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잎으로부터 α-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 Hyperoside와 Isoquercetin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α-Glucosidase Inhibitory Compounds, Hyperoside, and Isoquercetin from Eleutherococcus senticosus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2, 2014년, pp.1858 - 1864  

이기연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홍수영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정혜정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이재형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임상현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허남기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  김성문 (강원대학교 바이오컨버전스공학과) ,  김희연 (강원도농업기술원 농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시오갈피 잎에 함유된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의 분리를 위하여 가시오갈피 잎 80% 에탄올 추출물을 극성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순차 분획하고 각 분획층을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효과를 측정한 결과, EtOAc 층이 68.05%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EtAOc 분획층을 MPLC를 이용하여 fractionation-directed isolation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이 93.60%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 EAHC 분획물을 얻었다. EAHC 분획물을 prep-LC/MS로 분석하여 EAHCA와 EAHCB로 분리 정제하였다. EAHCA 분획물의 화학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1H$-NMR, $^{13}C$-NMR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464.38 g/mol, 화학구조식 $C_{21}H_{20}O_{12}$인 hyperoside로 확인되었다. EAHCB 분획물의 화학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1H$-NMR, $^{13}C$-NMR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 464.38 g/mol, 화학구조식 $C_{21}H_{20}O_{12}$인 isoquercetin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가시오갈피 잎으로부터 분리 동정된 hyperoside와 isoquercetin은 ${\alpha}$-glucosidase의 저해 활성 물질을 가진 화합물로 향후 혈당조절용 건강식품 또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 anti-diabetic potential of 80% ethanol extrac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leaves (EEES) was examined based on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EEES was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EtAOc), n-butan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시오갈피 잎의 새로운 기능성 원료 및 의약품 소재 활용을 위해 α-glucosidase 효소 활성을 통해 항당뇨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그 구조를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시오갈피는 주로 어디에 분포하는가?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ccus)는 두릅나무과(Araliaceae) 오갈피속(Acanthopanax)에 속하는 다년생 낙엽 관목으로 한반도와 시베리아, 중국의 고지대 및 일본의 동북부 등의 극동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저온 음지성 식물이며(8), 다른 오갈피에 비해 줄기 전체에 가늘고 긴 가시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9). 생약으로는 오가피라 하여 주로 줄기와 뿌리껍질을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동의보감, 한약집성방 등의 고전한의서에 강장 및 근골기능을 향상시키고 신경통, 중풍, 당뇨병, 관절염 등의 치료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10).
가시오갈피는 생약으로는 어떻게 사용되며 고전한의서에는 어떤 질병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나?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ccus)는 두릅나무과(Araliaceae) 오갈피속(Acanthopanax)에 속하는 다년생 낙엽 관목으로 한반도와 시베리아, 중국의 고지대 및 일본의 동북부 등의 극동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저온 음지성 식물이며(8), 다른 오갈피에 비해 줄기 전체에 가늘고 긴 가시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9). 생약으로는 오가피라 하여 주로 줄기와 뿌리껍질을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동의보감, 한약집성방 등의 고전한의서에 강장 및 근골기능을 향상시키고 신경통, 중풍, 당뇨병, 관절염 등의 치료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10).
가시오갈피는 무엇인가?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ccus)는 두릅나무과(Araliaceae) 오갈피속(Acanthopanax)에 속하는 다년생 낙엽 관목으로 한반도와 시베리아, 중국의 고지대 및 일본의 동북부 등의 극동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저온 음지성 식물이며(8), 다른 오갈피에 비해 줄기 전체에 가늘고 긴 가시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9). 생약으로는 오가피라 하여 주로 줄기와 뿌리껍질을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동의보감, 한약집성방 등의 고전한의서에 강장 및 근골기능을 향상시키고 신경통, 중풍, 당뇨병, 관절염 등의 치료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im SJ, Kim SH. 2001. The effect of each fraction of methanol extract of Alisma canaliculatum on blood glucose levels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34: 619-625. 

  2. Laakso M, Cederberg H. 2012. Glucose control in diabetes: which target level to aim for? J Intern Med 272: 1-12. 

  3. Lee BB, Park SR, Han CS, Han DY, Park EJ,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05-409. 

  4. Yoshio K. 2005. Obesity and related diseases. Koonja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p 691-692. 

  5. Oh HC, Kim DH, Cho JH, Kim YC. 2004. Hepato-protec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nolics petrosins and flavonoids isolated from Equisetum arvense. J Ethnopharmacol 95: 421-424. 

  6. Hwang JY, Han JS. 2007. Inhibitory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s on carbohydrate digestive enzymes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89-994. 

  7. Choi HJ, Jeong YK, Kang DO, Joo WH. 2008. Inhibitory effects of four solvent fractions of Alnus firma on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J Life Sci 18: 1005-1010. 

  8. Kim SK, Kim Y, Park MS, Chio SY, Yun SJ. 1998. Intraspecific relation of E. senticodsus Max. by RAPD markers. Korean J Med Crop Sci 6: 165-169. 

