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도수렴대의 위치변화에 따른 북동태평양 적도해역의 부유성 유공충 군집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Planktonic Foraminifera Assemblage in response to Seasonal Shift of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 in the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6 no.4, 2014년, pp.437 - 445  

이유리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  우한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할해역지질연구센터) ,  김형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심해저광물자원연구센터) ,  이성주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김부근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ime-series sediment trap was operated at a water depth of 4950 m from July 2003 to May 2004 at KOMO station ($10^{\circ}30^{\prime}N$, $131^{\circ}20^{\prime}W$) in the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with the aim of understanding the temporal variation of planktonic for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981)을 참고하여 실체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유공 충은 개체수가 적은 시기(9 ~11월)를 제외하고 300~600개체를 분석하였으며, 계수된 부유성 유공충은 정확한 월별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 평방미터와 일수로 나누고 반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냈다.
  • (2008, 2010, 2011)은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침강입자 플럭스의 계절/연 변화를 평가하였지만, 부유성 유공충 군집 변화 등과 같은 해양 생물상 변화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된 바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KOMO 정점에서 엘니뇨/라니냐의 영향을 받지 않는 평상시기에 획득한 침강입자 시료를 이용하여 적도수렴대의 계절적 위치변동에 따른 부유성 유공충 군집의 변화를 분석하고, 해양환경인자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대상 데이터

  • 북동태평양 내 우리나라 망간단괴 광구 해역에 위치한 KOMO 정점에서 2003년 7월부터 2004년 5월(평상시기: 미국국립 해양 대기국, www.cpc.noaa.gov)까지 시계열 퇴적물 포집장치를 수심 약 4,960 m에 계류하여 침강입자시료를 획득하였다(Kim et al. 2008, 2010). 시계열 퇴적물 포집장치 계류 전에 붕산나트륨(sodium borate, BORAX) 으로 중화된 약 5% 포르말린 용액을 시료용기에 넣어 포집된 침강입자가 부패되지 않도록 하였다(Kim et al.
  • 이 시기의 부유성 유공충 개체수는 평균 값을 사용하였다. 획득한 시료는 McLANE사의 WSD-10(Wet Sample Divider-10)을 이용 하여 다섯 등분하였으며, 이 중 하나의 시료를 유공충 분석에 사용하였다. 유공충은 125 µm 체를 이용하여 침강시료에서 분리하였으며, 부유성 유공충 동정은 Saito et al.

데이터처리

  • 2008, 2010). 이 시기의 부유성 유공충 개체수는 평균 값을 사용하였다. 획득한 시료는 McLANE사의 WSD-10(Wet Sample Divider-10)을 이용 하여 다섯 등분하였으며, 이 중 하나의 시료를 유공충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유공충은 125 µm 체를 이용하여 침강시료에서 분리하였으며, 부유성 유공충 동정은 Saito et al. (1981)을 참고하여 실체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유성 유공충의 군집분포가 해양 환경변화를 유추하는 데 유용한 이유는? 부유성 유공충의 군집분포는 다양한 환경 요소(수온, 염분, 광도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Hemleben et al. 1989; Kuroyanagi et al.
적도수렴대의 계절적 위치변동으로 인한 변화는? 2010, 2011). 적도수렴대의 계절적 위치변동은 수온, 강우(염분), 바람의 세기 등의 해양환경 변화를 유발하며, 이러한 해양환경 변화는 부유성 유공충과 같은 해양생물상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unell et al. 1983; Barber et al.
북동태평양에서 수행된 시계열 퇴적물 포집장치, 플랑크톤 네트를 이용한 연구가 부유성 유공충 군집 변화에 상반된 결과를 보인 이유는? (1996, 1998) 연구에서는 겨울에 북적도 반류 해역(5o N~9o N, 140o W)은 빈영양 환경이었으며, 이 영향으로 주로 빈영양 해역에 서식하는종(Globigerinoides sacculifer, Globigerinoides ruber)들이 우세하게 관찰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상반된 연구 결과는 이 지역의 해양환경이 적도수렴대의 위치변화에 따라 계절적으로 민감하게 변화하며, 이들의 연구해역이 적도해역과 인접하여 엘니뇨/라니냐와 같은 전 지구적 환경변화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북동태평양 해역에서 적도수렴대의 계절적 변동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와 부유성 유공충 군집 변동 간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해 평상시기 동안 고해상도의 시계열 퇴적물 포집장치로 획득한 침강입자 내 부유성 유공충 군집의 계절변화 연구가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mador JA, Alfaro EJ, Lizano OG, Magaa VO (2006) Atmospheric forcing of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A review. Prog Oceanogr 69:101-142 

