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BCT와 치과용 현미경을 이용한 C형 근관을 가지는 하악 제1소구치의 근관치료
Endodontic management of mandibular first premolar with C-shaped canals b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d dental operating microscope 원문보기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30 no.4, 2014년, pp.324 - 328  

장훈상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존학교실) ,  김민정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산본치과병원 치과보철과) ,  이석련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존과) ,  홍성옥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인에서는 하악 소구치의 변이가 매우 드물게 나타나며, 변이는 하악 소구치 근관치료시 성형과 세정으로 자극원의 제거를 어렵게 하여 근관치료의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C형의 드문 근관 형태를 가지는 하악 제1소구치를 CBCT를 촬영하여 복잡한 치아의 내부 형태를 확인한 후, 치과용 현미경을 사용해 확대된 시야와 개선된 조명하에서 성공적으로 근관치료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berrant anatomy of mandibular premolars is very rare in Korean, but aberration can contribute the endodontic failure as it makes difficult to remove the irritants during cleaning and shaping procedure.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successful root canal treatment of a rare mandibular first premo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CBCT와 치과용 현미경을 사용하여 한국인에서 드물게 나타나는 C형 근관을 가지는 하악 제1소구치를 근관치료하여 성공적인 치유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관치료의 목적은 어디에 있는가? 근관치료의 목적은 성형과 세정을 통해 치수 공간에 존재하는 감염되거나 괴사된 치수조직을 제거하고 미생물이 침입할 수 없도록 생체불활성 물질로 완전하게 밀폐하는 것이다. 근관치료의 성공률은 53 - 94%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데, 근관치료가 실패하는 원인은 근관 치료 중의 부적절한 세정, 성형, 충전, 의원성 손상, 또는 치근파절이나 근관치료 후 치관부 밀폐 소실로 인한 근 관계의 재감염이다.
근관치료가 실패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근관치료의 목적은 성형과 세정을 통해 치수 공간에 존재하는 감염되거나 괴사된 치수조직을 제거하고 미생물이 침입할 수 없도록 생체불활성 물질로 완전하게 밀폐하는 것이다. 근관치료의 성공률은 53 - 94%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데, 근관치료가 실패하는 원인은 근관 치료 중의 부적절한 세정, 성형, 충전, 의원성 손상, 또는 치근파절이나 근관치료 후 치관부 밀폐 소실로 인한 근 관계의 재감염이다. 1 근관치료시 발견하지 못한 부가적인 근관이 있는 경우에도 근관치료는 실패할 수 있다.
근관치료 시 발견하지 못한 근관은 어떤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가? 1 근관치료시 발견하지 못한 부가적인 근관이 있는 경우에도 근관치료는 실패할 수 있다. 치료되지 않은 근관에 감염된 치수조직, 세균, 자극원들이 남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분해되어 만들어진 독성산물들이 치수병소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 2 발견되지 않은 부가적인 근관으로 인한 치료 실패들이 많이 보고 되었는데, 하악 전치부에서 설측근관, 상악 제1대구치에서 근심설측근관, 하악 대구치에서 근심중앙근관들이 주를 이루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Wong R. Conventional endodontic failure and retreatment. Dent Clin North Am 2004;48:265-89. 

  2. Ruddle CJ. Nonsurgical endodontic retreatment. J Calif Dent Assoc 2004;32:474-84. 

  3. Hwang YH, Min KS. Clinical management of 3 mandibular incisors with 2 separate canals and foramina: case report. J Can Dent Assoc 2005;71:388-9. 

  4. Witherspoon DE, Small JC, Regan JD. Missed canal systems are the most likely basis for endodontic retreatment of molars. Tex Dent J 2013;130:127-39. 

  5. La SH, Jung DH, Kim EC, Min KS. Identification of independent middle mesial canal in mandibular first molar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ing. J Endod 2010;36:542-5. 

  6. Ingle JI, Bakland LK, Baumgartner JC. Ingle's endodontics. 6th ed. Ontario; BC Decler; 2007. p. 194-202. 

  7. Kottoor J, Albuquerque D, Velmurugan N, Kuruvilla J. Root anatomy and root canal configuration of human permanent mandibular premolars: a systematic review. Anat Res Int 2013;2013:254250. 

  8. Park JB, Kim N, Park S, Kim Y, Ko Y. Evaluation of root anatomy of permanent mandibular premolars and molars in a Korean population wit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Eur J Dent 2013;7:94-101. 

  9. Melton DC, Krell KV, Fuller MW. Anatom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C-shaped canals in mandibular second molars. J Endod 1991;17:384-8. 

  10. Matherne RP, Angelopoulos C, Kulild JC, Tira D. Use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to identify root canal systems in vitro. J Endod 2008;34:87-9. 

  11. Hoen MM, Pink FE. Contemporary endodontic retreatments: an analysis based on clinical treatment findings. J Endod 2002;28:834-6. 

  12. Buhrley LJ, Barrows MJ, BeGole EA, Wenckus CS. Effect of magnificaiton on locating the MB2 canal in maxillary molars. J Endod 2002;28:3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