  9. Jin LH, Han SS, Choi YS. 2002. Antioxidant effect of the extra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Korean J Pharmacogn 33: 359-363. 

  10. Lee YS, Jung SH, Lim SS, Ji J, Lee SH, Shin KH. 2001.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from the stem bark of Acanthopanax senticosus on hyperlipidemia in rats. Korean J Pharmacogn 32: 103-107. 

  11. Brekhman II. 1969. A new medicinal plant of the family Araliaceae the spiny Eleutherococcus. Izv Sibir Otdel Akad Nauk USSR 9: 113-120. 

  12. Tang W, Eisenbrand G. 1992. Chinese dugs of plant origin. Springer Publishing Company, Berlin, Germany. p 1-12. 

  13. Nishibe S, Kinoshita H, Takeda H, Okano G. 1990. Phenolic compounds from stem bark of Acanthopanax sentocosus and their pharmacological effect in chronic swimming stressed rats. Chem Pharm Bull 38: 1763-1765. 

  14. Yamazaki T, Shimosaka S, Sasaki H, Matsumura T, Tukiyama T, Tokiwa T. 2007. (+)-Syringaresinol-di-O- ${\beta}$ -d-glucoside, a phenolic compound from Acantopanax senticosus Harms, suppresses proinflammatory mediator in SW982 human synovial sarcoma cells by inhibiting activating protein-1 and/or nuclear factor- ${\kappa}B$ activities. Toxicol In Vitro 21: 1530-1537. 

  15. Bu Y, Jin ZH, Park SY. 2005. Siberian ginseng reduces infarct volume in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aemia in Sprague-Dawley rats. Phyto Res 19: 167-169. 

  16. Liu HS, Liu IM, Cheng JT, Lin CL, Hsu FL. 2008. Hypoglycemic effect of syringin from Eleutherococcucs senticos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Planta Med 74: 109-113. 

  17. Ahn JY, Um MY, Lee HJ, Jung CH, Heo SH, Ha TY. 2013. Eleutheroside E, an active componen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ameliorates insulin resistance in type 2 diabetic db/db mic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Article ID 934183. 

  18. Brekhman II, Dardymov IV. 1969. New substance of plant origin which increase nonspecific resistance. Annu Rev Pharmacol 9: 419-430. 

  19. Lee BB, Park SR, Han CS, Han DY, Park EJ,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05-409. 

  20. Lim SH, Park YH, Kwon CJ, Ham HJ, Jeong HN, Kim KH, Ahn YS. 2010. Anti-diabetic and hypoglycemic effect of Eleutherococcus sp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761-1768. 

  21. Lee JM, Kim HM, Lee SL, Han S, Cho SH, Lee SH. 2010. Determination of hyperin in the fruits of Ancanthopanax species by performance lipid chromatography. Nat Prod Sci 16: 39-42. 

  22. Choe KH, Choe SN, Choo JJ, Lee JY, Kim JY, Kim JW, Choi JS, Park KS, Park KH. 2007. Tissue concentration of quercetin, isoquercetin and hyperoside, and lipid profile changes following 8-week feeding of Angelica keiskei power in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721-724. 

  23. Lee SH, Chung HS, Shin KH, Kim BK. 2004. Determination of hyperin in Ancanthopanax sesticosus and A. sessiliflorus by HPLC. Yakhak Hoeji 48: 231-235. 

  24. Chen M, Song F, Guo M, Liu Z, Liu S. 2002. Analysis of flavonoid constituents from leaves of Acanthopanax sesticosus Harms by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Rapid Commun Mass Spectrum 16: 264-271. 

  25. Kim SG, Choi JW, Park HJ, Lee SM, Jung HJ. 2009.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the flavonoid-rich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Orostachy japonicus in rats. Korean J Pharmacogn 40: 51-58. 

  26. Appleton J. 2010. Evaluating the bioavailability of isoquercetin. Nat Med J 2: 1-6. 

  27. Park JC, Kim SH. 1995. Flavonoid analysis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J Korean Soc Food Nutr 24: 901-905. 

  28. Lee YJ, Kim EO, Choi SW. 201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polyphenolic compounds in mulberry (Morus alba L.) s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17-524. 

  29. Yean MH, Kim JS, Hyun YJ, Hyun JW, Bae KH, Kang SS. 2012. Terpenoids and phenolics from Geum japonicum. Korean J Pharmacogn 43: 107-121. 

  30. Kim HY, Moom BH, Lee HK, Choi DH. 2004. Flavonoid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O. with glycation inhibitory activity. J Ethnopharmacol 93: 227-230. 

  31. Kim YS.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yacon K-23 and manufacture of functional yacon jam.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35-1038. 

  32. Zhang R, Yao Y, Wang Y, Ren G. 2011. Antidiabetic activity of isoquercetin in diabetic KK- $A^y$ mice. Nutr Metab 8: 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