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할로겐형 phosphate계 난연제의 합성 및 특성결정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n-halogen Type Phosphorus-Based Flame Retardants 원문보기

Elastomers and composites = 엘라스토머 및 콤포지트, v.49 no.4, 2014년, pp.313 - 322  

한영균 (태광산업(주) 중앙연구소) ,  민성기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박찬영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난연제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할로겐 함유 난연제는 사용상 환경적인 제한을 받고 있어서 비할로겐타입인 인계에 기초한 난연제가 각광을 받고 있다. 난연제는 수지에 가해지는 경우에 흔히 열분해와 기계적 특성저하를 일으킨다. 물성의 열화를 최소화하고 충분한 난연성을 얻기 위한 시도로 새로운 난연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있어서는 diaryl alkyl phosphate esters, aromatic phosphate esters 및 phosphonium nitron 난연제 등 세가지 형태의 비할로겐 인계에 기초한 난연제를 합성하여 GC, IRTGA 등으로 합성 및 열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many types of flame retardants, the most available halogen-containing flame retardants were put under environmental restrictions in their use, so non-halogen type phosphorus-based flame retardants have come into the spotlight. When added to resins, flame retardants commonly bring about therm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 Phosphonium nitron계 난연제의 경우 3400 cm-1 부근에서 생긴 peak로 N-H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Figure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분해 온도는 두 부분으로 나타나는 데 상대적으로 열안정성이 낮은 포스페이트 부분이 287℃에서 먼저 분해가 일어나고 이어서 ammonium phosphate 부분은 364℃에서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 Figure 11은 phosphonium nitron계 난연제의 IR spectrum이다. 3400 cm-1 부근에서 생긴 peak로 N-H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Phosphorus oxycloride의 투입 후 진행되는 반응에서 다량의 HCl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 난연제의 합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GC를 사용하였으며, 열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TGA를 측정하였다. A type의 난연제 합성 중 합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2차 반응 중 3시간 단위로 monooctyl diphenyl phosphate (MODPP), dioctyl monophenyl phosphate (DOMPP), triphenyl phosphate (TPP), trioctyl phosphate (TOP)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Figure 6에서 볼 수 있는 peak 중 21분 대부터 23분 사이에 나오는 peak들은 빠른 peak 부터 DOMPP, MODPP, TPP 순이다.
  • Aromatic phosphate ester계 난연제의 합성은 triphenyl phos- phate (TPP)와의 에스테르 치환반응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aliphatic alcohol이 아닌 resorcinol과 같은 diol의 구조를 갖는 aromatic diol 형태의 치환기를 사용하였다.
  • IR 분석은 FT-IR (JASCO, FTIR-6200)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이 때 파장범위는 4,000∼400 cm-1에서 분석하였다.
  • 적가 후 125~135℃에서 반응을 진행시키는데 반응 종료 시점은 HCl gas의 발생이 멈출 때까지 진행 시킨다. 가스의 발생이 멈추고 완전히 반응이 종결되면 29%-암모니아수를 이용하여 중화를 진행하였다. 중화시 NH4 기의 도입으로 인하여 암모늄 알킬 포스페이트가 생성되게 된다.
  • IR 분석은 FT-IR (JASCO, FTIR-6200)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이 때 파장범위는 4,000∼400 cm-1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TGA 분석은 TGA Q5000 (TA Instruments Co.)에 의하여 질소 기류하에서 20℃/min의 가열속도로 행하였다.
