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해저 망간단괴 개발의 현황과 미래
Development of Polymetallic Nodules in the NE Equatorial Pacific: Past, Present and Future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6 no.4, 2014년, pp.367 - 371  

지상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광물자원연구센터) ,  홍섭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early 1990s, the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a deep-sea research program to secure the stable long-term supply of strategic metallic minerals including Cr, Cu and Ni. Through the pioneering surveys, Korea registered $150,000km^2$ of Mn-nodule field in the Clarion-Clipperton area,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4) 성장 단계(2003 ~2010년): 망간단괴의 상업개발에 필요한 채광기술연구, 정밀탐사 및 환경연구 수행에 중점을 두었다. 2009년과 2010년에는 망간단괴 근해역 시험채광장비(상용 1/20규모, 1일 채광 250톤 규모)를 독자 개발하고 동해 수심 100 m 근해역 채광시험을 수행하고 망간 단괴 제련 실용화기술(200kg/일)도 수행하였다. 한편 2009년 ISA에서는 그간의 우리나라의 심해저 활동 성과를 인정받아 이사회 B 그룹에 진입하여 국익을 대변할 수있는 유리한 지위를 확보하였다(A 그룹: 심해저 채취광물 대량소비국/수입국4개국, B 그룹: 심해저활동 8대투자국중 4개국, C 그룹: 심해저광물 주요수출국 4개국, D 그룹: 개도국 6개국, E 그룹: 지리적 배분에 따라 18개국으로 구성된다.

대상 데이터

  • 2000년 국내에서는 제5차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상용화기반구축 추진 계획』이 의결되었으며, 국제적으로는 ISA 광업규칙 (Mining Code)이 제정되었으며, 2001년 ISA와 대한민국 탐사·개발 계약(2001 ~2015년)을 맺게 됨으로써 광구에 대한 배타적인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였다. 국제해저기구 의무이행사항에 근거하여 망간단괴 광구등록 이후 8년간의 탐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2002년 최종독점탐사광구(75,000 km2)를 확보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망간단괴에는 어떤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는가? 망간단괴(manganese nodule)는 망간, 철, 니켈, 구리, 코 발트, 몰리브덴, 희토류 등과 같이 산업발전에 근간이 되는 40여종의 다양한 금속광물들을 포함하고 있어 다금속 단괴(polymetallic nodule)로 명명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대륙붕, 대륙사면, 심해저 평원뿐만 아니라 심지어 호수에서도 망간단괴가 발견되지만 대부분 수심 4,000 m 이상의 심해저 평원에 분포하고 있다.
망간단괴는 어디서 발견되나? 망간단괴(manganese nodule)는 망간, 철, 니켈, 구리, 코 발트, 몰리브덴, 희토류 등과 같이 산업발전에 근간이 되는 40여종의 다양한 금속광물들을 포함하고 있어 다금속 단괴(polymetallic nodule)로 명명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대륙붕, 대륙사면, 심해저 평원뿐만 아니라 심지어 호수에서도 망간단괴가 발견되지만 대부분 수심 4,000 m 이상의 심해저 평원에 분포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북동 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Clarion Clipperton Fracture Zone, C-C 지역), 남동태평양 페루분지, 그리고 북인도양 중앙 심해평원에 많은 양의 망간단괴가 분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