  2. Andreasen DJ, Ravelo AC (1997) Tropical Pacific Ocean thermocline depth reconstructions for the Last Glacial Maximum. Paleoceanography 12(3):395-413 

  3. Barber RT, Sanderson MP, Lindley ST, Chai F, Newton J, Trees CC, Foley DG, Chavez FP (1996) Primary productivity and its regulation in the equatorial Pacific during and following the 1991-1992 El Nino. Deep-Sea Res Pt II 43:933-969 

  4. Bijma J, Faber WW, Hemleben C (1990) Temperature and salinity limits for growth and survival of some planktonic foraminifers in laboratory cultures. J Foramin Res 20(2):95-116 

  5. Chaisson WP (1995) Planktonic foraminiferal assemblages and paleoceanographic change in the trans-tropical Pacific Ocean: A comparison of west (Leg 130) and east (Leg 138), latest Miocene to Pleistocene. Proc Ocean Drill Program Sci Results 138:555-597 

  6. Chavez FP, Strutton PG, Friederich GE, Feely RA, Feldman GC, Foley DG, McPhaden MJ (1999) Biological and chemical response of the equatorial Pacific Ocean to the 1997-98 El Nino. Science 286:2126-2131 

  7. Coloma C, Marchant M, Hebbeln D (2005) Planktonic foraminifera during El Nino 1997-98 off Coquimbo ( $30^{\circ}S$ ; $73^{\circ}W$ ), Chile. Gayana 69(1):48-77 

  8. Dymond J, Collier R (1988) Biogenic particle fluxes in the equatorial pacific: evidence for both high and low productivity during the 1982-1983 El Nino. Global Biogeochem Cy 2(2):129-137 

  9. Fiedler PC, Talley LD (2006) Hydrography of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a review. Prog Oceanogr 69:143-180 

  10. Forsbergh ED (1969) On the climatology, oceanography and fisheries of the Panama Bight. Inter-American Trop Tuna Commission Bull 14(2):49-365 

  11. Gajardo N, Gonzalez HE, Marchant M (2013) Characterization of El Nino, La Nina, and normal conditions through planktonic foraminifera (2006-2007) in the southeastern Pacific. Cienc Mar 39(3):253-264 

  12. Guptha MVS, Curry WB, Ittekkot V, Muralinath AS (1997) Seasonal variation in the flux of planktic foraminifera: sediment trap results from the bay of Bengal, northern Indian ocean. J Foramin Res 27(1):5-19 

  13. Hemleben C, Spindler M (1983) Recent advances in research on living planktonic foraminifera. Recons Marine Paleoenviron 30:141-170 

  14. Hemleben G, Spindler M, Anderson OR (1989) Modern Planktonic Foraminifera. Springer, New York, NY, 63 p 

  15. Honjo S, Dymond R, Collier R, Manganini SJ (1995) Export production of particles to the interior of the equatorial Pacific Ocean during the 1992 EqPac experiment. Deep-Sea Res Pt II 42(2-3):831-870 

  16. Imbrie J, Kipp NG (1971) A new micropaleontological method for quantitative paleoclimatology, Application to a late Pleistocene Caribbean core. In: Turekian KK (ed) Late Cenozoic Glacial Ages. Yale Univ Press, New Haven, Conn, pp 71-182 

  17. Kang JH, Kim WS, Chang KI, (2008) Latitudinal distribution of mesozooplankton in the off-equatorial northeastern Pacific before and after the 1998/99 La Nina event. Mar Environ Res 65:218-234 

  18. Kawahata H, Nishimura A, Gagan MK (2002) Seasonal change in foraminiferal production in the western equatorial Pacific warm pool: evidence from sediment trap experiments. Deep-Sea Res Pt II 49:2783-2800 