  • 난연제의 합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GC를 사용하였으며, 열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TGA를 측정하였다. A type의 난연제 합성 중 합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2차 반응 중 3시간 단위로 monooctyl diphenyl phosphate (MODPP), dioctyl monophenyl phosphate (DOMPP), triphenyl phosphate (TPP), trioctyl phosphate (TOP)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 Aromatic phosphate ester계 난연제의 합성은 triphenyl phos- phate (TPP)와의 에스테르 치환반응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aliphatic alcohol이 아닌 resorcinol과 같은 diol의 구조를 갖는 aromatic diol 형태의 치환기를 사용하였다. 온도계, 콘덴서, N2 가스튜브 및 mechanical stirrer를 설치한 1L kettle을 사용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촉매로는 에스테르 치환반응에서 사용되는 촉매(K2CO3, Na2CO3, MgCl2, H2SO4, p-TSA)를 비교하여 가장 반응율이 좋은 potasium carbonate (K2CO3)를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할로겐계로서 인을 기초로 한 diaryl alkyl phosphate esters, aromatic phosphate esters 및 phospho- nium nitron 등 세 종류의 난연제를 합성하여 GC, IR 및 TGA 등을 이용하여 특성을 검토하였다.
  • 합성의 반응 속도 및 반응 수율은 반응 중 생성되는 염화수소 가스를 원활하게 제거해 주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험에서는 무용매 조건에서 질소를 지속적으로 버블링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20 Table 2는 phosphorus oxycloride와 alcohol의 반응 몰비/시간에 따른 반응 조건을 나타낸 표이고 Table 3은 그에 따른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또한 이 실험에서 중요한 점은 반응이 가역반응이기 때문에 감압증류 장치를 준비하여 반응 중간 계속 TPP에서 떨어져 나오는 phenol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에스테르 치환반응 적정 반응온도를 선정하고자 반응물 몰비 (TPP : Resorcinol)를 1 : 0.5로 고정하고, 촉매의 양도 0.03mol로 고정하여 다양한 반응 온도(110 ~ 175℃)에서 실험을 진행하여 반응 시간에 따른 반응율을 확인하였다. 최적 반응 온도가 130℃임을 확인한 후 반응몰 비의 변화를 통하여 최적 반응 조건을 확인하였다.
  • Diaryl monoalkyl phosphate 계열의 인산 에스테르형 난연제인 diphenyl monooctyl phosphate (DPMOP)를 합성하기 위해서 phosphorus oxychloride를 이용하였다. 온도계, 콘덴서, N2 가스 튜브 및 mechanical stirrer를 설치한 1L kettle을 사용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1 mole의 phosphorous oxychloride와 3 mole의 알코올(2 mol phenol, 1 mol octanol)을 통하여 선택적인 인산화 반응 (phosphorylation process)을 진행하였다. 즉, 반응 초기에 반응성이 미흡한 phenol을 1차 투입하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 반응성이 우수한 octanol을 투입하였다.
  • 온도계, 콘덴서, N2 가스 튜브 및 mechanical stirrer를 설치한 1L kettle을 사용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1 mole의 phosphorous oxychloride와 3 mole의 알코올(2 mol phenol, 1 mol octanol)을 통하여 선택적인 인산화 반응 (phosphorylation process)을 진행하였다. 즉, 반응 초기에 반응성이 미흡한 phenol을 1차 투입하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 반응성이 우수한 octanol을 투입하였다. phenol 투입 시에는 내부온도를 100℃로 유지하고, octanol 투입 후 120℃로 승온시켜 반응을 진행 하였다.
  • 할로겐계 난연제의 사용에 대한 각종 환경규제가 심화되면서 할로겐계를 대체할 수 있을만한 난연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diaryl alkyl phosphate ester계(A), aromatic phosphate ester계(B), phosphonium nitron계(C) 난연제를 합성하여 물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모든 시약은 정제없이 바로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시약 및 약품들의 물성 및 제조사 등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합성한 난연제의 특성평가를 위하여 GC, IR, TGA 등의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GC (Japan, Shimadzu, Model 명: GC 2010)를 사용하여 시료내의 휘발성분을 분석하였다. IR 분석은 FT-IR (JASCO, FTIR-6200)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이 때 파장범위는 4,000∼400 cm-1에서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Diaryl monoalkyl phosphate 계열의 인산 에스테르형 난연제인 diphenyl monooctyl phosphate (DPMOP)를 합성하기 위해서 phosphorus oxychloride를 이용하였다. 