨 중 야간에 일어나는 유뇨의 의미로 여겨졌다. 그렇지만, 최근 야뇨에 관한 많은 임상적인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ICCS는 주간유뇨의 증상을 가진 경우를 정확히 주간실금이라고 명명하였다.
한국에서의 야뇨증 유병률은? 이 등2,3)의 연구에 의하면 한국에서의 유병률은 전체 유뇨는 12.8%, 야뇨만 있는 경우 2.1%, 야뇨와 주간 유뇨를 겸하는 경우 9.4%, 주간 유뇨만 있는 경우는 1.3%였다. 이처럼 야뇨는 소아과 외래에서 흔히 볼 수있는 질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DG, Kim YH, Kim JH, Park YJ, Baek JH, Lee SY, Lee JY, Jang GT. Dongui soagwahak. Seoul: Jungdam. 2002:528-9. 

  2. Lee SD, Sohn DW, Lee JZ, Park NC, Chung MK. An epidemiological study of enuresis in Korean children. BJU Int. 2000;85(7):869-73. 

  3. Hjalmas K, Arold T, Bower W, Caione P, Chiozza LM, Von Gontard A, Han SW, Husman DA, Kawauchi A, Lackgren G, Lottmann H, Mark S, Rittig S, Robson L, Van De Walle J, Yeung CK. Nocturnal enuresis: an international evidence based management strategy. J Urol. 2004;171:2545-61. 

  4. Van Gool JD, Nieuwenhuis E, ten Doeschate IO, Messer TP, de Jong TP. Subtypes in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 Scand J Urol Nephrol. 1999;202:8-11. 

  5. Husmann DA. Enuresis. Urology. 1995;18:184-94. 

  6. Wille S. Primary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background and treatment. Scand J Urol Nephrol. 1994;156:1-48. 

  7. Doo HG. Donguisingyehak. Seoul: Dongyanguihakyeonguwon. 1993:64-84. 

  8. Hon YE. Soagwahak. Seouk: Daehangyogwaseojoosikhowsa. 1993:762-3. 

  9. Sensitiv Imago. Sensitiv Imago Technology Official EU Office. Praque. 2014. available from http://sensitivimago.com 

  10. Parkeonhwijonghapnaegwa. 2005. available from http://www.endoscopy.or.kr/ 

  11. Donga.com. 2009. available from http://healthe.donga.com/ 

  12. Doo HG. Donguisingyehak. Seoul: Dongyanguihakyeonguwon. 1993:64-84. 

  13. Sensitiv Imago. Alpha-Med Ukraine presents. Ukraine, Kiev; 2013. available from: http://www.aur-um.com.ua/eng/metod.htm (accessed May 2014). 

  14. Hjalmas K, Arold T, Bower W, Caione P, Chiozza LM, Von Gontard A, Han SW, Husman DA, Kawauchi A, Lackgren G, Lottmann H, Mark S, Rittig S, Robson L, Van De Walle J, Yeung CK. Nocturnal enuresis: an international evidence based management strategy. J Urol. 2004;171:2545-61. 

  15. Van Gool JD, Nieuwenhuis E, ten Doeschate IOM, Messer TP, de Jong TPVM. Subtypes in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 Scand J Urol Nephrol. 1999;suppl 202:8-11. 

  16. Butler RJ, Holland P. The three systems. A conceptual way of understanding nocturnal enuresis. Scand J Urol Nephrol. 2000;34:270-7. 

  17. Devitt H, Holland P, Butler R, Redfern E, Hiley E, Roberts G. Plasma vasopressin and response to treatment in primary nocturnal enuresis. Arch Dis Child. 1999;80:448-51. 

  18. Thiedke CC. Nocturnal enuresis. Am Fam Physician. 2003;67(7):1499-506. 

  19. Etiology and evaluation of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2014. UpToDate. 

  20. Yeung CK, Chiu HN, Sit FK. Sleep disturbance and bladder dysfunction in enuretic children with treatment failure: fact or fiction?. Scand J Urol Nephrol Suppl 1999;202:20-3. 

  21. Neveus T, Hetta J, Cnattingius S, Tuvemo T, Lackgren G, Olsson U, Stenberg A. Depth of sleep and sleep habits among enuretic and incontinent children. Acta Paediatr. 1999;88:748-52. 

  22. Bailey JN, Ornitz EM, Gehricke JG, Gabikian P, Russell AT, Smalley SL. Transmission of primary nocturnal enuresis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cta Paediatr. 1999;88:1364-8. 

  23. Bakwin H. Enuresis in twins. Am J Dis Child. 1971;121:222-5. 

  24. Fergusson DM, Horwood LJ, Shannon FT. Factors related to the age of attainment of nocturnal bladder control : an 8-year longitudinal study. Pediatrics. 1986;78:884-90. 

  25. Persson-Junemann C, Seemann O, Kohrmann KU, Junemann KP, Alkrn P. Comparison of urodynamic findings and response to oxybutynin in nocturnal enuresis. Eur Urol. 1993;24:92-6. 

  26. Robert M, Averous M, Besset A, Carlander B, Billiard M, Guiter J. Sleep polygraphic studies using cystomanometry in twenty patients with enuresis. Eur Urol. 1993;24:93-6. 

  27. Jo HC. Seongjechongron. Taipei: Sinmonyechulpangongsa. 1978:804. 

  28. Jang GY. Gyeongakjeonseo. Seoul: Dongyangjonghaptongsingyoyukchulpansa. 1982:509-11. 

  29. Lim PG. Yujeungchije. Taipei: Yeopungchulpansa. 1970:482-3. 

  30. O HG, Won JH. A literature study for estimated factors and treatment of enuresis. J Pediatr Korean Med. 1998;2:47-54. 

  31. Daehanbinyogigwahakhoe. Endourology. Seoul: Goryeouihak; 1996:371-2. 

  32. Kim MJ, Kim DG, Lee JY. Report of Sensitiv ImagoTM test results in tic disorder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2014;28(3):85-101. 

  33. Han JH, Kim DG, Lee JY. A case report : the measurement results of Duchenne Muscular Dystrophy patient using Sensitiv ImagoTM and Ryodoraku. J Pediatr Korean Med. 2014;28(3):78-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