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점진적 하지운동요법이 통증, 운동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Progressive Lower-extremity Exercise Program on Pain, Self-efficacy of Exercis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Women with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1 no.3, 2014년, pp.215 - 223  

양귀숙 (경상대학교병원) ,  은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문경희 (경상대학교병원) ,  이선경 (경상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progressive lower-extremity exercise program on pain, efficacy of exercise, and the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women with TKRA.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 synchronized design and was conducted from 1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 후 점진적 하지운동요법이 통증, 운동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슬관절 전치환술 후 점진적 하지운동요법을 적용하여 통증, 운동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전치환술 노인여성 환자에게 수술후 점진적 하지운동요법을 적용하여 통증, 운동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침상곁에서 점진적인 하지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운동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삶의 만족을 증가시키는지를 검증하여 슬관절 전치환술 여성노인의 간호중재로서 점진적 하지운동요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3. 슬관절 전치환술 후 점진적 하지운동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2. 슬관절 전치환술 후 점진적 하지운동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운동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 • 가설 1. 슬관절 전치환술 후 점진적 하지운동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의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퇴행성관절염은 어떤 심리적 문제를 야기하는가? 퇴행성관절염은 일반적으로 관절연골의 국소 변형을 시작으로 점차 퇴행성변화를 보이며, 연골 하대의 비대와 활액막의 이차적 염증반응을 특징으로 관절강직, 변형 및 통증으로 관절 유연성 및 근력 저하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활동제한,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 등이 점차 어려워져 전반적인 신체기능의 저해를 가져오게 된다(Chang, 2008; Lee, Chang, & Ahn, 2007). 그리고 우울, 불안 및 자존감 저하와 운동 자기효능감 감소 및 만성피로 등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야기하므로 삶의 질의 저하는 물론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문제를 평생 지니고 살아가게 된다(Chang, 2008; Lee, 2011).
퇴행성관절염은 신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퇴행성관절염은 일반적으로 관절연골의 국소 변형을 시작으로 점차 퇴행성변화를 보이며, 연골 하대의 비대와 활액막의 이차적 염증반응을 특징으로 관절강직, 변형 및 통증으로 관절 유연성 및 근력 저하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활동제한,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 등이 점차 어려워져 전반적인 신체기능의 저해를 가져오게 된다(Chang, 2008; Lee, Chang, & Ahn, 2007). 그리고 우울, 불안 및 자존감 저하와 운동 자기효능감 감소 및 만성피로 등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야기하므로 삶의 질의 저하는 물론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문제를 평생 지니고 살아가게 된다(Chang, 2008; Lee, 2011).
여성 노인의 관절염 관련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료뿐 아니라 치료 후 재발방지를 위한 예방적 간호중재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8%를 돌파해 선진국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3). 노인의 고령화에 따라 발생되는 건강문제는 관절염, 만성 요통,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으로, 그 중 관절염은 유병율이 가장 높은 질환중 하나로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호발되고 있다. 또한 관절염은 65세 미만 여성에서는 발병률이 천명당 255.6명인데 반하여 65세 이상 여성에서는 505.0명으로 65세 이상에서 2배 이상의 발병을 보여, 여성노인의 주요한 건강문제로 나타났다(Hur, Choi, Uhm, & Bae, 2008). 또한 퇴행성 관절염에서는 기능장애가 있는 경우가 42.5%로 조사되었으며, 약 55.8%는 우울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 Shin, 2004). 따라서 관절염을 앓고 있는 여성 노인의 관절염 관련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료뿐 아니라 치료 후 재발 방지를 위한 예방적 간호중재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 117-124. 

  2. Chang, K. O. (2008). Effect of tai chi exercise program on muscle strength, grip strength, flexibility, pai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5 (2), 130-139. 

  3. Han, J. H. (2009). Effectiveness of 8 weeks of application of aquacomplexed exercise on lower limbs muscular strength, painrelief and balanc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Unpublished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4. Hur, N. W., Choi, C. B., Uhm, W. S., & Bae, S. C.,(2008). The Prevalence and trend of arthritis in Korea: Results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15 (1), 11-26. http://dx.doi.org/10.4078/jkra.2008.15.1.11 

  5. Jung, H. Y. (2002). A comparative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vulnerable aged group.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6. Kang, S. H. (1996), A comparative study of the handicaps in and satisfaction with the ordinary life before and after the plastic operation for artificial joint replacement centering around those who suffer from joint diseas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3 (1), 37-49. 

  7. Kim, K. B., & Shin, D. S. (2004). A study on the relation among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status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9 (1), 66-73. 

  8. Lee, J. H. (2010). Effect of lower extremity pattern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pain and balance in total knee replac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9. Lee, P. S., & Jang, S. W. (2001). The study on the effect of stage based exercise motivational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5), 818- 834. 

  10. Lee, S. H. (2011). Improved effect on daily activity-disorder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plastic operation for artificial knee joint replac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1. Lee, S. O., Chang, K. O., & Ahn, S. H. (2007). Effect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pain, fatiqu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women with arthriti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3 (3), 165-173. 

  12. MacDonald, S. J., Bourne, R. B., Rorabeck, C. H., Malden, R. W., Krammer, J., & Vax, M. (2000).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ail of continuous passive mo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Clinical Orthopedics and Related Research, 380 (1), 30-35. 

  13. Marcus, B. H., Selby, V. C., Niaura, R. S., & Rossi, J. S. (1992). Self-efficacy and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3 (1), 60-66. 

  14. McAuley, E., Lox, C., & Duncan, T. E. (1993). Long-term maintenance of exercise, self-efficacy, and physiological change in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48 (4), 218-224. http://dx.doi.org/10.1093/geronj/48.4.P218 

  15. Nam, H. R. (2010). The Correlation of pain, depression, and exercise self-efficacy in elderly female patient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16. National Elderly's Statistics. (2013.10.2). Statistics Korea. Retrieved November 10, 2014, from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2/6/5/index.board?bmoderead&aSeq308688 

  17.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Retrieved November 10, 2014, from http://www.kdi.re.kr/infor/ep_view.jsp?num129634 

  18. Park, J. S. (2009). Comparison of pain, depression, and satisfaction in life in elderly patients before and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19. Park, S. A. (2013). The effect of integrative home rehabilitation program for knee arthroplasty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0. Park, Y. J., & Park, I. H. (2008). The effect of tai chi exercise in elderly women.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5 (2). 119-129. 

  21. Shin, J. Y. (2011).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program on pain, ROM of the knee joint, and mobility in elderly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22. Skoffer, B., Dalgas, U., & Mechlenburg, I. (2014).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before and after total hip and knee arthroplasty: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Rehabilitation, pub ahead of print. http://dx.doi.org/10.1177/0269215514537093 

  23. Taylor-Piliae, R. E., Haskell, W. L., Stotts, N. A., & Froelicher, E. S. (2006). Improvement in balance, strength, and flexibility after 12 weeks of Tai chi exercise in ethnic Chinese adul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lternative Therapy of Health and Medicine, 12 (2), 50-58. 

  24. Van Manen, M. D., Nace, J., & Mont, M. A. (2012). Management of primary knee osteoarthritis and indications for total knee arthroplasty for general practitioners. Journal of the American Osteopathic Association, 112 (11), 709-715. 

  25. Vincent, K. R., & Vincent, H. K. (2012). Resistance exercise for knee osteoarthritis. Journal of Injury, Function, and Rehabilitation, 4 (5), 45-52. http://dx.doi.org/10.1016/j.pmrj.2012.01.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