온도계, 콘덴서, N2 가스 튜브 및 mechanical stirrer를 설치한 1L kettle을 사용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1 mole의 phosphorous oxychloride와 3 mole의 알코올(2 mol phenol, 1 mol octanol)을 통하여 선택적인 인산화 반응 (phosphorylation process)을 진행하였다.
  • 이 과정은 mono alkyl phosphate를 합성하는 과정이다. 알킬기의 chain 길이에 따라 다양한 알코올 (ethanol, propanol, hexyl alcohol, octanol, lauryl alcohol, cetyl alcohol, stearyl alco- hol)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60℃ 이하로 냉각 후 triethanol amine을 적가 하였다.
  •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aliphatic alcohol이 아닌 resorcinol과 같은 diol의 구조를 갖는 aromatic diol 형태의 치환기를 사용하였다. 온도계, 콘덴서, N2 가스튜브 및 mechanical stirrer를 설치한 1L kettle을 사용하여 질소 기류 하에서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촉매로는 에스테르 치환반응에서 사용되는 촉매(K2CO3, Na2CO3, MgCl2, H2SO4, p-TSA)를 비교하여 가장 반응율이 좋은 potasium carbonate (K2CO3)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 실험에서 중요한 점은 반응이 가역반응이기 때문에 감압증류 장치를 준비하여 반응 중간 계속 TPP에서 떨어져 나오는 phenol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범용 유기고분자 수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인구 증가에 따라 부족한 택지의 효율화를 위하여 주택의 고층화 및 건물 밀집화 지역이 확대됨에 따라 화재 발생 요인이 증가하여 해마다 수천 건의 화재로 재산 손실과 인명 피해가 발생하므로 난연 성능, 내구성 및 안정성에 관한 엄격한 관리가 시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범용 유기고분자 수지는 열에 약하고 연소 시 열에 의한 고분자 사슬의 분해 및 다량의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며 이 때 생성되는 분해물질이 공기 중의 산소 등과 반응하여 연소를 일으키고 발생하는 열이 다시 고분자 사슬을 분해함으로써 지속적인 연소와 다량의 연기 및 높은 연소열이 발생한다.1,2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유기고분자의 연소가 일어나고 이 때 발생하는 가스는 매우 유독하기 때문에 고분자 수지의 난연화에 관한 중요성이 증대하였다.
난연제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난연제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할로겐 함유 난연제는 사용상 환경적인 제한을 받고 있어서 비할로겐타입인 인계에 기초한 난연제가 각광을 받고 있다. 난연제는 수지에 가해지는 경우에 흔히 열분해와 기계적 특성저하를 일으킨다.
현재 인계 난연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난연제에서 환경규제의 주요 대상으로는 decabromo diphenylether (DBDPE), decabromo bi-phenyl (DBBP) 등과 같은 할로겐 계열의 난연제가 거론되고 있으며 그 여파가 할로겐계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비 할로겐계 난연제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13∼16 대표적인 인계 난연제로는 적인, 인산에스테르 (phosphate),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포스피네이트 (phosphinate), 포스핀옥사이드 (phosphine oxide), 포스파젠 (phosphazene) 등이 있으며 Figure 1에 다양한 종류의 인계 난연제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었다.17∼19 적인은인으로만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적갈색을 띄므로 여러 색상을 얻기가 용이하지 않아 용도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가공 중에 포스핀(PH3)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을 코팅하여 사용하거나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F. Grand, C. A. Wilkie. Fire retardancy of polymeric materials. New York: Marcel Dekker, Inc; (2000). 