  19. Kessler WS, McPhaden MJ (1995) The 1992-1993 El Nino in the central Pacific. Deep-Sea Res Pt II 42:295-333 

  20. Kim HJ, Kim D, Hyeong K, Kim KH, Son JW, Hwang SC, Chi SB, Kim KH, Khim BK (2008) Seasonal variations of particle fluxes in the Northeastern Pacific. Korean Soc Oceanogr 13:200-209 

  21. Kim HJ, Hyeong K, Yoo CM, Chi SB, Khim BK, Kim D (2010) Seasonal variations of particle fluxes in the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during normal and weak El Nino periods. Geosci 14:415-422 

  22. Kim HJ, Kim D, Yoo CM, Chi SB, Khim BK, Shin HR, Hyong K (2011) Influence of ENSO variability on sinking-particle fluxes in the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Deep-Sea Res Pt I 58:865-874 

  23. Kuroyanagi A, Kawahata H, Nishi H, Honda M (2008) Seasonal to interannual changes in planktonic foraminiferal assemblages in the northwestern North Pacific: Sediment trap results encompassing a warm period related to El Nino. Palaeogeogr Palaeocl 262:107-127 

  24. Latala A (1991) Effects of salinity, temperature and light on the growth and morphology of green planktonic algae. Oceanologia 31:119-138 

  25. Lionard M, Muylaert K, Gansbeke DV, Vyverman W (2005) Influence of changes in salinity and light intensity on growth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from the Schelde river and estuary (Belgium/The Netherlands). Hydrobiologia 540:105-115 

  26. Martinez JI, Taylor L, Keckker PD, Barrows T (1998) Planktonic foraminifera from the eastern Indian Ocean: distribution and ecology in relation to the Western Pacific Warm Pool (WPWP). Mar Micropaleontol 34:121-151 

  27. McPhaden M, Busalacchi AJ, Cheney R, Donguy J, Gage KS, Halpern D, Ji M, Julian P, Meyers G, Mitchum GT, Niiler PP, Picaut J, Reynolds RW, Smith N, Takeuchi K (1998) The Tropical Ocean-Global Atmosphere observing system: A decade of progress. J Geophys Res 130(C7):169-240 

  28. Murray JW, Barber RT, Roman MR, Bacon MP, Feely RA (1994) Physical and biological controls on carbon cycling in the Equatorial Pacific. Science 266:5865 

  29. Pennington JT, Mahoney KL, Kuwahara VS, Kolber DD, Calienes R, Chavez FP (2006) Primary production in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A review. Prog Oceanogr 69:285-317 

  30. Ryther JH (1956) Photosynthesis in the ocean as a function of light intensity. Limnol Oceanogr 1(1):61-70 

  31. Saito T, Thompson PR, Breger D (1981) Systematic index of recent and Pleisocene planktonic foraminifera. University of Tokyo Press, Japan, 190 p 

  32. Spindler M, Hemleben C, Salomons JB, Smit LP (1984) Feeding behavior of some planktonic foraminifers in laboratory cultures. J Foramin Res 14(4):237-249 

  33. Thunell RC, Curry WB, Honjo S (1983) Seasonal variation in the flux of planktonic foraminifera: time series sediment trap results from the Panama Basin. Earth Planet Sc Lett 64:44-55 

  34. Thunell RC, Reynolds LA (1984) Sedimentation of planktonic foraminifera: Seasonal changes in species flux in the Panama Basin. Micropaleontology 30(3):243-262 

  35. Vincent E, Berger WH (1981) Planktonic foraminifera and their use in paleoceanography. The Oceanic Lithospher: The Sea, Vol. 7,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 1025-1119 

  36. Wanninkhof R, Feely RA, Atwood DK, Berberian G, Wilson D, Murphy PP, Lamb MF (1995) Seasonal and lateral variations in carbon chemistry of surface water in the eastern equatorial Pacific during 1992. Deep-Sea Res Pt II 42(2-3):387-409 

  37. Watkins JM, Mix AC, Wilson J (1996) Living planktonic foraminifera: tracers of circulation and productivity regimes in the central equatorial Pacific. Deep-Sea Res Pt II 43(4-6):1257-1282 

  38. Watkins JM, Mix AC, Wilson J (1998) Living planktonic foraminifera in the central tropical Pacific Ocean: articulating the equatorial 'cold tongue' during La Nina, 1992. Mar Micropaleontol 33:157-1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