  2. J. Troitzsch, International plastics flammability handbook. 2nd ed. New York: Hanser Publishers; (1990). 

  3. B. Y. Jo, S. C. Moon, J. K. Choi,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the Flame Retarded NBR Foams with Phosphorus/ Nitrogen-Containing Flame Retardants" Elast. Compos., 39, 105, (2004). 

  4. H. Horacek, R. Grabner, "Advantages of flame retardants based on nitrogen compounds", Polym. Degrad. Stab., 54, 205, (1996). 

  5. S. Gaan, G. Sun, K. Hutches, M. H. Engelhard, "Effect of nitrogen additives on flame retardant action of tributyl phosphate: Phosphorus-nitrogen synergism", Polym. Degrad. Stab., 93, 99 (2008). 

  6. S. V. Levchik, A. I. Balabanovick, G. F. Levchik, L. Cost, "Effect of melamine and its salts on combustion and thermal decomposition of polyamide 6", Fire and Materials, 21, 75 (1997). 

  7. P. Gijsman, R. Steenbakkers, C. Furst, J. Kersjes, "Differences in the flame retardant mechanism of melamine cyanurate in polyamide 6 and polyamide 66", Polym. Degrad. Stab., 78, 219, (2002). 

  8. M. Thirumal, D. Khastgir, N. K. Singha, B. S. Manjunath, Y. P. Naik. "Effect of foam density on the properties of water blown rigid polyurethane foam", J. Appl. Polym. Sci., 180, 1810, (2008). 

  9. J. Green, in Fire Retardant of Polymeric Materials, A. F. Grand and C. A. Willkie, Editors, New York : Marcel Deeker, Chap.5 (2000). 

  10. G. L. Nelson in Fire and Polymer II, G. L. Nelson, Editor, ACS Symposium Series, 599, 579 (1995). 

  11. M. Liu, Y. Liu, Q. Wang, "Flame-Retarded Poly(propylene) with Melamine Phosphate and Pentaerythritol/Polyurethane Composite Charring Agent", Macromol. Mater. Eng., 292, 206, (2007). 

  12. M. Modesti, A. Lorenzetti, "Flame retardancy of polyisocyanurate- polyurethane foams: use of different charring agents", Polym. Degrad. Stab., 78, 341, (2002). 

  13. W. Y. Chen, Y. Z. Wang, F. C. Chang, "Thermal and Flame Retardation Properties of Melamine Phosphate-Modified Epoxy Resins", J. Polym. Res., 11, 109, (2004). 

  14. L. Song, Y. Hu, Y. Tang, R. Zhang, Z. Chen, W. Fan, "Study on the properties of flame retardant polyurethane/organoclay nanocomposite", Polym. Degrad. Stab., 87, 111, (2005). 

  15. U. Braun, B. Schartel, M. A. Fichera, C. Jager, "Flame retardancy mechanisms of aluminium phosphinate in combination with melamine polyphosphate and zinc borate in glass-fibre reinforced polyamide 6,6", Polym. Degrad. Stab., 92, 1528, (2007). 

  16. F. Siminoi, M. Chechin, M. Modesti, A. Lorenzetti, "Influence of different flame retardants on fire behaviour of modified PIR/PUR polymers", Polym. Degrad. Stab., 74, 475, (2001). 

  17. M. Thirumal, D. Khastgir, N. K. Singha, B. S. Manjunath, Y. P. Naik, "Effect of expandable graphite on the properties of intumescent flame-retardant polyurethane foam", J. Appl. Polym. Sci., 110, 2586, (2008). 

  18. B. Y. Jo, S. C. Moon, J. K. Choi, "Effect of Waste Ground Tire Rubber on Flame Retardancy and Foaming Properties of the NBR foams", Elast. Compos., 38, 251, (2003). 

  19. Y. Chen, Q. Wang, W. Yan, H. Tang, "Preparation of flame retardant polyamide 6 composite with melamine cyanurate nanoparticles in situ formed in extrusion process", Polym. Degrad. Stab., 91, 2632, (2006). 

  20. S. H. Jonathan,, Transesterification process, USP, No.6075158, JUN. 13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